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선진국인 청나라를 배우자는 조선의 '국부론'…북학파 지식인으로 기술혁신과 무역 강조했죠 2019-03-25 09:01:36
최승노 박사의 시장경제 이야기 (74) 박제가의 '북학의' 청나라를 무찌르자?잘 알려진 대로 박제가는 서자 출신 지식인이었다. 재주는 뛰어났지만 평생을 서자 신분으로 설움을 받으며 살았다고 한다. 사실 북학파에 속한 학자들은 유난히 서자 출신이 많았는데 박제가를 제외하고도 유득공이나 이덕무가 그랬다....
[다시 읽는 명저] "분배의 정의는 노력한 만큼 성과를 향유하는 것이다…공정한 사회질서 위해선 경쟁·법치주의 확립 필요해" 2019-03-18 09:02:12
완성한 《국부론》은 정부의 경제 규제를 철폐해 자유롭고 경쟁적인 시장경제를 확립하는 것이 경제 발전의 지름길이라는 점을 논리정연하게 보여준다. 1776년 출간된 《국부론》은 노동 생산력의 증대 원인, 자본 축적 원칙, 경제발전 단계, 중농주의(重農主義)와 중상주의(重商主義) 비판, 정부의 역할 등 총 다섯 편으로...
[다시 읽는 명저] "이기적인 인간의 본성에도 연민과 공감의 원리가 존재한다…정부 개입은 시장을 왜곡…'보이지 않는 손'에 맡겨라" 2019-03-11 09:01:53
《국부론》의 논리적 토대가 되는 책이다. 인간 행동에 대한 고찰과 사회적 작동 원리에 대한 통찰이 스며 있어 《국부론》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읽어야 할 책으로 평가받는다. 스미스는 《도덕감정론》에서 “모든 사람은 다른 사람보다는 자기 자신에게 직접적으로 더 깊은 관심을 가진다”고...
[신간] 블록체인 혁명·자존감의 첫 번째 계단 2018-12-26 10:25:02
시대 배경을 해설한다.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 마르크스의 '자본론', 마셜의 수요공급 곡선과 한계효용 법칙, 케인스의 정부 개입론 등이 소개된다. 부록으로 경제 연대표와 용어 모음집이 들어있다. 길벗. 256쪽. 1만5천원. lesli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책마을] 경쟁 없는 자본주의는 더 이상 자본주의가 아니다 2018-12-20 17:55:22
《국부론》에서 그는 18세기 상공업자들이 정부 관료와 결탁해 독과점 체제를 구축하는 데 대해 강도 높게 비판했다. ‘보이지 않는 손’은 이 같은 독과점 체제를 비판하기 위해 만든 표현이었다. 미국 독립혁명도 독과점에 대한 강한 반발에서 시작됐다. 혁명의 방아쇠였던 1773년 보스턴차(tea) 사건은 영국...
둘이 만나니 역사가 됐다…신간 '두 사람의 역사' 2018-11-27 06:00:07
국부론'은 애덤 스미스의 위업이지만, 데이비드 흄과 오랜 교분이 없었다면 그처럼 뛰어난 저작이 되기 어려울 수도 있었다. 스미스는 저녁 식탁에 올릴 빵이 빵집 주인의 '자비'에서 나오는 게 아니라 '이익'을 내려는 마음에서 나온다고 했다. 이렇게 자유주의 경제이론을 옹호한 스미스였지만, 사실...
[테샛 공부합시다] 각자가 비교우위인 재화를 만들어 자유무역으로 교환하면 서로 '윈-윈' 이죠 2018-10-01 09:00:16
애덤 스미스의『국부론』을 읽고 이에 대한 해답을 찾은 인물이 있다. 바로 ‘데이비드 리카도’다. 리카도는 대학교육을 통해 경제학을 배우지 않았다. 어릴 때부터 주식 중개인인 아버지를 도왔고, 이후 주식 중개로 많은 돈을 벌었다. 리카도는 실무를 통해 경제학의 기본원리를 이미 습득하였다. 리카도는...
[책마을] 개성상인 장부 속에 자본주의가 싹 트고 있었다 2018-09-13 17:59:05
국부론》과 일맥상통한다. ‘유효수요를 창출해야 한다’는 내용은 케인스의 ‘유효수요이론’과 맞닿아 있다. 관중은 현대 경제학의 원리를 기원전 7세기부터 알고 있던 세계 최초의 자본주의 경제학자였던 셈이다.하지만 일제가 식민 지배를 편하게 하기 위해 ‘일제강점기에서야 비로소 조선이...
민주연구원 "대한민국 뿌리는 3·1운동"…역사 동영상 배포 2018-08-14 16:00:16
민주연구원은 "한계가 많은 '이승만 국부론'을 넘어 대한민국 광복을 위해 투쟁을 한 애국지사 모두를 건국의 아버지로 위상을 정립해야 한다"며 "이 영상은 특히 임시정부의 유지와 카이로선언에 한국독립조항을 넣는 데 결정적인 외교력을 발휘한 백범 김구의 위상을 새로이 조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영상물은...
자유·평등·진화·민주주의로 조명한 현대 사상사 2018-08-02 18:27:01
발전했는지 설명한다. 예컨대 스미스는 '국부론' 저자로 유명하지만 인간 본성을 통찰한 '도덕감정론'을 쓰기도 했는데, 자유시장을 중시하면서도 정부가 공공선에 투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는 점에서 그를 자유시장의 사도로 봐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마르크스에 대해서는 그의 사상을 추종한 곳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