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지방 2017-02-07 08:00:09
'공작정치 피해자 명예회복 투쟁위 구성' 170206-0820 지방-0194 15:29 메타폴리스 화재유족 "사고대책 마련전까지 발인안해" 170206-0829 지방-0195 15:32 무심코 버린 '담뱃불'…강원 연 300건 이상 화재 170206-0830 지방-0196 15:32 '청년 아이디어로 대전 바꾼다' KAIST서 7∼9일 캠프 열려...
오송재단 "K바이오 클러스터, 동남아에 수출" 2016-12-14 18:03:37
척39한 오송의료단지신약 개발~인허가 39원스톱 처리39 입주사 임상비 20분의 1로 줄어 모건스탠리와 펀드 조성도 추진선경 이사장 "조 단위 수출 가능" [ 박영태 기자 ] 지난 10월 충북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를 찾은 유럽 최대 바이오 클러스터인 프랑스 제노폴 관계자들은 엄지손가락을 치켜들었다. 신약 후보물질...
'꿈의 전자파' 테라헤르츠파 세기, 저전력으로 조절 2016-12-08 12:01:08
39꿈의 전자파39라 불리며, 생체조직이나 플라스틱, 금속 내부 등을 조사하는 데 활용된다. 테라헤르츠파를 이용하려면 기계적으로 전자기파의 진행을 막거나 레이저를 반도체 기판에 쪼이는 등의 방법으로 진폭을 변조해야 한다. 주로 그래핀이나 메타물질, 유·무기 화합물 등과 실리콘을 붙인 반도체...
투명망토 원리 이용해 빛 오래 가두는 공진기 개발 2016-10-03 12:00:14
39변환 광학39 이론을 이용해 원형 공진기 안에서도빛이 한쪽 방향으로만 나올 수 있도록 설계했다. 변환 광학은 굴절률을 제어해 빛의 경로를 조절하는 연구 분야로, 투명망토와같은 39메타물질39(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광학특성을 가진 물질)을 제작하는원리로 쓰인다. 변환 광학의 원리를...
꿈의 전자파 '테라헤르츠파' 세기 조절한다 2016-06-16 12:01:09
39꿈의 전자파39라 불리며, 생체조직이나 플라스틱, 금속 내부 등을 조사하는 데 활용된다. 테라헤르츠파를 이용하려면 기계적으로 전자기파의 진행을 막거나 레이저를 반도체 기판에 쪼이는 등의 방법으로 세기를 변화시켜야 하는데, 기존 변조기는 속도가 느리고 부피가 크다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광학특성으로 작동하는 기억·논리연산 메타물질 개발 2016-02-24 09:56:40
이 메모리 메타물질의 원리를 응용, 논리연산이 가능한 논리연산메타물질을 만들어 2비트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이 가능한 논리회로를 시연했다. 이 논리연산 메타물질은 그래핀이 두 개의 강유전체층과 샌드위치 구조를 이뤄두 전기적 입력의 논리 연산 결과가 광학적 특성으로 출력된다. 민 교수는 "이 연구...
'꿈의 전자파' 활용폭 커질까…테라헤르츠파 변조법 발견 2016-01-26 12:01:10
연구팀은 특수하게 디자인한 메타 물질과 그래핀을 결합한 소자에펨토초(1천조분의 1초) 레이저를 쪼여 테라헤르츠파를 발생시켰다. 이 테라헤르츠파는 피코초(1조분의 1초) 단위로 전도도가 바뀌는 그래핀 특성에따라 주파수가 변조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메타 물질 형태를 이용해 원하는 대로...
차세대융합기술원 박상윤 박사 연구팀, 세계 최초 '물이용 메티물질' 개발 2015-10-07 14:35:25
이용한 메타물질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메타물질은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전자기파의 파장보다 작은 크기로 설계된 메타 원자(meta atom)로 이루어진 물질로 전자파와 음파를 흡수하며, 반사를 임의로 조작할 수 있어 스텔스 기능(상대의 레이더망에 포착되지 않는 은폐기능)이...
머리카락 굵기 10만분의 1 '틈새' 열었다 2015-08-06 11:43:00
낮은 농도의 물질을 빠르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초미세 간극을 갖는 금속 구조체는 우수한 물리, 광학적 성질을 지니고 있어 전지(photovoltaics), 광촉매(photocatalysis), 메타물질(metamaterials), 질병진단 센서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응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 왔다....
국내 연구진, 테라헤르츠파 탄소 이온화 현상 첫 확인 2015-07-21 12:00:13
물질 이온화 현상을 일으키는 것을 처음으로 관찰했다고 밝혔다. 한국연구재단 파동에너지제어연구단(단장 이학주) 지원으로 수행된 이 연구 결과는 39사이언티픽 리포트39(Scientific Reports, 5월 22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테라헤르츠파는 1초에 10의 12제곱(tera)만큼 진동하는 주파수를 가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