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또 "경기 하방 위험"…건설 부진 이어져 2025-02-10 18:32:46
수준에 머무른 가운데, 대외 여건 악화로 경기 하방 위험이 높아지는 모습"이라고 10일 밝혔다. 비상 계엄 사태의 여파에 더해 미국 신정부 출범에 따른 대외 불확실성 확대가 경제 심리 악화로 이어지는 중이라는 판단이다. 승용차, 가전제품, 의복 등 대부분의 품목에서 소매 판매 감소세가 확대되며 상품 소비 부진이...
연말 수주효과 사라지자…건설경기 실사지수 다시 하락 2025-02-10 17:09:49
연말 수주효과 사라지자…건설경기 실사지수 다시 하락 건산연 "체감 건설 경기 부진 지속" (서울=연합뉴스) 오예진 기자 = 연말 수주 효과가 사라지며 1월 건설 경기 실사 지수(CBSI)가 한 달 만에 다시 하락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은 지난달 CBSI가 전월 대비 1.2포인트 하락한 70.4를 나타냈다고 10일 밝혔다....
트럼프發 관세도 극복...코스닥 5거래일 연속 상승·750선 눈앞 2025-02-10 16:21:04
대중국 관세 인하 기대감이 약화되면서 코스피지수가 하락 압력을 받고 있다”며 “당분간 경기민감주 비중을 줄이고 반도체, 인터넷 등 성장주 비중을 늘리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 본 기사는 한국경제TV, 네이버클라우드, 팀벨 3사가 공동 연구 개발한 인공지능(AI) 모델을 통해 생방송을 실시간으로 텍스트화 한...
늪에 빠진 건설·소비…KDI, 두달 째 "경기 하방 위험 확대" 2025-02-10 14:37:10
건설업 생산(-8.3%)이 이를 상쇄했다는 분석이다. 건설경기는 앞으로가 더 문제라는 지적이다. 국내 건설수주액은 지난해 12월 24조873억원으로, 전년 동월(33조593억원) 대비 26% 감소했다. 주택경기 둔화 조짐도 나타나고 있다. 미분양주택이 6만5000호에서 7만호로 증가 전환됐고, 준공 후 미분양 주택도 비수도권을...
후진국도 아닌데…'엥겔지수' 치솟는 일본 [임현우의 경제VOCA] 2025-02-10 14:36:53
지수가 상승했다는 것은 일본 국민들의 체감 경기가 팍팍해졌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작년에는 쌀값 등의 상승이 엥겔지수를 밀어 올린 것으로 분석됐다. 니가타산 고시히카리 쌀의 도매 가격은 한 달 새 35% 급등했다. 일본 경제는 이른바 '잃어버린 30년'으로 불리는 장기 침체에 시달려 왔다. 소득이...
아시아 증시, 트럼프發 관세·강달러에 혼조세...日↑·中·臺↓ 2025-02-10 14:33:31
- 대만가권지수는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감 약화로 달러 강세 및 대만 달러 환율 상승으로 인해 1.1%의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 - 인도 증시 또한 관세와 환율의 영향으로 경기둔화에 금리 인하 조치에도 불구하고sensex지수가 0.7% 하락세를 나타냄. - 베트남 지수는 0.4% 하락해 1269포인트선 지나는 중임.● 아시아 증시,...
KDI 두달째 "경기 하방위험 증대" 진단…국내외 불확실성 지속 2025-02-10 12:00:04
경제에 경기 하방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KDI는 10일 발간한 경제동향 2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생산 증가세가 완만한 수준에 머무른 가운데, 대외 여건 악화로 경기 하방 위험이 높아지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비상계엄·탄핵 정국으로 인한 '경제 충격' 여파가 남아있는 상황에서 미국 신정부...
"철강·알루미늄 관세부과 영향 제한적...영향 적은 업종 확대" 2025-02-10 10:58:14
경기 활성화 방안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미국의 관세 위협에 대해서 제한적인 수준으로 대응할 것으로 예상됨. - 트럼프의 관세 요구는 FTA를 포함한 협상의 수단으로 보이며, 관세 리스크에서 자유로운 소프트웨어나 서비스, 엔터 등의 업종으로 포트폴리오 비중을 조절하는 것이 변동성 장세에서 수익률 보전에 도움이...
미국 주택시장, 가격 안정화되며 거래량 회복 전망 [오대정의 경제지표 읽기] 2025-02-10 09:43:58
원인이 되었다. [표2]는 케이스-실러 주택가격지수와 주택가격상승률(전년 동월 대비 %)이다. [표1]의 부진한 주택시장참여자 심리와는 달리 주택가격은 2023년 초 이후 상승 중이다. 최근 몇 년간 높은 모기지금리와 함께 빠른 주택가격 상승이 거래를 억눌러 왔는데 작년 하반기부터 주택가격 상승률이 3%대로 안정화...
잘나가던 M7 몰락하나?..."무역전쟁·고금리 압박에 첩첩산중" 2025-02-10 07:28:06
있다. 팩트셋에 따르면 S&P500 지수 내 기술 섹터의 주당순이익(EPS) 증가율은 지난해 4분기 전년 동기 대비 2.4% 감소한 데 이어 올해 1분기에도 7.6% 줄어들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애플의 경우 아이폰 출하량이 10% 가까이 감소하면서 매출과 순이익 모두 시장 예상치를 하회했고, 아마존 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