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서울창업허브 우수기업 ?]연시스템즈, ‘발상의 전환’으로 간편한 3D 촬영 카메라 개발 2021-02-08 14:22:26
3D 현미경도 개발했다. 1차적으로 연시스템즈의 카메라는 교육 분야에 활용할 예정이다. 초중등학교 과학시간에 주로 쓰는 광학식 현미경은 방식의 한계 때문에 교사와 학생 간 동시 커뮤니케이션이 어렵다. 광학식 현미경에 연시스템즈의 3D카메라를 부착하기만 하면 모두 디지털 3D현미경으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막...
수족관처럼…'그래핀으로 액체 속 관찰' 현미경기술 개발 2021-01-19 17:02:00
현미경 기술은 일반 광학현미경보다 수천 배가량 높은 배율로 물질을 관찰할 수 있어 반도체 공정 품질 관리와 생체 분자 구조 규명에 활발히 쓰이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개발된 유체 전자현미경 기술은 한계점이 뚜렷했다. 전자현미경을 구동하기 위해선 매우 높은 수준의 진공 상태가 필요한데, 진공 상태에서는 액체...
[김재완의 21세기 양자혁명] 양자 센서와 하이젠베르크 한계 2021-01-13 17:57:17
잡아낼 양자레이더양자센서 기술은 초고정밀 분광학 및 현미경, 위치정보시스템, 시계, 중력계, 전기장 및 자기장 감지센서, 파장보다 정밀한 해상도의 광학장치에 이르기까지 적용 범위와 미칠 영향이 커서 물리 화학 생물 등 기초과학과 의학, 데이터 기술 등에 널리 응용될 것이다. 양자광학, 원자분자물리학, 전자 스핀...
ZEISS Korea, 한독상공희의소 제 6회 이노베이션 어워드 “비즈니스 혁신상” 수상 2020-12-01 16:03:56
생명 및 재료과학 연구 개발에 기여하는 종합 현미경 솔루션, 그리고 안과 및 미세수술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의료기기 솔루션을 개발, 생산, 배포하며 광학 전문 기술과 혁신적 발상을 결합한 안경 렌즈 솔루션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처럼 ZEISS는 다양한 솔루션으로 광학 산업을 계속해서 발전시키며 기술 진보에 기여하고...
노벨화학상에 佛샤르팡티에, 美다우드나…6·7번째 여성 수상자 2020-10-07 19:50:26
= 용액내 생체분자 구조 결정을 위한 고해상도 저온 전자 현미경 관찰법 개발 ▲2016년: 장피에르 소바주(프랑스), 프레이저 스토더트(영국), 베리나르트 페링하(네덜란드) = 분자기계를 설계·제작. ▲2015년: 토마스 린달(스웨덴), 폴 모드리치(미국), 아지즈 산자르(미국·터키) = DNA(유전자) 복구 메커니즘 연구....
사물의 '크기'는 표준화된 단위로 나타낼 수 있다는데…크고 작은 속성을 나타내는 '스케일'로 표현할 수도 2020-09-21 09:00:07
전자현미경은 전자의 물질파 파장을 한계로 측정할 수 있는 사물의 크기가 한정되므로, 원자 수준 이하의 물질을 측정할 수 없다. 이런 측면에서 각 스케일의 크기 세계를 대표하는 사물을 정할 수가 있다. 원자 스케일은 1㎚보다 작은 사물이 해당하는데, 대표적인 사물은 수소 원자로 크기가 대략 0.1㎚이고 양자역학이...
'파크시스템스' 52주 신고가 경신, 외국인, 기관 각각 3일, 11일 연속 순매수 2020-09-14 09:05:05
매출이 아직 1,000억 원이 되지 않고, 원자현미경 시장규모가 광학현미경 또는 전자현미경 대비 규모가 상대적으로 적은 비중이기 때문. 그러나 비메모리 선단공정 경쟁이 3nm 이하로 내려가는 시점을 전후로 해서 외국인 투자자들의 관심이 급증할 것으로 전망됨." 이라고 분석했다. 한경로보뉴스 이 기사는 한국경제신문...
세포·혈액 흐름 동시에 관찰…신개념 '광학현미경' 나왔다 2020-09-04 17:37:02
곱해 산출한다. 광학현미경은 개구수를 높이는 데 한계가 존재한다. 가시광선의 회절 현상 때문이다. 직진하는 빛이 좁은 틈을 통과한 뒤 일정 방향과 범위로 넓게 돌아 퍼지는 것이 회절의 한 예다. 일반적인 광학현미경은 회절 때문에 0.2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물체는 식별할 수 없다. 초고분해능 광학현미경(단일...
박상일 파크시스템스 대표 "글로벌 반도체社 모두 우리 고객" 2020-08-18 17:14:07
‘눈’ 역할을 하는 발명품이 있다.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의 뒤를 이어 탄생한 원자현미경이다. 세계 최초 원자현미경은 1980년대 캘빈 퀘이트 미국 스탠퍼드대 물리학과 교수 연구실에서 개발했다. 이때 개발에 참여한 사람이 박상일 파크시스템스 대표(사진)다. 그를 만나 향후 비전을 들어봤다. “매출 1조원대...
韓 대학 연구진 일냈다…세포·혈액 유체 동시 관찰 성공 2020-08-18 12:37:14
18일 밝혔다. 이 기술은 구조화 조명 현미경의 광원인 가시광선의 진폭을 조절해 영역별로 맞춤형 빛을 조사한 것이 핵심이다. 가시광선을 이용하는 광학현미경은 전자현미경보다 물질을 확대해 또렷하게 볼 수 있는 해상도(공간 분해능)는 낮지만 세포와 같이 살아있는 대상을 3차원으로 관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