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고대 원시곡물 '카무트' 뛰어난 항산화 효과로 국내 열풍 2015-11-19 14:37:40
정도다. 한국은 밥을 주식으로 하고 있는 만큼 이러한 슈퍼곡물의 인기가 더욱 커질 전망이다.귀리, 렌틸콩, 퀴노아, 아마 시드 등의 슈퍼곡물에 이어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 있다면 바로 카무트다. 고대 이집트에서 재배되었던 원시품종으로 올해 3월, 미국 타임지가 ‘가장 건강한 식품 50가지’로 선정하...
[정병주원장의 척추이야기-11] ‘베개와 경부통’ 2015-08-10 13:56:14
것을 지키기 위해서도 이용되었다 한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주로 나무, 돌과 같은 딱딱한 소재의 베개를 사용했다 하며 로마, 그리스 시대의 고대 유럽에서부터 상류사회를 중심으로 깃털이나 짚, 갈대와 같은 부드러운 소재를 사용하여 베개를 제작하기 시작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베개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다이어트 식단으로 제격! 건강푸드 `카무트`, 15일 국내 론칭 2015-05-13 10:43:32
곡물이다. 고대부터 재배돼 온 곡물 이름이자 호라산 밀의 한 종류이며, 브랜드 이름이기도 한 카무트는 껍질만 벗겨낸 통곡물 상태라 영양이 고스란히 남아있다. 현미보다 더 진한 황금색을 띠며 견과류처럼 씹을수록 고소한 맛이 나고 톡톡 터지는 식감이 재미있다. 영양 또한 여느 곡물보다 풍부하다. 필수 아미노산...
[세계 경제사] 활발한 무역거래로 어음 등장…14세기 이탈리아서 은행 탄생 2015-02-06 18:23:42
지역 북쪽에서 조각난 돌기둥이 발굴됐다. 기원전 1800년께 고대 바빌로니아의 함무라비 법전이었다. 거기에 이자에 관한 기록이 이렇게 나와 있다. ‘상인이 곡물을 빌려줄 때 곡물 1구르에 대해 100실라의 이자를 받는다. 은을 빌려 줄 때는 은 1세켈에 대해 6분의 1세켈 6그레인의 이자를 받는다.’ 1세켈은...
아마란스 효능, 당뇨, 간 기능 개선에 효과적 "안데스 산맥에서 재배" 2015-01-14 20:51:01
네티즌들 사이에서 화제를 모으고 있다. 고대 그리스어 `영원히 시들지 않는 꽃`이라는 말에서 유래된 아마란스는 약 5천 년 전부터 안데스 산맥의 고산지대에서 재배된 식물이다. 아마란스는 우유를 대체할 수 있는 고단백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신이 내린 곡물`로 불린다. 아마란스에는 인체를 구성하는 데 필요한...
[오늘의 키워드] 아라비카 원두 특징, 퀴노아의 효능 2014-12-29 07:40:07
관심을 드러냈다. 퀴노아란 고대 잉카제국에서 감자와 옥수수를 비롯해 3대 작물로 재배된 명아줏과 식물이다. 재배 농가들이 사라지면서 퀴노아에 대한 수요도 점차 줄어드는 추세였으나, 다른 곡물들보다 월등히 높은 영양성분이 재조명되면서 웰빙시대의 건강식품으로 급부상하기 시작했다. 퀴노아의 성분은 평균...
물·보리·바람, 그리고 세월이 빚은 싱글몰트 위스키의 聖地 2014-11-17 07:02:39
다양한 곡물을 증류한 것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지만 맛과 향은 몰트위스키에 크게 못 미쳐 블렌디드 위스키의 재료로 쓰인다. 블렌디드 위스키는 대량생산된 그레인 위스키에 소량의 싱글몰트를 혼합한 것으로 흔히 발렌타인, 조니워커, 시바스리갈 등이 이에 속한다.싱글몰트의 효시 ‘글렌 리벳’싱글몰트는...
[경제학자가 본 한국사] (22) 조선왕조는 어떻게 500년이나 지속될 수 있었을까 2014-07-18 17:35:36
곡물을 방출함으로써 농민들의 생존 위기가 정치적 위기로 비화하는 것을 미리 방지하였을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봄에 종자와 식량을 공급하였다(21회 ‘조선왕조는 세계 최대 곡물 저장 국가’ 참고). 조선왕조는 대중들이 국가에 의지하도록 만드는 데 성공하였던 것이다.렌트 분배와 공공재 공급의 균형이...
[경제학자가 본 한국사] (8) 우리나라 중세는 서양 중세와 무엇이 달랐는가 2014-04-04 18:47:45
있었다. 또한 인류가 원시공동체, 고대 노예제, 중세 봉건제, 근대 자본주의 단계를 밟아 사회주의를 거쳐 공산주의 사회로 전진하는 것이 법칙이라고 믿었던 마르크스 주의 역사학자에게는 그러한 역사법칙이 한국사에서도 관철되고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 미래의 전망을 위해서 중대한 의의를 지니고 있었다. 이렇게...
웨딩부케의 유래, 고대 이집트서 시작 `풍요 상징` 2013-12-06 15:16:03
기원전 3000년경 이집트에서 시작, 당시 고대 왕들은 권력을 나타내기 위해 풍요를 상징하는 곡물 다발을 부케로 사용했고 전해졌다. 이어 중세부터 부케의 소재가 꽃으로 바뀌면서 사랑하는 여자에게 청혼하는 용도로 쓰이기 시작했다. 당시 부케를 받은 여자는 남자의 구애에 대한 허락의 표시로 꽃묶음 중 한 송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