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참사기 충돌한 콘크리트 둔덕…"피해 키워"·"법령 위반" 논란(종합) 2024-12-30 16:14:28
제주항공 여객기는 동체 착륙 후 활주로 1천600m 정도를 질주한 후 로컬라이저·둔덕과 외벽을 연이어 충돌했다. 외국 항공 전문가와 전직 비행사들은 유튜브와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여객기가 이러한 구조물과 충돌해 인명 피해가 컸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로컬라이저 구조물이 금속 형태가 아닌 콘크리트의 돌출 구조로...
여객기 참사에 제주항공·여행사 주가 급락…에어부산은 올라(종합) 2024-12-30 15:43:17
앞서 전날 오전 9시 3분께 태국 방콕에서 출발한 제주항공 7C2216편이 동체 착륙을 시도하다가 활주로 외벽에 충돌, 폭발한 사고가 발생했다. 탑승객 181명(승객 175명·승무원 6명) 중 승무원 2명만 구조되고 179명이 사망했다. chomj@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무안에 제주항공 참사 합동분향소 마련…조문객 발길 이어져 2024-12-30 13:53:06
활주로에서 방콕발 제주항공 7C2216편 여객기가 동체 비상착륙을 하려다 공항 시설물(콘크리트 구조물 기반 로컬라이저 안테나)을 정면충돌한 뒤 폭발했다. 해당 여객기 탑승자 181명(승무원 6명·승객 175명) 중 179명이 숨졌다. 기체 후미 비상구 쪽에서 구조된 승무원 2명만이 생존, 치료를 받고 있다. 차은지 한경닷컴...
온라인서 '애도 물결' 20만 추모 몰렸다…"댓글 주의" 당부도 2024-12-30 13:24:10
않은 상태로 무안공항 활주로에 동체 착륙을 시도하다 공항 시설물과 충돌했다. 이 사고로 승객 175명, 조종사 2명, 객실 승무원 2명 등 모두 179명이 현장에서 사망했다. 수색 초기 기체 후미에서 구조된 객실 승무원 2명을 제외한 모든 탑승자가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
참사 하루만 제주항공 동일기종서 랜딩기어 이상…21명 탑승포기(종합2보) 2024-12-30 12:11:37
비행 안전과 직결된 필수 장치로, 비상 착륙 시에도 동체가 받는 충격을 완화해 준다. 이번 참사에서는 랜딩기어 3개가 모두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보여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비행 중에 랜딩기어에 이상이 생기는 일은 드문 일은 아니다. 전날에는 캐나다에서도 여객기가 착륙하던 중 랜딩기어 문제로 착륙...
국토부, 참사기종 '보잉 737-800' 전수점검…제주항공 안전감독(종합2보) 2024-12-30 12:00:03
이르면 오늘 도착할 예정이다. 아울러 국토부는 사고기의 동체착륙 지점을 묻는 말에 "대략 활주로(2천800m) 일부 방향으로 봤을 때 3분의 1 지점으로 추정된다"며 "활주로 시작점으로부터 1천200m 지점에 착지한 것으로 보인다"고 답했다. 사고기가 1천200m 지점에 착륙해 동체착륙 상태로 1천600m 정도를 달리다 둔...
'둔덕' 논란에 국토부 "다른 공항에도 있어…사고 연관성 점검" 2024-12-30 11:40:35
사고기는 동체착륙 도중 방위각 시설에 이어 담벼락에 부딪히며 크게 훼손됐다. 이와 관련해 주 실장은 "방위각 시설은 임의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설치 규정이 있고, 이를 파악하는 중"이라며 "재질이나 소재에 제한이 있는지, 사고와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면밀히 파악해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국토부는...
[제주항공 참사] 다른 항공사고보다 왜 인명피해 컸나…쟁점은 2024-12-30 10:51:25
전했다. 아울러 기장과 부기장이 동체착륙 전 항공유를 비우고, 관제탑에 화재 진압을 요청하는 등의 준비작업을 하지 않은 점도 의문점이다. 동체착륙을 하기 전에는 마찰로 일어날 수 있는 화염을 냉각할 수 있는 비누거품 물질을 뿌리는 준비작업이 선행돼야 한다. 아울러 기장 요청으로 소방차 등이 대기하고 있어야...
참사 하루만 제주항공 동일기종서 랜딩기어 이상…21명 탑승포기(종합) 2024-12-30 10:05:06
비행 안전과 직결된 필수 장치로, 비상 착륙 시에도 동체가 받는 충격을 완화해 준다. 이번 참사에서는 랜딩기어 3개가 모두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보여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비행 중에 랜딩기어에 이상이 생기는 일은 드문 일은 아니다. 전날에는 캐나다에서도 여객기가 착륙하던 중 랜딩기어 문제로 착륙...
[제주항공 참사] "신뢰 하락에 고전하던 보잉, 이번 사고로 또 타격" 2024-12-30 09:52:51
여객기의 동체 일부 이탈 사고 이후 약 12개월 만에 다시 발생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당시 미국 오리건주 포틀랜드 국제공항을 이륙한 보잉 737 맥스 여객기는 약 5천m 상공에서 창문과 벽체 일부가 뜯겨 나가 비상착륙했다. 179명이 사망하는 최악의 참사가 된 이번 사고와 달리 당시에는 기적적으로 사망자가 발생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