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취재수첩] 블러핑도, 조변석개도 아닌 트럼프 2기 관세 2025-02-03 17:25:41
멕시코산 제품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건 자해와 다름없다는 이유에서다. 미국은 전 세계에서 멕시코에 가장 많은 외국인직접투자(FDI)를 한 나라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2022년까지 총 2300억달러를 투자했다. 산업부 고위 관계자는 트럼프 취임 직후 기자들과 만나 “미국이 멕시코에 관세를 부과하려는 진짜...
하루 만에 560억…'트럼프 공포'에 한국 투자자 몰려간 곳 2025-02-03 16:43:16
무역 지평에 불확실성을 키웠다고 보고 있다. 고율 관세로 각국간 교역 비용이 증가하면 글로벌 무역이 위축될 수 있다. 무역갈등이 고조될 경우엔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와 같이 일부 산업은 기존 공급망이 흔들릴 수도 있다. 이때문에 각국 경제 성장도 둔화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원유 등 주요 원자재...
'보복 관세' 꺼내든 캐나다, 자국 기업에 구제 조치 2025-02-03 16:42:08
대통령의 고율 관세 조치에 대응해 '보복 관세'로 맞불을 놓은 캐나다 정부가 자국 기업 구제 방안을 마련했다. 2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캐나다 정부는 미국에 대한 보복 관세 부과 시 관세를 부담하게 될 자국 수입업체들에 구제 방안을 제공할 예정이다. 로이터통신은 캐나다 기업들이 '감면...
트럼프가 단풍나무에 불질렀다…순한맛 캐나다인들 '대폭발' 2025-02-03 16:27:53
대통령의 고율 관세 부과로 반(反)미 감정이 고조되면서다. 2일 파이낸셜타임스(FT)는 캐나다에서 국산품 소비를 장려하는 '바이 케네디안(Buy Canadian·캐나다산 물건을 사자)' 운동이 벌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에 캐나다도 애국주의로 응수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FT는 "평화롭게...
"캐나다 정부, 자국 기업에 보복관세 구제 조치" 2025-02-03 16:25:55
대통령의 고율 관세 조치에 맞서 '보복 관세' 카드를 꺼내든 캐나다 정부가 자국 기업 구제 방안을 마련한 것으로 전해졌다. 2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캐나다 정부는 미국에 대한 보복 관세 부과 시 관세를 부담하게 될 자국 수입업체들에 구제 방안을 제공할 예정이다. 로이터통신은 캐나다 기업들이...
최상목 "美 관세 조치로 긴장감 고조…가용 수단 총동원" 2025-02-03 16:10:01
대통령의 멕시코, 캐나다, 중국에 대한 고율의 관세 조치로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면서 "미국과 다양한 채널을 통해 적극 소통해 우리의 입장이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멕시코·캐나다 정부 및 현지 진출 기업과도 지속 소통하겠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수출기업 유동성 확보를 위해 역대...
"금값 상승 추세 지속...희토류·정치 테마주 주목" 2025-02-03 14:54:37
- 미국의 고율 관세와 우선주의로 인해 미국으로의 자산 이동이 예상되나, 한국 시장에서도 기회가 있음. - 성장주에서 가치주로 섹터 로테이션이 진행 중이며, 한국 시장에서는 미중 무역전쟁 관련 희토류 관련주와 대선 관련 정치 테마주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 삼성전자의 5만원 이탈 시 나오는 수급들에 집중해 볼...
崔 대행 "美관세 가용수단 총동원해 대응…'비상수출대책' 마련" 2025-02-03 13:56:40
대통령의 멕시코, 캐나다, 중국에 대한 고율의 관세 조치로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최 대행은 "미국과 다양한 채널로 소통하면서 우리의 입장이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멕시코·캐나다 정부 및 현지 진출 기업과도 지속해서 소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앞서 수출기업...
아이폰도 못 피한 트럼프 무역전쟁…韓 수출도 곧장 영향 우려 2025-02-03 11:24:03
3천70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추가 고율 관세를 부과했다. 그러나 이번엔 미국·멕시코·캐나다무역협정(USMCA)을 통해 한 경제권인 캐나다, 멕시코에서 수입되는 약 9천억달러의 수입품까지 대상으로 했다. 미국이 자국의 3대 교역국을 상대로 동시에 무역 전쟁의 포문을 열었다는 점에서 전과는 차별화된다. 특히...
[마켓칼럼] "딥시크 충격에도 美 증시 상승…네이버에도 기회" 2025-02-03 09:54:39
세수를 관세로 대체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다. 고율 관세는 부담이고 미국 현지 생산 시에는 인센티브가 제공되기 때문에 많은 글로벌 제조 기업들이 미국에 생산 기지 구축을 계획하고 있다.대만의 TSMC, 폭스콘, 한국의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차 그리고 독일의 자동차 회사들이 대표적이다. 이는 미국의 세수 확대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