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왜구…해적이던 그들은 어떻게 다국적 무역상이 됐나[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재발견] 2020-10-25 08:00:01
무역을 금지했다. 이후 1392년에 무로마치 막부(1336~1573년)가 왜구를 진압하자 쇼군을 ‘일본국왕’으로 책봉하고, 1404년부터는 조공무역 체제인 ‘감합무역’을 허락했다. 일본은 조공선을 파견해 금·은·구리·유황·철·도검 등을 수출하고, 비단(생사)·동전·도자기 등을 수입해 때로는 5~6배에 달하는 이익을...
'도쿄 스톱 익스체인지'된 날, 오사카는 멀쩡했던 이유 [정영효의 일본산업 분석] 2020-10-22 08:27:23
활발하게 이뤄졌던 것이다. 1730년 에도막부(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일본을 통일하고 지금의 도쿄인 에도에 수립한 무사정권. 1603~1867년)는 쌀 거래가 가장 활발했던 도지마쌀시장을 공인했다. '세계 최초의 조직화된 파생상품거래소'의 탄생이다. 오랜 역사에 비해 일본 파생상품 시장의 존재감은 크지 않다. 올...
[다시 읽는 명저] "탐미적이면서 폭력적"…일본의 이중성 파헤쳐 2020-10-19 09:00:59
사회조직은 오랫동안 ‘천황’을 정점으로 막부(幕府: 무사 정권) 최고 권력자인 ‘쇼군’, 영주, 농민, 상인, 천민에 이르기까지 피라미드형 위계 제도로 구성돼 있었다. 그들은 각자 자기 위치에 맞는 삶을 살았으며, 그 위치에서 최상의 안정감을 느꼈다.” 일본은 이 신분 체제를 국가 간의 관계로 확대했다. 국제적인...
[세계의 창] 스가는 어떻게 일본 총리가 됐을까 2020-09-28 18:02:27
동북지방은 메이지 신정부 측과 에도(江戶) 막부가 싸울 때 막부 편에 섰던 연유도 있어 정치 기반이 약했다. 실제로 동북지방 아키타(秋田)현 출신 총리는 스가가 처음이다. 스가는 자기에 비해 삼반이 월등히 강한 야마구치현 출신 아베 신조(安倍晋三)를 내세웠고 자신은 막후 역할을 자처했다. ‘아베 도령’을 무동 ...
[특파원 칼럼] 日 스가, 아베 아바타로 보면 안돼 2020-09-14 17:49:26
인내로 버틴 끝에 에도막부 260년을 연 인물이다. '아베 대타'로 만족하지 않을 듯일본 정계에서는 스가를 아베 총리의 남은 임기인 내년 9월 말까지 자민당을 이끌 ‘임시 대타’로 여기는 분위기가 강했다. 하지만 총재 선거 승리가 확실해진 지난주부터 중의원 해산 및 조기 총선설을 피워올려 판을 바꾸려는 걸...
40여년간 600회 침략…고려 멸망 부른 왜구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재발견] 2020-08-23 08:00:04
여몽연합군의 2차례 공격을 방어했으나 막부의 재정 부족으로 무사들의 이탈이 벌어진 상황이었다. 이탈한 무사들은 농민·어민들과 합세해 해적의 전력으로 탈바꿈했다. 이어 막부의 교체기인데다가, 남북조 간에 벌어진 60여 년 동안의 전투에서 패배한 남조 군인들 일부가 해적으로 변신했다. 따라서 일본은 왜구를 관...
여몽연합군의 원정 배경과 고려의 패배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재발견] 2020-08-16 08:08:40
현실을 무시한 정책들을 폈다. 이에 막부정권의 자존심과 국제 감각의 무지로 인해 참전했다는 주장들이 있다. 물론 일본은 변방의 섬나라이고, 외국과의 교류는 활발하지 않았다. 하지만 송나라의 상인들이 혼슈 중부인 쓰루가의 객관에 머물렀을(《후꾸이(福井)현사》)정도이니, 무역은 물론이고, 국제질서 또한 이해했을...
여몽연합군의 일본 정벌, 실패한 까닭은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재발견] 2020-08-09 08:00:24
국서를 보냈다. 하지만 전쟁에 이긴 일본의 막부는 사신단들을 계속 참수시켰다. 뒤늦게 실상을 파악한 쿠빌라이칸은 1276년에 남송을 멸망시키자 준비를 했고, 1280년 8월에 일본을 재차 공격할 것을 명령했다. 원나라의 정책과 적극적인 참여로 입장을 바꾼 쿠빌라이의 사위인 충렬왕의 협조로 결국은 연합군이 편성됐다....
일본 히타치제작소, 스위스서 8조원대 송배전 사업 인수 2020-07-03 10:22:35
본격 진출한다는 메시지를 던졌다. 흑선은 일본 막부(幕府) 시기인 에도(江戶) 시대 말기에 일본의 개항을 요구한 미국의 매튜 페리 제독이 타고 온 배를 일컫는 말이다. 원전 분야에서 경쟁력을 자랑하던 히타치제작소는 2011년 동일본대지진 당시의 후쿠시마 제1원전 폭발 사고를 계기로 세계 각국의 원전 신설 계획이 잇...
'적반하장' 日우익신문 "한국, 역사 왜곡 멈춰라" 망언 2020-06-28 10:21:08
"세계문화유산 등록은 바쿠후(幕府, 무사 정권 시절의 통치기구)나 한(藩, 에도시대의 통치기구)이 시행착오를 하면서 조선(造船) 등 산업화를 시작한 1850년대부터 산업화가 일단락한 1910년까지의 기간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앞선 대전(태평양 전쟁)의 종전이 임박했을 때의 탄광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고 썼다. 군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