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줄기세포가 분화해 무엇이 될지, 사실상 RNA가 결정한다" 2020-07-08 15:55:12
사실상 RNA가 결정한다" 전령RNA, 유전자 온·오프 후성유전 기제 제어 미 콜로라도대 연구진, 저널 '네이처 유전학'에 논문 (서울=연합뉴스) 한기천 기자 = 인간의 신체를 구성하는 모든 세포엔 동일한 유전체가 들어 있다. 각 세포의 유전체가 같은데도 눈의 기능은 피부나 뇌와 다르고, 줄기세포는 여러 다른...
반려견 한 살=사람 서른 살? '곱하기 7'은 틀렸다 2020-07-03 15:49:21
얼굴 주름이나 흰머리를 보고 나이를 짐작하듯이, '유전체의 주름'과 같은 이 마크를 연구에 활용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후성유전학에서 메틸레이션은 유전자를 침묵하게 하는 화학적 변화를 말한다. 유전자를 켜는 아세틸레이션(Acetylation)의 반대 개념이다. 논문의 수석저자를 맡은 아이데커 교수는 "한 살 ...
"태아기 후성유전 변이 17%는 청소년기까지 간다" 2020-03-03 17:18:17
"태아기 후성유전 변이 17%는 청소년기까지 간다" 임신 기간과 후성유전 변이 상관관계 규명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대 연구진, 저널 '유전체 의학'에 논문 (서울=연합뉴스) 한기천 기자 = 조산(早産)은 임신 29주를 지나 37주 이전에 아기가 태어나는 것을 말한다. 전 세계에서 태어나는 아기의 5~10%가...
올해 과학계 최고 혁신성과는 '사상 첫 블랙홀 직접 관측' 2019-12-20 04:00:00
9월 후성유전체학 기법을 바탕으로 고인류인 데니소바인의 얼굴을 복원한 결과, 현대인류나 네안데르탈인보다 얼굴이 더 넓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구글의 양자컴퓨터 칩 '시커모어'도 올해의 혁신성과로 선정됐다. 구글은 10월, 현존하는 최고 성능의 슈퍼컴퓨터로 1만년이 걸리는 난수 증명 문제를...
"'유전자 매뉴얼' 해석 단백질 돌연변이로 윌름즈종양 유발" 2019-12-19 17:02:26
단백질은 유전체의 동일한 위치에 결합했다. ENL 돌연변이 단백질도, 어떤 유전자가 켜져야 하는지를 알아내는 능력에는 문제가 없다는 걸 시사한다. 그러나 ENL 돌연변이 단백질은 같은 위치에 너무 많이 몰려, 끊임없이 유전자의 RNA 전사가 일어나게 했다. 이는 유전 정보로 단백질이 형성되기 전에 처음 거치는 단계다....
"장의 미생물 균형 깨지면, 산발적 직장·결장암 유발" 2019-11-19 15:12:03
박테리아 유전체의 염기 서열을 분석했다. 이어 누적 메틸화 지수(CMI)로 관련 유전자 3종의 초 메틸화 수위를 표시하고, 수검자를 CMI 양성과 CMI 음성 두 그룹으로 나눠 분석했다. 이는 무증상 직장·결장암 종양을 초기에 검진하는 혈액 검사법 개발에 목표를 둔 예비 연구였다. 그 결과 'CMI 양성'은 산발적...
"유전자 온·오프 제어 관여하는 단백질 6종 발견" 2019-09-24 15:29:13
공개된 보고서 개요에 따르면 MSKCC의 후성유전학 센터 소장인 크리스티안 헬린 교수팀은 코펜하겐대 부설 '생명공학 연구·혁신 센터(BRIC)' 등의 과학자들과 협업해 유전자의 온·오프 제어 메커니즘을 수년간 연구했다. 유전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핵심 단백질 복합체 가운데 하나가 PRC2이다. 그런데...
서경배과학재단, 박주홍 등 신진과학자 4명 후원 2019-09-19 17:49:01
교수는 후성 전사체에 일어나는 다양한 변이가 특정한 뇌 발달 단계와 뇌 기능에 작용하는 기초 기전을 밝혀내기 위한 혁신적 연구를 했다. 이유리 교수는 기존의 국한된 시각으로 바라보던 세포벽이 다이내믹한 유기체로서 세포의 운명을 결정하는 데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제출했다. 이은정 교수는 인간 유전체에서...
"'도약 유전자' 트랜스포존, 잠금장치 풀리는 이유 규명" 2019-09-17 15:14:19
트랜스포존은 같은 유전체 내의 다른 유전자를 공격해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트랜스포존이 바이러스와 함께, 진화의 부산물이자 재료 물질이라는 엇갈린 평가를 받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인간의 유전체에서 트랜스포존의 위험한 복제와 발현을 막는 게 '헤테로크로마틴(heterochromatin)'이라는...
미래셀바이오, 치매치료 개발 청신호…돼지 생신기술 美 특허 등록 2019-09-09 11:12:03
일환으로 `알츠하이머 질환모델 돼지개발과 후성유전체 연구(연구책임자 제주대학교 박세필 교수)`로 수행됐으며, 관련 논문이 저명국제학술저널인 PLOS ONE(미국 공공과학 온라인 학술지)에 게재됐다. 이 특허 기술은 바이온의 관계사인 미래셀바이오에 기술이전됐다. 미래셀바이오는 전라남도 생물의약센터에서 주관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