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트럼프노믹스의 서막…'초'강달러 오나 2025-02-03 15:46:11
미국발 관세 전쟁이 본격 시작된 상황이군요. 우리 경제와 수출에는 어떤 영향을 줄까요? <기자> 이번 3대 수입국 관세 부과 결정은 트럼프가 예고했던 대로 2월에 나온 점에 주목해야 합니다. 타임라인에 따라서 이뤄지고 있다는 뜻이죠. 상무장관 지명자, 하워드 루트닉은 앞선 청문회에서 4월 중 EU에 보편관세를...
"트럼프 1기 '한국 세탁기 관세' 결국 美소비자 부담" 2025-02-03 11:59:35
4인 기준으로 3천242달러(약 477만원) 상당의 경제적 손실을 입을 수 있다고 예측했다. 이는 미국 소비자가 자국산 제품으로 대체 소비를 하지않고 관세의 100%가 제품 가격 인상으로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한 것이다. ING의 수석 국제 이코노미스트인 제임스 나이틀리는 이런 영향이 즉시 느껴지지...
"대출이자 639만원 줄였다"…뱅크몰, 2024 데이터 리포트 공개 2025-02-03 11:05:24
수 있었다. 1개 은행을 방문하는 데 1시간이 걸린다고 가정한다면, 조회 한 번에 16.8시간을 아낄 수 있었다고 한다. 작년 7월부터 혁신 금융 서비스 '온·오프라인 대출 모집인 연계 서비스'로 대출 모집인의 역경매 제안 및 상담 서비스도 받아볼 수 있다. 이용자가 아파트, 빌라, 오피스텔 등 다양한 담보에...
관세에도 주가 버틴다? 계속되는 희망고문…골드만 "단기로 끝"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2025-02-03 08:47:10
한다"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관세의 경제적 영향의 (엄청난) 규모를 감안할 때, 발표된 관세가 영구적일 것이라고 가정하는 걸 주저한다. 하지만 우리는 시장이 이런 위험을 심각하게 과소평가해 왔다고 본다"라고 밝혔습니다. 찰스 슈왑은 "시장은 트럼프가 경제 정책 도구가 아닌, 협상도구로 극적인 관세 발표를 계속...
퇴로없는 관세전쟁…트럼프 '고통감수' vs 加·멕·中, 대응착수 2025-02-03 07:04:24
우리는 여전히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경제, 최고의 국민과 노동자를 갖고 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조치를 옹호했다. 그러나 미국 내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조치가 인플레이션을 초래하는 등 미국 국민과 산업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계속되고 있다. 미국 민주당 척 슈머 상원 원내대표는 이날 뉴욕에서...
당장 對美 수출 10% 감소…글로벌 확전 땐 448억달러 증발 2025-02-02 17:56:55
한국 경제의 주요 동력인 수출이 최대 448억달러(약 62조원) 감소하는 최악의 상황에 이를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韓 경쟁력 높은 산업일수록 타격 커2일 한국경제신문이 입수한 산업연구원 ‘미국 보편관세 부과 시나리오별 한국의 대미 수출 영향’ 분석에 따르면 미국이 멕시코와 캐나다에 관세 25%, 중국 등...
트럼프 관세 행정명령 전문 어떻게 구성됐나 [글로벌 관세정책] 2025-02-02 15:35:50
서명했다. 다음은 백악관 홈페이지에 게시된 행정명령 전문. === 저는 미국의 대통령으로서 헌법과 국제긴급경제권한법(50 U.S.C. 1701 et seq.) (IEEPA), 국가비상사태법(50 U.S.C. 1601 et seq.) (NEA), 1974년 무역법 제604조 개정판(19 U.S.C. 2483), 및 제목 3의 섹션 301에 따라 부여된 권한을 이용하여, 도널드 J....
'관세 근거' 펜타닐 실태는…트럼프 "많은 사망자·파괴 초래" 2025-02-02 10:46:03
경제에 이례적이고 특별한 위험의 원인이 된다고 판단되면 대통령에게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함으로써 경제 거래를 통제할 광범위한 권한을 부여한다. 미 의회조사국(CRS)에 따르면 지난해 초까지 미국 대통령이 IEEPA를 활용한 것은 69건이다. 1979년 이란의 미국인 인질 사태와 관련해 이란 제재를 위해 처음 발동됐다....
달라진 '위상'…일본·대만 제쳤다 2025-02-02 07:27:17
예상된다. 올해는 정부 전망대로 경제 성장세가 이어진다면 1인당 GDP는 다시 3만7,000달러대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경상성장률(3.8%)을 적용하고 원·달러 환율이 작년과 같은 수준이라고 가정하면, 올해 1인당 GDP는 지난해보다 1,417달러 늘어난 3만7,441달러가 될 것으로 추산된다. (사진=연합뉴스)
작년 한국 1인당 GDP 3만6천24달러 추산…일본·대만보다 높아 2025-02-02 07:01:01
달했을 것이다. 올해는 정부 전망대로 경제 성장세가 이어진다면 1인당 GDP는 다시 3만7천달러대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5년 경제정책방향에서 발표한 올해 경상성장률(3.8%)을 적용하고 원/달러 환율이 작년과 같은 수준이라고 가정하면, 올해 1인당 GDP는 지난해보다 1천417달러 늘어난 3만7천441달러가 될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