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그래픽] 세계 최초로 관측된 'M87' 블랙홀 2019-04-10 22:22:40
'M87' 블랙홀 (서울=연합뉴스) 김토일 기자 = 세계 최초로 초대질량 블랙홀 모습이 공개됐다. 국내 천문학자를 포함한 사건지평선망원경(EHT·Event Horizon Telescope) 연구진은 거대은하 'M87' 중심부에 있는 블랙홀 관측에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kmtoil@yna.co.kr 페이스북 tuney.kr/LeYN1 트위터...
[그래픽] EHT 과학사 최초 '실제 블랙홀' 관측 성공 2019-04-10 22:07:22
과학사 최초 '실제 블랙홀' 관측 성공 (서울=연합뉴스) 김토일 기자 = 세계 최초로 초대질량 블랙홀 모습이 공개됐다. 국내 천문학자를 포함한 사건지평선망원경(EHT·Event Horizon Telescope) 연구진은 거대은하 'M87' 중심부에 있는 블랙홀 관측에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kmtoil@yna.co.kr 페이스북...
'블랙홀의 그림자' 관측 성공…"블랙홀 연구에 새 장 열려" 2019-04-10 22:07:01
무엇보다 고해상도의 장비가 있어 가능했다. 블랙홀은 매우 밀집된 천체이므로, 거대질량 블랙홀이라도 지구에서는 볼 때는 하나의 점에 불과할 정도로 작은 크기다. 지구 질량의 블랙홀은 크기가 탁구공의 절반보다 작다. 임명신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지구 규모의 전파망원경, 최고의 '돋보기안경'이 있어...
세계 과학사 최초 '실제 블랙홀' 관측 성공 2019-04-10 22:07:00
질량 블랙홀 모습이 공개됐다. 국내 천문학자를 포함한 사건지평선망원경(EHT·Event Horizon Telescope) 연구진은 거대은하 'M87' 중심부에 있는 블랙홀 관측에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EHT는 블랙홀 영상을 포착하기 위해 국제협력을 통해 구축한 지구 크기의 거대한 가상 망원경이다. 세계 각지의 전파망원경을...
블랙홀 관측 ETH 프로젝트 "획기적 결과 발표" 예고 2019-04-02 15:36:17
블랙홀을 처음으로 직접 촬영한 사진일 것이라는 관측이 유력하게 나오고 있다. 블랙홀은 빛을 포함한 모든 전자기 복사를 흡수해 광학 망원경에서 X선, 감마선, 전파 망원경에 이르는 인류가 가진 어떤 망원경으로도 관측되지 않는다. 그러나 빛의 속도로도 빠져나오지 못하는 블랙홀의 바깥쪽 경계선인 사건의 지평선은...
광학망원경 간섭계로 외계행성 첫 직접 관측 2019-03-28 16:13:10
철과 규산염 먼지구름이 과도한 일산화탄소와 결합해 거대하고 거친 폭풍을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비티 장비는 지난해 은하 중심에 있는 거대 블랙홀의 경계인 '사건의 지평선' 밖에서 빛의 30% 속도로 소용돌이치는 가스를 관측해 내기도 했다. MPIA는 보도자료를 통해 광학 간섭계 방식을 통해 HR8799e...
우리 은하 중심서 에너지·물질 배출하는 '은하 굴뚝' 관측 2019-03-21 10:55:24
A* 양쪽으로 블랙홀에서 약 160광년 떨어진 곳에서 시작돼 522광년에 걸쳐 형성돼 있다. 궁수자리 A*쪽으로 갈수록 밀도가 높고 뜨거워져 굴뚝 안의 에너지와 물질이 은하 중심에서 바깥으로 흘러나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런 에너지와 물질의 근원이 무엇인지는 정확히 확인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초거대질량...
약 130억 광년 떨어진 초기 우주서 초질량블랙홀 83개 발견 2019-03-14 14:42:21
초질량 블랙홀들을 대거 찾아냈다고 밝혔다. 우주 나이는 약 138억년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번에 찾아낸 초질량 블랙홀 중에서는 약 130억5천만 광년 떨어진 초질량 블랙홀이 가장 먼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금까지 관측된 초질량 블랙홀 중 두 번째로 먼 곳에 있는 것으로, 빅뱅이후 7억5천만년 이전에 형성됐음을...
국내 연구진, 지구로 오는 '초속 100m급 우주 에너지' 미스터리 실마리 밝혀 2019-01-03 04:03:00
radio galaxy)’처럼 초거대질량 블랙홀을 포함하는 활동성은하핵도 포함돼 있다”며 “이런 은하와 은하단 충격파 등이 초고에너지 우주선을 만들어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이번 연구는 초고에너지 우주선의 우주 공간 이동에 대해 연구한 첫 번째 사례다.윤희은 기자 soul@hankyung.com
국내 연구진, 지구로 오는 '초고에너지 입자' 생성 가설 제시 2019-01-03 04:00:00
초거대 질량 블랙홀을 포함하는 활동성 은하핵도 포함돼 있다"며 "이런 은하와 은하단 충격파 등이 초고에너지 우주선의 기원일 수 있음을 강력하게 시사하는 연구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의 제1 저자는 김지현 울산과기원 박사후 연구원, 교신저자는 류동수 교수이며, 강혜성 부산대 교수와 김석 한국천문연구원 박사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