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승객 짐에서 연기가"…에어부산 항공기 화재 누구 책임인가 2025-01-30 13:08:01
불이 시작됐다면 처벌은 쉽지 않다는 전문가 의견이 나온다. 30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사고 당시 불이 난 에어부산 여객기 후방 좌측 선반 근처에 앉았던 한 탑승객은 "선반 짐에서 '타닥타닥' 소리가 난 후 조금 있다가 연기가 났다"고 말했다. 30대 부부 탑승객은 "연기가 났을 때 승무원이 '고객님 안에 뭐...
'장내매입 없는 적대적 M&A' 서준혁 대명소노 회장의 남다른 공격 2025-01-30 10:54:25
공개매수로 지분을 확보해 우선 티웨이항공의 최대주주에 오르는 방법을 택할 수도 있었다. 경영권 분쟁 이슈로 티웨이항공 주가가 급등한 상황이지만 현재 시가로도 약 300억원만 투입하면 대명소노는 예림당을 제치고 최대주주에 오를 수 있다. 하지만 대명소노는 지분 확보 경쟁을 벌이는 대신 곧장 주총 표 대결로...
에어부산 화재원인은 보조배터리?…지난달에도 비슷한 사고 있어(종합) 2025-01-29 17:29:50
항공사의 승인에 따라 항공기 반입이 가능하다. 다만 보조배터리와 관련해선 리튬메탈배터리는 리튬 함량이 2g 이하, 리튬이온배터리는 100Wh 이하인 경우에만 기내 휴대만 가능하다. 보조배터리는 위탁수하물로는 부칠 수 없다. 리튬이온배터리는 전자기기 장착이나 보조배터리 여부에 관계없이 스스로 부풀거나 폭발하는...
"타닥타닥 소리 났다"…화재에 불탄 항공기 2025-01-29 16:26:48
싱가포르행 스쿠트항공 여객기에서 승객의 휴대전화 보조 배터리가 터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배터리가 터지면서 발생한 불은 좌석에 옮겨붙었고, 비행기 이륙은 지연됐다. 항공 위험물 운송기준에 따르면 리튬 메탈 배터리와 리튬 이온 배터리는 위험물로 분류돼 기내 휴대나 위탁수하물 반입이 기본적으로 금지된다. 다만...
에어부산 화재원인은 보조배터리?…"기내반입물품 규정 강화" 요구 2025-01-29 15:51:21
항공사의 승인에 따라 항공기 반입이 가능하다. 다만 보조배터리와 관련해선 리튬메탈배터리는 리튬 함량이 2g 이하, 리튬이온배터리는 100Wh 이하인 경우에만 기내 휴대만 가능하다. 보조배터리는 위탁수하물로는 부칠 수 없다. 리튬이온배터리는 전자기기 장착이나 보조배터리 여부에 관계없이 스스로 부풀거나 폭발하는...
에어부산, 지난달에도 '보조배터리 화재'로 승객 대피 2025-01-29 15:13:14
보조배터리는 기내 화재 위험이 커 항공사들은 배터리를 위탁수하물로 부치는 것을 금하고 있다. 직접 휴대는 허용하고 있지만, 많은 승객들이 이를 명확히 인지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기내에 가지고 들어갈 수 있다면, 기내 선반에 보관하는 것도 괜찮다고 인식하는 것이다. 국토교통부는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를 통해...
항공기 화재 났다면…"수하물 꺼내려 하지 말고 통제 따라 대피" 2025-01-29 13:38:59
항공기 화재 났다면…"수하물 꺼내려 하지 말고 통제 따라 대피" 전문가들 "당국이 저가 항공사 항공기 정비 상태 파악해야" 지적도 (서울=연합뉴스) 이상서 기자 = 제주항공 참사 한 달 만에 발생한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사고로 항공기 이용객들의 우려와 불안도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여객기 내에서 화재가 발생할...
"'짐칸에 보조배터리 넣었냐' 묻더라"…에어부산 화재 원인은? 2025-01-29 12:55:40
30분께 항공기 꼬리 내부에서 시작됐다. 전문가들도 입을 모아 항공기 문제라기보다는 보조배터리와 수하물 등 외부적인 요인에 의한 화재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했다. 한 현직 기장은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항공기 보조 동력장치(APU)에서 불이 시작된 것은 아닌 것으로 본다"면서 "선반 안에 있던 보조...
제주항공 참사 한 달, 본격 시작된 '분석의 시간'…남은 쟁점은 2025-01-29 06:00:01
중단) 상태에 빠졌으리라는 것이 다수 전문가의 공통적인 분석이다. 정윤식 가톨릭관동대 항공운항학과 교수는 "사고 당시 두 엔진이 모두 고장 나면서 일단 유압 계통에 이상이 생겨 랜딩기어가 작동되지 않았고, 셧다운되면서 전기로 랜딩기어를 내릴 수 있는 장치도 먹히지 않았을 것"이라며 "수동으로 랜딩기어를 내릴...
에어부산 '176명 비상탈출'…위급상황시 짐 챙기면 안되는 이유 2025-01-29 01:48:56
1명이 탑승해 있었다. 이들은 화재 직후 항공기 비상 슬라이더를 통해 전원 탈출에 성공했다. 다만 슬라이드를 통한 탈출 과정에서 3명이 타박상을 입어 인근 병원으로 이송됐다. 항공기 일부도 소실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2019년 비상 착륙 중 화재가 발생한 러시아 여객기에서 78명 41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있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