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4명 일하는 외국계기업 한국지사는 '5인미만 사업장'일까, 아닐까 2024-11-05 16:51:34
조항을 적용하지 않는다(근로기준법 제11조). 5인 미만 사업장에 대하여 적용이 제외되는 조항은 각종 해고 제한 규정과 해고의 서면통지, 부당해고 구제신청에 관한 규정, 휴업수당, 연장·야간 및 휴일근로, 연차유급휴가에 관한 규정 등과 같이 국내에서 근로자를 사용하여 사업을 영위할 때 가장 문제되고 사업 운영에...
1억 넘는 고액 연봉자…美·日선 '강제 퇴근' 없다 2024-11-03 18:10:37
고액 임금 근로자는 연간 평균 급여의 세 배에 달하는 1075만엔(약 9700만원) 이상을 버는 사람이다. 일본에선 근로자의 건강권이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함께 두고 있다. 예컨대 근로시간 간격을 최소 11시간 이상 확보하도록 하거나 연간 104일 이상의 휴일을 부여하게 규정하는 식이다. 허세민 기자...
[단독] 與, 보조금 근거 담은 반도체특별법 이번주 당론 발의 2024-11-03 17:39:26
이그젬션’(고연봉 관리·전문직 근로시간 규제 적용 제외)은 논의에서 아예 빠지는 등 기대에 못미치는 지원책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3일 국민의힘 안팎에 따르면 당은 이번주 중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장인 이철규 의원 명의로 반도체 특별법을 발의한다. 당 고위 관계자는 “반도체 업계에 대한 직접...
안호영 "크래프톤, 포괄임금제 편법 운영…실태 조사해야" 2024-10-25 18:36:43
전반의 근로 환경에 대한 실태조사를 요구했다. 김민석 고용노동부 차관은 "크래프톤은 2023년 이후 신고된 사건이나 임금체불 사건이 없다"면서도 "현황을 파악해 보고하겠다"고 말했다. 크래프톤 관계자는 이날 질의와 관련해 "추가 연장근로, 야간·휴일 근로 수당은 별도로 구분해 법정기준에 맞춰 보상휴가를 제공하고...
"알바생 신고했다가 맞고소"…'전과자' 내몰린 사연 봤더니 [곽용희의 인사노무노트] 2024-10-20 16:23:12
및 근로일별 근로 시간, 계약기간, 휴게시간, 휴일 및 휴가, 종사 업무 등의 사항을 명시해야 한다. 일부 항목을 누락하면 위반 항목 숫자 별로 30~50만원 사이의 벌금형이 부과될 수 있다. 항목이 헷갈린다 싶으면 고용노동부 표준근로계약서 서식을 다운받거나 구인·구직 포털이 제공하는 양식을 가져다 쓰는 게 가장...
알바생 10명 중 3명 "고용주와 갈등 경험"···'근로 시간' 문제 가장 많아 2024-10-16 14:46:31
근로 등 ‘근로 시간’과 관련한 문제가 31.1%(복수응답)의 응답률로 가장 많았다. 이어 열악한 휴게공간, 휴게시간 미준수 등 ‘휴식(27.2%)’이나 ‘임금 체불(24.5%)’, 부당 업무 지시 등 ‘괴롭힘(24.3%)’이 뒤이었고 ▲휴일 및 휴가 위반(15.2%) ▲근로계약서 미작성, 작성...
긱워커 매년 느는데 보호방법 두고 논란 2024-10-15 17:48:48
특수형태근로 종사자를 근로기준법상 근로자 수준으로 강하게 보호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박주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6월 발의한 ‘일하는사람법(안)’은 플랫폼 노동자에게 유급 휴일, 부당계약 해지 금지, 직장 내 괴롭힘 금지 등 근로기준법 규정을 동일하게 적용하자는 내용이 담겼다. 반면 경영계는 자유로운 근...
"여직원 배 나왔는지 확인하라니"…고용부의 '황당 요구' [곽용희의 인사노무노트] 2024-10-13 07:22:53
근로를 하게 해서는 안 된다. 당연히 야간, 휴일근로도 시켜선 안 된다. 위반 시 2년 이하 징역 또는 2000만 원 이하의 벌금을 맞을 수 있는 중대한 규정이다. 임신 근로자가 임신 사실을 회사에 통보하면 당연히 사업주는 임산부에게 연장근로를 시키지 말아야 할 의무가 발생한다. 문제는 근로자가 사실을 알리지 않은...
평균임금은 무조건 통상임금보다 많아야 한다? 2024-10-08 17:41:58
제61조), 임신기간 근로시간 단축제도, 연장·야간·휴일근로시간 제한, 휴일근로의 연장근무 포함 여부에 대한 논쟁, 근로시간의 특례업종 축소 등 일련의 제도들을 통해 사업장에 따라서는 실근로시간이 단축되는 모습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 또한 통상임금에의 산입대상 측면에서 보면, 과거 평균임금에는 해당하지만...
"창간 60년 기획 '7대 제언' 눈길…부동산 과열 부추기는 보도 주의" 2024-10-03 18:29:03
위원은 “국군의날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는 등 10월에 휴일이 크게 늘었다”며 “주4일 근무제도 가시권에 들어오는 등 근로시간 단축이 시대의 흐름이 되고 있지만 그에 대한 문제점도 지적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조 위원은 “스타트업 창업자들과 만나보면 향후 한국 사회의 경쟁력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크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