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국토부 "성주∼대구 고속도로 등 경북 도로망 확충 적극 지원" 2024-06-20 12:51:26
국토부 "성주∼대구 고속도로 등 경북 도로망 확충 적극 지원" 울산∼경주 국도 4→6차로 확장…영일만대교 건설 추진 (서울=연합뉴스) 임성호 기자 = 정부는 20일 '동북아 첨단 제조혁신 허브 경북'을 주제로 한 민생토론회에서 성주∼대구 고속도로와 울산∼경주 국도 확장, 영일만대교 건설 등을 통한 경북 지역...
한은 "비수도권 대도시 투자 부족…소수 거점도시로 키워야" 2024-06-19 14:00:02
충청권의 연평균 성장률은 3.4%로, 동남권, 호남권, 대구·경북권(1.4%)보다 월등히 높았다. 두 지역의 성장률을 노동, 자본, 총요소생산성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지역 간 성장 격차는 절반 이상인 51.7%가 생산성 격차에서 비롯된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두 지역의 생산성 격차가 향후 5년 동안 지속될 경우 수도...
대구시, 대구경북 행정통합 추진위해 정기인사 조기 단행 2024-06-17 20:12:55
대구마라톤대회, 판타지아대구페스타 등을 성공적으로 이끈 배정식(55세) 문화체육관광국장 직무대리는 문화체육관광국장으로 승진시켰다. 김진혁(41세) 정책기획관은 원스톱기업투자센터장으로 자리를 옮겨 투자유치 활성화와 기업 애로사항 해결에 힘쓸 예정이며, 정책기획관에는 군부대 통합 이전을 위해 총력을 기울여...
6월 전국 주택사업 경기전망지수 상승…서울 기준선 도달 2024-06-11 11:00:05
상승 폭을 기록했다. 그다음은 전북(64.7→87.5), 전남(50.0→72.2), 경북(68.4→88.2), 충남(66.6→77.7), 경남(78.9→84.2), 강원(78.5→80.0), 제주(71.4→71.4) 등의 순으로 상승 폭이 컸다. 광역시 중에서는 광주(58.3→65.2), 대구(71.4→77.7), 울산(75.0→80.9), 세종(88.8→94.1) 등 부산(80.7→76.9)을 제외한...
서울 전역에 오존주의보…30도 넘는 무더위 기승 2024-06-10 18:43:28
등 본격적인 무더위가 나타나고 있다.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은 10일 오후 3시 서울 전역에 오존주의보를 발효했다. 경기도도 오후 2시부터 북동부와 중부 등 26개 시·군에 오존주의보를 내렸다. 오존주의보는 시간당 평균 오존 농도가 0.12ppm(1ppm은 100만분의 1) 이상일 경우에 발령된다. 바람이 없고 햇볕이 강할 때...
작년 입장객 1위…에버랜드 제친 이곳 2024-06-09 07:43:13
때문으로 분석된다. 10개 관광지점 중 7위 경북 영덕 강구항(382만명), 10위 충북 단양 도담삼봉(286만명)을 제외한 8개 지점이 유료 관광지였다. 주요 관광지점 입장객 통계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 관리하는 자료로, 지역별 대표 관광지 등이 지점으로 등록돼 있다. 개별 관광지에 대한 입장객 집계...
"순천만국가정원, 작년 입장객 최다…에버랜드 2위" 2024-06-09 07:15:01
많아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10개 관광지점 중 7위 경북 영덕 강구항(382만명), 10위 충북 단양 도담삼봉(286만명)을 제외한 8개 지점이 유료 관광지였다. 10개 관광지점 중 에버랜드, 킨텍스, 경복궁, 롯데월드, 국립중앙박물관, 덕수궁 등 6개는 서울·경기권에 있다. 주요 관광지점 입장객 통계는 문화체육관광부와...
인구 절벽에 서울까지 '폐교 공포'…전국 367개 학교 버려졌다 2024-06-07 18:31:20
많고, 이어 경남 72개, 경북 57개, 강원 56개 순이다. 이미영 경기도교육연구원 연구원은 “인근 인구 분포를 고려해 폐교의 교육적 가치를 최대화해야 한다”며 “기존의 소극적 폐교 관리 보존을 뛰어넘어 다양한 교육 공간으로 조성할 수 있도록 중장기적 대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혜인 기자 hey@hankyung.com
6월 수도권 아파트 분양전망지수 하락…지방은 소폭 상승 2024-06-04 11:00:07
지방의 경우 지역별로 지수 변동 폭에 큰 차이를 보였다. 강원(78.6→92.3), 전북(81.3→92.9), 대전(69.6→81.0), 경북(84.2→93.3), 세종(88.2→94.4), 부산(81.8→84.6), 광주(66.7→68.2) 등은 지수가 전월 대비 상승했고, 충남(88.9→75.0), 제주(90.5→80.0), 대구(80.8→73.1), 경남(88.9→82.4), 울산(75.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