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규모 5.8 지진> 하나로 원자로 내진 설계 문제없나 2016-09-13 15:44:51
없다고 지적한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연합뉴스 통화에서 "역사적으로 보면 7.0을 넘어서는 지진으로 평가되는 사례도 있다"면서 "원전 하부 지하 10km에서 규모6.5∼7.0 이하의 지진이 발생했을 경우를 가정해 원전을 설계한 것으로, 6.5 규모이하의 지진에도 진원의 깊이가 지표면에 가까워지면...
<규모 5.8 지진> 원전 내진 설계 문제없나…전문가 의견 '분분' 2016-09-13 11:44:19
홍태경 교수 "한반도 대지진 가능성" 한반도에서 역대 최대인 5.8 규모의 지진이 발생한 가운데 원자력발전소의 내진 설계에 문제가 없는지에 대해 전문가들의 의견이엇갈리고 있다. 현재 원자력발전소의 내진 설계 기준은 규모 6.5∼7.0으로, 특히 이번 지진의진앙지와 가까운 고리·월성 원전 주변 주민들의...
전문가들 "지진 규모·시기 예측은 사실상 불가능" 2016-09-13 11:04:10
지진 전조로 알려져 확산하기도 했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이에 대해 "지진이 발생한 단층대에서라돈 가스 함유량이 증가했다는 것은 이론적으로 보고된 바 있지만 이번처럼 시내전역에서 가스 냄새가 난다는 것은 전례가 없는 일"이라고 잘라 말했다. 그는 또 "지진운이나 지진광 등이 지...
[경주 지진] 해운대 초고층 건물 '흔들'…구미 삼성전자·LG 생산라인 한때 멈춰 2016-09-12 22:03:53
지진이 찾아올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제기된다.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최근 자주 일어나는 지진은 한반도에 언제든지 규모 6.0 정도의 강력한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암시한다”고 말했다.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뜨는' 종목 찾았는데 투자금이 없다?...투자금이...
"가스 냄새가 대지진 전조?" 지질학적 근거 없어 2016-07-26 06:00:31
발생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도 "지진이 발생한 단층대에서 라돈 가스함유량이 증가했다는 것은 이론적으로 보고된 바 있지만 이번처럼 시내 전역에서 가스 냄새가 난다는 것은 전례가 없는 일"이라고 잘라 말했다. 이어 "지진운이나 지진광 등이 지진 전조 현상...
울산 지진, 서울-강원까지 `흔들`…한반도 대지진 오나? `누리꾼 공포` 2016-07-06 02:45:10
일어날 수 있지만, 대형 지진은 일어나기 어려운 구조"라면서 "단층들이 서로 연결돼 있지 않기 때문에 한반도에서 대규모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고 부연했다. 한편 홍태경 연세대 지구환경시스템과학과 교수는 언론과 인터뷰에서 "이번 지진은 활성단층인 쓰시마고토 단층에서 발생했기 때문에 동해까지 연결된...
지헌철 지진센터장 "한반도서 대규모 지진 가능성 낮다" 2016-07-06 00:09:01
대규모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고 부연했다. 이날 홍태경 연세대 지구환경시스템과학과 교수는 언론과 인터뷰에서 "이번 지진은 활성단층인 쓰시마고토 단층에서 발생했기 때문에 동해까지 연결된 단층에서더 큰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
일본 에콰도르 지진에 전문가, “우연히 같이 발생..수마트라 대지진 여파” 2016-04-18 14:56:00
아니라고 주장했다.18일 지진전문가 연세대 지구시스템 공학과 홍태경 교수는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일본지진의 경우는 필리핀판이 부딪쳐서 힘이 쌓이는 것이고 에콰도르 지진의 경우는 태평양 중앙에서 만들어진 나즈가판이 남아메리카와 충돌하면서 만들어진 것이다”며 “먼...
남미까지…심상찮은 '불의 고리' 2016-04-17 18:02:21
강진은 우연의 일치에 불과하다고 분석한다.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이번 강진이 일어난 지역은 판 경계가 아니라 유라시아판에 자리 잡은 활성단층 지역이고 에콰도르는 태평양판 동쪽 끝에 인접한 나즈카판에 자리 잡고 있어 서로 영향을 미칠 위치가 아니다”고 말했다. 판 경계에서 일어난...
"북핵실험, 백두산 화산폭발 자극" 2016-02-17 23:33:02
홍태경 연세대 교수 분석지진 규모 7 이상땐 촉발 [ 박근태 / 마지혜 기자 ] 북한의 핵실험이 백두산 화산 분화를 촉발할 것이라는 과학적 분석 결과가 나왔다.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17일 “북한이 강행한 1~3차 핵실험 지진파를 분석한 결과 핵실험으로 발생한 지진이 규모 7에 이르면 백두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