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스마트옷에서 건강로봇까지…미래 삶 어떻게 바뀔까> 2013-12-19 16:30:09
▲ 첨단소재 가공시스템 ▲ 고속-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 시스템 ▲ 극한환경용 해양플랜트 ▲ 탄소소재 ▲ 첨단산업용 비철금속 소재 ▲ 나노기반 생체모사디바이스 ▲ 가상훈련 플랫폼 ▲ 고효율 초소형화 발전시스템 ▲ 저손실 직류 송배전 시스템 등이 13대 대형융합과제에 포함됐다. 정만기 산업통상자원부...
산업부, 창조경제 실체 `대형융합과제 13개` 추진 2013-12-19 16:29:00
소재 가공시스템, 국민 안전·건강 로봇 등입니다. 또 에너지 산업분야는 고효율 초소형화 발전시스템과 저손실 직류 송배전시스템이며 소재·부품 산업은 탄소소재(플라스틱), 첨단산업용 비철금속 소재(티타늄)이며 창의 산업은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시스템과 나노기반 생체모사 디바이스, 가상훈련 플랫폼 등입니다....
금호석유화학, `꿈의 소재` 탄소나노튜브 상업생산 2013-12-11 11:40:40
소재공장 내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생산공장을 준공하고 본격적인 상업생산에 들어간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2009년 신소재 개발을 위해 탄소나노튜브 사업진출을 선포한지 4년만의 결실입니다. 금호석화의 탄소나노튜브 `K-나노스(K-NANOS)`는 3가지 라인업의 제품을 생산하며 고밀도화 기술을 통해 분말...
용량 5배 많은 리튬황 전지 개발 < KAIST> 2013-12-03 09:16:16
탄소를 코팅함으로써 황과 전해액이 직접 접촉하지 못하도록 해 기존 충·방전시 황이 녹으면서 용량이 감소하는 문제점을 해결했다. 개발된 전극은 300회의 충·방전에도 초기 용량의 99.2%를 유지했으며, 1천회의충·방전 이후에도 70% 이상의 용량을 보였다. 김도경 교수는 "이번에 개발된 리튬황 전지는...
상보, 하이브리드 투명전극 관련 국책과제 주관기업 선정 2013-11-14 14:25:47
은나노와이어·탄소나노튜브(agnw·cnt) 하이브리드 투명전극 및 무에칭 패턴형성 기술'에 대한 국책과제 주관기업으로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 이 기술은 은나노와이어와 탄소나노튜브의 장점을 모두 갖고 있는 투명전극 패턴 형성 기술이란 설명이다. 기존 투명전극 패턴공정에 비해 공정수를 줄이는 동시에 에칭공정...
상보, `감광성 은나노 활용 무에칭 패턴 기술` 국책 과제 주관기업 선정 2013-11-14 14:24:07
나노와이어/ 탄소나노튜브(AgNW/CNT) 하이브리드 투명전극 및 무에칭 패턴형성 기술`에 대한 국책과제 주관기업으로 선정됐다고 14일 밝혔습니다. 이 기술은 은나노와이어(AgNW)와 탄소나노튜브(CNT)의 장점을 모두 갖고 있는 투명전극 패턴 형성 기술로서 기존 투명전극 패턴공정에 비해 필요 공정수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상보, 신소재 기업 도약‥CNT상용화 2013-11-06 13:35:07
CNT라 불리는 탄소나노튜브를 활용한 터치 필름과 터치센서의 상용화를 진짜 했는지에 대한 관심이 높은데요. 제가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대표이사를 만나 여러 얘기를 듣고 왔습니다. <앵커2> 탄소나노튜브 관련한 내용이 가장 궁금하긴 하지만 그래도 오늘 상보라는 회사를 처음 듣는 시청자 분들도 계실테니... 회사에...
한국과기원 8일 '과학이 만들 미래의 삶' 워크숍 2013-11-06 13:13:41
소자를 위한 도핑된 탄소 나노소재 기술 (김상욱 KAIST 교수) ▲ 자가발전 유연전자 시스템 (이건재 KAIST 교수) ▲ 영화 관람 시 관객 체험의 진보 (노준용 KAIST 교수) ▲ 뇌과학 관전으로 본 미래 라이프스타일 (김대식 KAIST 교수) ▲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를 위한 반도체 집적회로 (조성환 KAIST 교수)등을 주제로...
KAIST 김상욱 교수 탄소신소재로 국제학술지 리뷰논문 2013-11-05 09:34:26
탄소 신소재 개발'을 주제로 재료분야 권위 있는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 지난 14일자에 리뷰논문을 게재했다고 5일 밝혔다. 최근 주목받는 그래핀이나 탄소나노튜브 같은 신소재는 재료 특성은 우수하지만산업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원소를 도핑(첨가)해야 한다....
볼보, 배터리 섬유 개발‥`차체가 배터리` 중량 낮추고 전력효율 높이고 2013-10-23 14:24:37
공개했다고 23일 밝혔다. 배터리 섬유 소재는 차체가 배터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된 혁신적인 신소재다. 탄소 섬유, 나노 구조의 배터리, 슈퍼 축전기로 구성된 배터리 섬유 소재는 철강재보다 튼튼하지만 무게와 부피를 줄여 효율성과 친환경성을 동시에 만족시켰다는 것이 볼보 측의 설명이다. 이 신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