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고개 숙인 男' 이유 있었네…정자 절반 감소 '이것' 때문 2023-11-16 08:06:04
유기인산염과 유사한 N-메틸 카르바메이트는 곤충의 뇌와 신경계를 손상해 곤충을 죽이는데, 다양한 밭작물 및 과일, 채소들을 위한 살충제를 만드는 데 쓰인다. 이 연구 결과에 대해 유타대학교 의대 외과 및 비뇨기과 교수 알렉산더 파스투자크 교수는 "이러한 살충제들이 가임 능력, 특히 남성들의 생식 능력에 부정적 ...
럼피스킨 걸린 소만 살처분…2주간 전국 소 이동제한(종합2보) 2023-11-13 16:05:09
식품부 농업혁신정책실장은 "농식품부는 이동 제한 조치가 소고기 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고 전망했다"고 강조했다. 권 실장은 "선별적 살처분으로 전환하면 종전보다 더욱 강화된 차단방역이 필요한 만큼 농장과 지자체는 더 세심하게 방역관리를 해야 한다"면서 "농가는 소독·방제 등의 농장 차단방역과 소...
럼피스킨 '선별적 살처분'으로 전환…2주간 전국 소 이동제한(종합) 2023-11-13 11:49:38
매개곤충의 활동성 저하가 예상되는 등 럼피스킨의 발생 추이와 전파특성도 종합적으로 감안한 것이라고 중수본은 설명했다. 럼피스킨은 1주차(10월 19∼25일)에 47건이 발생한 이후 2주차 28건, 3주차 12건 등으로 갈수록 줄고 있다. 현재 누적 확진 건수는 91건이다. 중수본은 소 럼피스킨 발생농장에 대해서는 전 두수를...
럼피스킨 '선별적 살처분'으로 전환…2주간 전국 소 이동제한 2023-11-13 11:00:02
매개곤충의 활동성 저하가 예상되는 등 럼피스킨의 발생 추이와 전파특성도 종합적으로 감안한 것이라고 중수본은 설명했다. 럼피스킨은 1주차(10월 19∼25일)에 47건이 발생한 이후 2주차 28건, 3주차 12건 등으로 갈수록 줄고 있다. 현재 누적 확진 건수는 91건이다. 중수본은 소 럼피스킨 발생농장에 대해서는 전 두수를...
농식품부, 럼피스킨병 명칭 안 쓴다…내일부터 '럼피스킨'으로 2023-11-06 17:13:52
= 농림축산식품부는 오는 7일부터 소 럼피스킨병 명칭을 '럼피스킨'이라는 약칭으로 사용한다고 6일 밝혔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사람에게 감염되지 않고 소고기와 우유는 안전하지만 '럼피스킨병'이라고 하면 막연한 불안감을 조성할 우려가 있어 약칭을 사용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앞서...
소 럼피스킨병 확진 79건으로 늘어…백신 접종률 91%(종합) 2023-11-06 16:12:39
설명했다. 럼피스킨병은 모기, 침파리 등 흡혈 곤충에 의해 전파하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감염된 소에서 고열, 피부 결절(혹)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폐사율은 10% 이하다. 방역당국은 앞으로 럼피스킨병 확진 사례가 나오는 농장의 살처분 범위를 축소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안 국장은 "현재는 (발생 농장) 전두수를...
소풍벤처스, 농식품 창업가 육성하는 데모데이 연다 [이번주 데모데이] 2023-11-06 09:52:53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를 개발하는 에코텍트, 곤충을 활용한 양식 수산물 맞춤형 사료를 개발하는 파이토리서치, 아열대 특용작물 재배 기반 원료 가공 B2B 유통 및 B2C 제품 판매를 담당하는 구아바즈 등이 오른다. 또 발포토닉 태블릿을 개발한 넷, 단백질 균사체 액체배양 기술 및 프로세스 공정 개발을 통한 B2B 원료...
'벌레 생닭' 논란에 하림 회장 "무해" vs 식약처 "현장조사" 2023-11-03 18:24:39
"곤충을 식용으로 쓰는 부분이 있다. 딱정벌레(애벌레인 '밀웜')도 그중 하나라서 실질적으로 큰 문제는 없지만, 위생적으로 '이물질'로 분류되기 때문에 들어가면 안 된다"고 부연했다. 또 "우리가 하루에 120만 마리를 처리하다 보니 그런 것들이 한 5∼6년에 한 번씩 나오더라"며 "본의 아니게 친환경...
김홍국 회장 "HMM 인수는 밸류체인 강화…국가경쟁력 제고기여" 2023-11-01 13:50:55
오류가 났다"고 설명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앞서 하림 동물복지 생닭에서 벌레로 보이는 이물질을 다량 발견했다는 신고를 받고, 하림 측에 재발 방지 대책 수립을 요구한 상태다. 또 전북 정읍시는 하림 생산공장 등에 대해 조사를 진행한 결과 해당 이물질이 거저릿과 곤충의 애벌레임을 확인했다. sun@yna.co.kr (끝)...
NH농협손해보험, 럼피스킨병 방역지원금 전달 2023-11-01 09:34:12
흡혈 곤충을 통해 주로 전파되는 바이러스성 질병이다. 지난 1929년 아프리카 잠비아에서 처음 발생한 질병으로 2019년부터는 아시아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이날 방역지원금 전달식은 최문섭 NH농협손해보험 대표이사를 비롯한 안병우 농협축산경제 대표이사 겸 나눔축산운동본부 상임공동대표 등 1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