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한반도, 하와이 방향으로 매년 3cm씩 이동한다 2024-06-03 14:30:58
확인할 수 있어 한반도 주변에 강진이 발생할 경우 미치는 영향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조우석 국토지리정보원장은 "GNSS 지각변동 감시시스템으로 다양한 측량 및 지구 물리 연구를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정밀한 위치 기준을 정립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안정락 기자 jran@hankyung.com
日 노토반도서 규모 6.0 지진…"연초 강진의 여진"(종합2보) 2024-06-03 11:59:56
강진이 발생한 이시카와현 와지마시에서는 진도 5강의 흔들림이 감지됐다고 밝혔다. 기상청은 애초 지진 규모를 5.9, 진원 깊이를 10㎞로 각각 추정했다가 데이터 분석을 거쳐 규모 6.0, 진원 깊이 14㎞로 수정 발표했다. 일본 기상청 지진 등급인 진도는 절대 강도를 의미하는 규모와는 달리 해당 지역에 있는 사람의...
한반도, 하와이 방향으로 연간 3㎝씩 움직인다 2024-06-03 11:00:04
한반도 주변에 강진이 발생할 경우 미치는 영향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조우석 국토지리정보원장은 "GNSS 지각변동 감시시스템으로 다양한 측량 및 지구 물리 연구를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정밀한 위치 기준을 정립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chopar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정부의 잇따른 '독도' 실수…서경덕 "日에 빌미 제공하는 꼴" 비판 2024-05-12 22:06:50
일본 이시카와현 지역에서 규모 7.6의 강진이 발생했을 때 일본 기상청이 발표한 자료다. 뒤늦게 이를 파악한 행안부가 문제의 영상을 삭제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했으나 독도를 정치적으로 쟁점화하고 있는 일본에 빌미만 제공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국방부, 외교부에 이어 이번에는 행안부...
'독도 일본땅' 표기된 지도, 민방위 교육영상에 등장 2024-05-10 21:14:35
7.6의 강진이 발생했을 때 일본 기상청이 발표한 자료다. 당시 일본 기상청 자료에는 독도가 자국 영토인 것처럼 쓰나미 주의보 지역에 포함해 문제가 됐다. 한국 외교부는 이에 대해 엄중히 항의했다. 행안부는 이런 사실이 알려지자 연합뉴스에 "사전 검토에도 불구하고 교육 영상에 부적절한 자료가 활용돼 이를 즉시...
'독도 일본땅'…민방위 교육 영상에 버젓이 2024-05-10 20:56:54
규모 7.6의 강진이 발생했을 때 일본 기상청이 발표한 자료다. 당시 일본 기상청 자료에는 독도가 자국 영토인 것처럼 쓰나미 주의보 지역에 포함해 문제가 됐다. 행안부는 일부 보도로 이런 사실이 알려지자 "사전 검토에도 불구하고 교육 영상에 부적절한 자료가 활용돼 이를 즉시 삭제하였으며 다른 교육 영상으로...
대만여행 주의…"규모 7 여진 가능성" 2024-04-28 22:26:02
지난 3일 규모 7.2의 강진이 발생한 대만에서 앞으로 규모 7 이상의 여진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이 나왔다. 28일 대만언론에 따르면 천원산 국립대만대학교 지질학과 명예교수는 전날 페이스북을 통해 "3일 동부 화롄 지역에서 규모 7.2 강진이 발생한 이후의 여진 90%가 해당 지진이 발생한 링딩 단층에서 일어났다"고...
대만 지질 전문가 "향후 규모 7이상 여진 가능성 배제 못해" 2024-04-28 18:20:09
규모 7.2의 강진이 발생한 대만에서 향후 규모 7 이상의 여진이 발생할 수 있다는 대만 전문가 분석이 나왔다. 28일 중국시보와 연합보 등 대만언론에 따르면 천원산 국립대만대학교 지질학과 명예교수는 전날 페이스북에서 이같이 밝혔다. 천 명예교수는 지난 3일 동부 화롄 지역에서 규모 7.2 강진이 발생한 이후의 여진...
대만 전문가 "규모 7이상 여진 가능성 배제 못해" 2024-04-28 17:15:15
규모 7.2의 강진이 발생한 대만에서 향후 규모 7 이상의 여진을 배제할 수 없다는 대만 전문가 분석이 나왔다. 28일 중국시보와 연합보 등 대만언론에 따르면 천원산 국립대만대학교 지질학과 명예교수는 전날 페이스북에서 이같이 밝혔다. 천 명예교수는 지난 3일 동부 화롄 지역에서 규모 7.2 강진이 발생한 이후의 여진...
인니 자바섬 남부 바다서 규모 6.1 강진…자카르타도 흔들(종합) 2024-04-28 11:02:22
있어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2004년 12월에는 규모 9.1의 대지진으로 인한 대규모 쓰나미로 인도네시아인 17만 명 등 총 22만 명이 숨졌으며 2022년 11월에는 서자바주 치안주르에서 규모 5.6의 강진이 강타하면서 600명이 넘는 사망자가 발생했다. laecorp@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