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10월 5일 원자재 및 ETF 시황 [글로벌 시황&이슈] 2023-10-05 07:54:53
곡물 선물들이 모두 파란불을 켰습니다. 또, 우크라이나가 흑해 곡물수출 협정 파기 이후에도 흑해를 통한 곡물 선적을 늘려가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며, 밀 선물이 가장 큰 폭으로 출렁였는데요, 우크라이나는 화물선 12척이 입항할 것이고, 또 앞으로도 10척이 출항할 예정이라며, 총 12만 7,000톤의 농산물이 수출될 수...
흑해 통한 곡물수출 늘리는 우크라…"12척 추가 입항 예정" 2023-10-04 20:21:13
러시아의 침공 이후 흑해가 봉쇄되면서 곡물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해 7월 튀르키예와 유엔의 중재로 러시아와 흑해곡물협정을 체결한 뒤 곡물 수출에 숨통이 트였으나, 러시아가 협정 이행에 불만을 제기한 끝에 1년 만에 협정을 파기함으로써 해상 곡물 수출이 다시 제한됐다. 또한 러시아가 흑해뿐만 아니라...
9월 26일 원자재 및 ETF 시황 [글로벌 시황&이슈] 2023-09-26 08:11:13
흑해 곡물수출 협정이 중단된 이후, 러시아는 줄곧 이 오데사 항구를 공격의 진앙지로 삼고 있는데요, 이번 공습은 흑해함대 피격에 대한 보복으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이 곳에는 약 1,000톤 가량의 농산물들이 저장돼 있었는데요, 추후 식량안보에 대한 걱정이 고조되며 오늘 주요 곡물 선물들, 그리고 이와 연관된 곡물...
우크라 남부 오데사에 러 공습…"흑해함대본부 공격 보복" 2023-09-25 19:59:53
곡물협정을 파기하고 우크라이나 항만을 집중 공격하자, 우크라이나도 크림반도를 비롯한 러시아 흑해 항만을 맞공격하는 등 흑해 주도권을 잡기 위한 양국 교전이 격화하고 있다. 한편 러시아 국방부는 간밤 흑해 북서부와 크림반도, 우크라이나 접경 지역인 쿠르스크와 벨고로드 등지에서 우크라이나가 발사한 드론들을...
러 북방함대, 동시베리아해서 해상훈련…무인정 격퇴 연습도 2023-09-25 15:57:55
벌였다"고 설명했다. 이는 최근 들어 크림반도와 흑해 해역에서 연이어 벌어지고 있는 우크라이나군의 무인정 공격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해석된다. 우크라이나는 지난 7월 '흑해곡물협정'을 파기한 러시아가 흑해 연안의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항을 집중 폭격하자 자폭 무인정 등을 동원해 러시아 흑해함대...
러 외무장관 "다음 달 평양 방문" 2023-09-24 05:32:58
러시아의 흑해 곡물협정 파기와 관련해서는 "협정 당사자들이 러시아 은행에 대한 제재 해제 등 러시아와 맺은 약속을 이행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전쟁 중에도 흑해를 통해 우크라이나 곡물이 수출될 수 있도록 튀르키예와 유엔의 중재로 지난해 7월 흑해 곡물협정을 맺었지만, 러시아는...
러 외무장관 "다음 달 평양 방문"…푸틴 답방 논의 가능성(종합2보) 2023-09-24 03:52:44
있다는 정도만 거론됐다. 러시아의 흑해 곡물협정 파기와 관련해서는 "협정 당사자들이 러시아 은행에 대한 제재 해제 등 러시아와 맺은 약속을 이행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전쟁 중에도 흑해를 통해 우크라이나 곡물이 수출될 수 있도록 튀르키예와 유엔의 중재로 지난해 7월 흑해 곡물협...
우크라 곡물수출선 또 출항…러 흑해 재봉쇄 후 두 번째 2023-09-22 17:47:57
곡물협정을 파기하고 흑해를 통한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을 봉쇄한 뒤 처음으로 우크라이나에서 흑해로 출항한 곡물 수출선이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지난해 7월 튀르키예와 유엔의 중재로 전쟁 중에도 흑해를 통해 농산물을 수출할 수 있도록 흑해곡물협정을 맺었으나, 러시아는 자국 농산물 수출을 위한 협정 사항이...
중재자 자처한 에르도안 "푸틴, 나쁘게만 보지 말자" 2023-09-22 08:51:14
곡물협정을 주선하는 등 전쟁의 중재자 역할을 자처하며 존재감을 높였다. 흑해곡물협정이 중단된 이후에도 에르도안 대통령은 협정을 되살릴 수 있다는 뜻을 여러 차례 피력하며 중재의 기회를 노려 왔다. 그는 최근 인도 뉴델리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도 서방국 지도자들에게 흑해곡물협정을 되살리기...
9월 22일 원자재 및 ETF 시황 [글로벌 시황&이슈] 2023-09-22 08:32:54
의견들이 많기는 합니다. 일단 흑해 곡물수출 협정 중단 이슈가 장기화된다면, 밀 현물과 선물 가격이 가장 먼저 반등할 수 있다는 파이낸셜 타임즈의 보도가 있었고요, 미국 아이오와 동부와 일리노이 북부 지역에 폭풍이 예고돼 있어 자칫 작물들의 품질에 피해를 줄 수 있다는 미국 국립기상청의 발표도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