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폭식 아이들, 뇌가 다르다" 2022-03-22 08:55:31
있는 겉 부분인 대뇌 피질과 신경세포들을 서로 연결하는 신경 섬유망이 깔린 속 부분인 수질로 이루어져 있다. 피질은 회색을 띠고 있어 회색질, 수질은 하얀색을 띠고 있어 백질(white matter)이라고 불린다. 회색질의 밀도가 높아져 있다는 것은 2~10세에 이루어지는 회백질의 '시냅스 가지치기'(synaptic...
[신희섭의 뇌가 있는 풍경] '시들어가는 뇌' 되살리려면… 2021-12-22 17:16:47
청각 피질은 일반인보다 두껍다. 악기 연주에 필요한 감각 신호를 대뇌로 전달하는 척수시상로, 동작을 미세 조절하는 운동 피질도 남다르게 발전한다. 이는 연주 경력이 길어질수록 더욱 뚜렷해진다. 심지어 저글링 연습을 7일만 열심히 해도 뇌에 변화가 일어난다. 시각 피질과 운동 피질에 신경세포 수가 증가하고, 두...
"치매 예방에 효과" 자생한방병원, 공진단 노화억제 기전 규명 2021-12-20 17:41:10
'자생 공진단'의 농도를 달리해 대뇌피질 신경세포에 처리했다. 이후 신경세포를 24시간 동안 과산화수소에 노출시켜 손상을 유도했다. 그 결과 공진단의 농도가 높을수록 시르투인1을 활성화해 신경세포의 성장을 촉진했다. 과산화수소로 인해 신경세포의 축삭(세포 간 신호를 전달하는 부분)이 짧아진 것과 달리,...
[천자 칼럼] 두뇌 조종 무기 2021-12-19 17:29:08
수 있다”며 “미래전쟁은 대뇌피질에서 시작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중국 군사과학원 산하 조직인 AMMS는 군인들이 최장 72시간 동안 잠들지 않게 하는 ‘나이트 이글’ 등의 군용 의약품을 개발했다. 2019년에는 적의 의식에 개입해 전투 형태를 바꾸도록 하는 무기를 개발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를 위구르 소수민족...
뉴로젠 "동아시아인 치매 유발 유전자변이 규명" 2021-12-15 07:34:28
경우에 비해 대뇌피질의 두께가 현저하게 얇아짐을 확인했다. 또 해마 부피가 감소해 알츠하이머 치매 발병위험이 3.3배 증가함을 확인했다. 이 유전변이는 샤핀과 ‘호입(HOIP)’ 단백질의 결합을 감소시켜, 기억 세포의 생존에 관여하는 단백질 복합체인 ‘핵인자 카파비(NF-κB)’ 신호전달 경로를 변경했다는 설명이다....
[신희섭의 뇌가 있는 풍경] 공감의 뇌 기전과 사이코패스 2021-11-24 17:33:40
규명 수준으로 활발히 진행 중이다. 전대상피질, 편도핵, 대뇌섬피질, 중심선 시상 등의 부위가 공포 공감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공포 공감에 관여하는 여러 유전자도 발견됐다. 공포 공감의 진행 순간에 전대상피질(전전두엽의 일부)과 편도핵이 함께 활성화되면서 정보를 교환한다는 사실도 알게 됐다...
"자폐증 환자의 뇌, 백질이 다르다" 2021-11-24 10:23:41
겉 부분인 대뇌 피질과 신경세포들을 서로 연결하는 신경 섬유망이 깔린 속 부분인 수질로 이루어져 있다. 피질은 회색을 띠고 있어 회색질(gray matter), 수질은 하얀색을 띠고 있어 백질이라고 불린다. 미국 예일 대학 의대 의생명 영상학과의 클라라 웨버 연구원이 ASD 환자 264명(생후 6개월~50세)과 같은 연령대의...
'마약 혐의' 한서희, 법정구속되자 "시X 진짜"…소란 피우고 욕설 2021-11-17 14:25:53
마약 투약 증명이 어렵다고 판단해 집행유예 판결 취소 신청을 기각했다. 소변검사에서 검출됐었던 암페타민은 국내에서 마약품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복용이 금지돼 있다. 암페타민은 각성제의 일종으로, 매우 강력한 중추신경 흥분제다. 대뇌피질을 자극해 사고력, 기억력, 집중력을 순식간에 향상시키고 육체활동량도...
과도한 소금 섭취, 뇌에 저산소증 일으킨다 2021-11-12 18:10:02
진단하기도 한다. 지금까지 뇌의 신경혈관 접합에 관한 연구는 대뇌피질 등 깊지 않은 부위를 중심으로 이뤄졌다. 또 시각이나 청각 같은 주위 환경의 감각 자극에 반응해 뇌 혈류가 어떻게 변하는지에 초점을 맞췄다. 따라서 우리 몸 자체가 생성하는 자극, 즉 내부 감각 수용기 신호(interoceptive signals)에 맞춰지는 ...
젬백스 “GV1001, 뇌졸중 모델서 신경 보호 효과 확인” 2021-10-05 13:15:40
GV1001의 허혈·재관류 손상에 대한 신경 줄기세포 및 대뇌피질 뉴런의 보호 효과'다. 고성호 한양의대 교수 연구팀에 의해 발표됐다. 연구팀은 쥐의 중뇌동맥을 막아 허혈성 손상을 유발해 2시간 후 재관류 시킨 다음, GV1001과 생리식염수를 투여했다. 48시간 후에 자기공명영상(MRI) 촬영과 신경행동 능력 평가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