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창원국가산단 40년] 경남테크노파크, 기계·로봇·지능형·바이오산업 육성 앞장 2014-04-01 07:00:07
지능형기계시스템과 기계융합소재 등을 집중 육성키로 함에 따라 지역산업의 구조 고도화와 창조경제 정책에 부합할 수 있는 지역특화산업 육성을 추진해오고 있다. ‘5+1 핵심전략산업’은 지능형기계시스템, 기계융합소재, 조선해양플랜트, 항공우주, 첨단나노융합, 항노화바이오 등이 해당된다. 최근 창원산단이...
[파워인터뷰 the CEO] 이기섭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원장 2014-03-27 17:52:06
경제시스템" 예) 영국 : 창조경제는 IT 거품 붕괴 이후 영화, 음악, 예술, 패션, 문학 등 문화미디어산업 등 창조적인 산업을 기반으로 경제를 살리기 위한 전략으로 활용 한국형 창조경제 - "창조적 혁신으로 산업간 융합을 통해 신성장동력을 창출함으로써 우리 경제의 부가가치와 생산성을 높여 성장과 고용을 창출하는...
[라이프 스트리트] 오늘의 라이프계 소식 2014-03-12 22:08:59
레드닷(reddot) 디자인 어워드에서 나노미니 정수기와 에어워셔가 디자인상을 수상했다고 전했습니다. 동양매직 나노미니 정수기는 공간 활용성을 최대한 높인 국내 최소 사이즈인 폭 175mm로 디자인 되었으며, 상단에서 전면으로 흐르는 라인을 세련되게 표현한 미니멀한 디자인으로 무 냉매 쿨링 시스템을 적용한 친환경...
[2014 대학총장 인터뷰①] 첫 학부 신입생 받는 DGIST 신성철 총장 "연구원 아닌 창업리더 키우겠다" 2014-03-04 11:11:24
ict 분야는 얼마나 넓습니까. 그중에서도 사이버물리시스템(cps) 분야를 특화할 겁니다. 구글 무인자동차도 cps 초기 단계로 볼 수 있어요. 미국 카네기멜론대 미시간대 펜실베이니아대(유펜) 버지니아대 등 해외 4개 대학과 dgist가 같이 cps글로벌센터를 설립했습니다. 신물질 분야에선 로렌스 버클리 내셔널랩과 dgist가...
박 대통령 오늘밤 스위스 대통령과 정상회담 2014-01-20 06:17:14
청와대의 설명이다. 구체적 의제는 정밀기계, 바이오, 나노 등 첨단기술 분야, 공동 r&d(연구개발), 에너지, 금융협력, 의약분야 협력 방안과 세계 최고의 첨단제품을 생산하는 기술자 양성 교육시스템 및 과학기술분야 협력 방안 등이다. 박 대통령은 또 스위스가 중립국감독위원회(nnsc) 활동으로 한반도 평화·안정에...
[인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4-01-15 17:14:42
▲ 사이버보안시스템연구부장 김 정 녀 □ 융합기술연구소 ▲ IoT융합연구부장 방 효 찬 ▲ 스마트그린라이프연구부장 김 현 ▲ 바이오의료IT융합연구부장 김 승 환 □ 부품소재연구소 ▲ 나노광전집적연구부장 양 우 석 □ 방송통신미디어연구소 ▲ 위성무선융합연구부장 안 재 영...
[인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4-01-15 14:05:34
사이버보안기반연구부장 진 승 헌 ▲ 사이버보안시스템연구부장 김 정 녀 □ 융합기술연구소 ▲ IoT융합연구부장 방 효 찬 ▲ 스마트그린라이프연구부장 김 현 ▲ 바이오의료IT융합연구부장 김 승 환 □ 부품소재연구소 ▲ 나노광전집적연구부장 양 우 석 □ 방송통신미디어연구소 ▲ 위성무선융합연구부장 안 재 ...
<인사>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4-01-15 13:17:21
사이버보안시스템연구부장 김정녀 ◇ 융합기술연구소 ▲ IoT융합연구부장 방효찬 ▲ 스마트그린라이프연구부장 김현 ▲ 바이오의료IT융합연구부장 김승환 ◇ 부품소재연구소 ▲ 나노광전집적연구부장 양우석 ◇ 방송통신미디어연구소 ▲ 위성무선융합연구부장 안재영 ▲ 전파기술연구부장 최형도 ◇...
마크로젠, 美 일루미나 유전체분석 시스템 도입 2014-01-15 09:03:00
bt(바이오기술), ict(정보통신기술), nt(나노 기술)가 융합된 바이오 창조경제 생태계를 한층 활성화시킬 수 있는 원동력"이라고 말했다. 일루미나의 hiseq x ten 시스템이 우선 공급되는 기관은 미국 하버드·mit 브로드연구소, 호주 가반의학연구소 등 2개 연구기관과 마크로젠 등 단 3곳 뿐이다. 마크로젠은 세계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