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日 원전 재가동 포석…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시설 첫 가동 2024-11-07 17:51:32
7호기는 저장률이 90%가 넘는다. 부지 밖으로 반출하지 않을 경우 6·7호기를 재가동해도 4년이면 부지 내 저장 공간이 가득 찬다. 사용후핵연료의 저장 장소 확보는 일본 원전의 시급한 과제다. 일본 전체로는 6월 말 기준 저장 가능 용량의 약 80%가 채워져 있다. 향후 중간저장시설에서 나온 사용후핵연료는 니혼겐엔이...
후쿠시마원전 핵연료잔해 극소량 회수…2011년 사고 후 처음 2024-11-07 13:06:26
특파원 = 도쿄전력은 7일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의 사고 원자로 안에 있던 핵연료 잔해(데브리) 극소량을 회수했다고 밝혔다. 교도통신과 NHK에 따르면 도쿄전력은 후쿠시마 제1원전 2호기 격납용기 안 핵연료 잔해에서 떼어낸 3g이하를 전용 금속제 용기에 넣어 꺼냈다. 동일본대지진에 의한 2011년 3월 사고 후...
"건물·차량까지 선명"…초소형 군집위성 1호 촬영 영상 공개 2024-11-07 06:00:09
군집위성 1호기의 영상이 처음 공개됐다. 우주항공청과 국가정보원은 지난 4월 24일 발사한 초소형군집위성 1호기가 촬영한 영상을 7일 공개했다. 초소형군집위성은 한반도와 주변 해역을 높은 빈도로 정밀 감시하고 국가 위기 상황이나 재난재해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 중인 지구관측 실용위성이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檢, '외국공무원에 뇌물 공여' 혐의 현대건설 강제수사 착수 2024-11-06 13:27:42
2호기를 건설하는 과정에서 지역 주민과 환경단체의 민원을 무마할 목적으로 이 지역 군수였던 순자야 푸르와디사스트라에게 6차례에 걸쳐 5억5000만원의 뇌물을 전달했다고 보고 있다. 해당 사실은 2019년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김성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개하면서 알려졌다. 현대건설로부터...
현대건설, '20조원 규모 불가리아 원전공사' 설계계약 체결(종합) 2024-11-05 15:36:16
시작한 불가리아 최초의 원자력발전소다. 1∼4호기는 노후화 문제로 폐쇄됐으며, 지금은 러시아에서 개발된 가압경수로형 모델 5∼6호기가 운영 중이다. 이번에 신규 건설이 확정된 7∼8호기는 웨스팅하우스의 대형 원전 모델인 AP1000 노형이 적용될 예정이다. AP1000 모델은 개량형 가압경수로 노형으로, 미국과 유럽...
탄소배출권, 이상고온에 주춤…악재 딛고 반등할까 2024-11-05 10:31:26
원전 1호기의 상업용 운전을 2028년 재개하기로 한 상태다. 챗GPT 개발사 오픈AI도 원전 에너지 확보에 나섰다. 샘 올트먼 챗GPT CEO가 이사회 의장으로 있는 오클로(Oklo)는 2027년 가동을 목표로 첫 SMR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 같은 겹악재에도 중장기적으로 탄소배출권 가격이 우상향 곡선을 그릴 것이란 긍정적...
현대건설, '20조원 규모 불가리아 원전공사' 설계계약 체결 2024-11-05 10:29:28
1∼4호기는 노후화 문제로 폐쇄됐으며, 지금은 러시아에서 개발된 가압경수로형 모델 5∼6호기가 운영 중이다. 이번에 신규 건설이 확정된 7∼8호기는 AP1000 노형이 적용될 예정이다. 2035년까지 가동이 목표다. 앞서 입찰에서 벡텔, 플루어 등 해외 유수의 기업이 참여했지만, 현대건설만 사전 요건을 충족했다....
美국방부 "국무부, 한국에 E-7 조기경보기 4대 판매 승인" 2024-11-05 07:05:50
1호기를 도입한 것을 시작으로 현재 총 4기의 E-7 공중조기경보통제기를 운용 중이며, 이를 추가도입하는 방안을 추진해 왔다. 미국의 무기판매는 국방부와 방위산업체가 수입국과 협상을 체결한 뒤 국무부, 의회의 승인을 거쳐 마무리된다. hrse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日 대형로켓 H3 4호기 발사 성공…방위 통신위성 성공적 분리 2024-11-04 16:33:47
지난해 3월 발사한 H3 1호기는 2단 엔진 점화 장치 이상으로 임무 달성에 실패했으나 올해 2월 쏘아 올린 2호기, 7월 발사한 3호기는 잇달아 성공한 바 있다. 일본 정부는 연간 H3 6기를 발사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sungjinpar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쓰나미 덮쳤던 日 오나가와원전, 닷새 만에 장비 문제로 정지 2024-11-04 10:05:05
덮쳤고, 2호기 원자로는 건물 지하가 침수되는 피해를 입었다. 도호쿠전력은 안전 대책을 마련해 13년7개월 만에 원자로를 재가동해 내달 상업용 운전을 시작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이 같은 문제가 발생해 향후 일정이 불투명해졌다. 오나가와 원전 2호기는 동일본 대지진으로 노심용융(멜트다운) 사고가 일어났던 후쿠시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