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성균관대 연구팀, 비용·시간 크게 줄인 폐암 진단법 개발 2019-06-17 17:25:02
반응시켜 유전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핵산 나노 구조체-그래핀 옥사이드 복합체'를 활용한 시약을 개발했다. 폐암 검사에 걸리는 시간을 약 3시간으로 크게 줄였고, 검사에 들어가는 키트 비용도 약 480만원에서 20만원가량으로 대폭 줄어들었다. 엄 교수는 "변이가 빠른 암의 특성상 신속한 검사가 중요한데,...
'입·출력 연결 속도 1만배'…고효율 네트워크 광스위치 개발 2019-04-25 12:00:11
입·출력 단자를 연결할 수 있는 5만개 이상 나노 구조체를 실리콘 반도체 칩 위에 집적하는 기술을 최초로 구현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지금까지 발표된 광 집적 스위치 중 단자가 가장 많다. 기존에는 수십 개에 불과했다. 덕분에 1초에 100만번 이상 입·출력 연결을 재구성할 수 있어 100여번에 그쳤던 기존 상용 광...
'산호 모양 실리콘' 전기차 충전속도 5배 앞당긴다 2019-03-06 12:00:25
나노와이어 구조체를 재료로 사용해 실리콘 부피 팽창을 완화했다. 내부 공극은 충전 시 팽창한 실리콘을 받아들여 실리콘이 깨지지 않고 견디게 돕는다. 이후 다공성 실리콘 나노와이어를 높은 밀도로 서로 연결했다. 여기에 탄소를 나노미터 두께로 얇게 씌웠다. 그랬더니 산호 모양의 실리콘·탄소 복합체 일체형...
복잡한 화학처리 없이 그래핀 복합체 제작 성공 2019-02-21 10:35:09
그래핀은 탄소 원자로 이뤄진 2차원 평면 구조체다. 두께(약 0.2㎚)가 얇은 데다 전도도·전하이동도·열전도도·기계적 강도 등 우수한 특성을 지녀서 차세대 신소재로 주목받는다. 제조법 중 레이저 합성은 레이저를 상용 고분자(폴리이미드) 기판 위에 쏴 그래핀을 얻는 기술이다. 기존 그래핀의 경우 고온 공정을 비...
단백질 치료제 전달 효율 향상…신약 개발 '전진' 2019-01-17 12:00:46
생체 분자인 유전자(DNA)를 기반으로 나노 구조체를 만들었다. 해당 구조체는 생체 친화적이면서 특정 세포로의 높은 전달력을 보였다. 다양한 단백질을 전달할 수 있는 범용적인 특징도 지녔다. 실제 폐암 동물 모델 실험 결과 항암 물질을 잘 전달해 높은 항암 효과를 가져왔다. 제조공정은 복잡하지 않다고 연구팀은...
한국산업기술대학교 학교기업 `공용장비지원센터`, 첨단 연구장비 구비로 중소기업 적극 지원 2019-01-16 09:35:35
나노 구조체(전자, 반도체, LED, 박막 등) 분석에 필수적인 장비다. 접촉식 3차원 측정기는 제품의 기하공차 및 치수 측정이 가능해 측정값 출력이 가능하다. 또한 고부가 PCB지원실의 비접촉식노광기는 포토 마스트 없이 CAM Data를 기판 위에 직접 노광하여 미세회로를 구현한다.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공용장비지원센터...
KIST, 항암제 효과 높이는 약물 전달체 개발…"전달률 3배" 2019-01-15 12:00:55
DNA를 이용하면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나노 구조체를 만드는 게 가능하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연구진은 우선 여러 형태의 나노입자를 만들고, 이들을 실험동물인 쥐에 각각 주입해 항암제 전달 효과를 확인했다. 그 결과 전달 특성이 뛰어난 3종을 찾을 수 있었는데, 이들은 기존에 학계에 보고된 나노입자 전달체에...
과학기술훈장 웅비장에 최인표 생명연 책임연구원 2018-12-28 15:00:00
평가를 받았다. 김재흥 이사는 나노구조체를 적용해 화면 일체용 지문인식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사업화한 성과를 인정받았다. 정부 포장은 이영득 대구대 교수, 최은미 울산과학기술원 교수, 정현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서장원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 김용대 마린전자상사 부사장에게 각각 돌아갔다....
DGIST, 자체기술 활용한 다중 밴드갭 관찰성공 2018-12-26 13:41:09
나노미터의 고해상도로 이미징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레이저 노이즈 분산 효과 측정의 감도를 높이고 적외선 대역의 탐침에너지를 이용해 가시광선 및 근자외선 에너지에 해당되는 전이밴드내의 전자의 이동을 초고속으로 관찰할 수 있게 돼, 연구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dgist 동반진단의료기술융합연구실 김현민...
UNIST 백종범 교수팀, "초강력 수소 촉매 이리듐엣콘 개발 성공" 2018-12-26 08:51:13
물질은 ‘이리듐(ir)’을 3차원 유기 구조체인 ‘쓰리디-콘(3d-con)’의 기공 내부에 가둬서 고정시킨 형태인데, 논문으로 보고된 물 분해 촉매 중 가장 높은 효율을 보였다. 수소는 산소와 반응해 전기를 만들고 물만 배출하는 청정 연료다. 연료를 태우는 연소 과정이 없어 이산화탄소 같은 배출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