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일교차 큰 주말 호흡기질환 주의…"스카프로 목 보호하세요" 2019-03-23 07:30:00
평소 천식이나 만성폐쇄성폐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라면 찬 공기에 기관지가 수축해 호흡곤란이 생길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찬바람이 불면서 공기가 건조해지는 것도 건강엔 적신호다. 바이러스 침입을 막아주는 코점막이나 인후두부의 점막이 건조해지면 물리적인 방어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정 교수는 "습도가 낮으면...
'몸속 정수기' 콩팥 건강 지키려면 '소금은 조금만' 2019-03-08 19:56:55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이 많다. 이들 질환이 있으면 콩팥 기능이 더 빨리 떨어진다. 고령층은 폐렴이나 장염 때문에 열이 많이 나거나 설사로 심한 탈수가 생기면 신체 회복 능력이 떨어진다. 평소 콩팥 기능이 정상이었더라도 이런 질환이 생기면 콩팥 기능이 갑자기 나빠지기도 한다.콩팥이 제 기능을 못 하면 소변을...
"영유아 고열에 턱밑 붓는다면 바이러스 침샘염 의심해봐야" 2019-03-08 17:50:59
때, 약물을 복용하거나 금식 탈수 등으로 침 분비량이 줄어들면 입속 세균이 침샘관을 타고 들어가 염증이 생기기 쉬워진다.바이러스성 침샘염인 볼거리는 환자를 통해 전파된다. 전염력이 상당히 강해 볼거리가 생겼다면 다른 사람에게 옮기지 않도록 감염 관리에 신경써야 한다. 세균에 감염된 뒤 생기는 침샘염은 화농성...
겨울 스포츠 START, 스키장에서 ‘이것’ 하나면 피부 걱정 뚝! 2018-11-28 16:57:00
들쭉날쭉하기 쉽기 때문에 피부 속 수분 탈수 증상을 막기 위해서는 강력한 보습제가 필요한 데 주름과 푸석한 피부를 위해 멀티밤을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찬바람과 히터 바람에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는 피부가 스트레스받지 않도록 야외 활동 전 스킨 케어 단계에서 고농축 보습제를 피부 전체에 듬뿍 발라주자....
한풀 꺾인 폭염, 안심하긴 이르다! 환절기 건강 주의보 2018-09-03 18:26:01
탈수, 탈진, 열사병 등에 시달릴 수 있어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계절이 9월로 접어들면서 기록적인 무더위도 한풀 꺾인 듯하지만 아직 안심하긴 이르다. 무더위에 늘어져 힘이 떨어진 신체는 환절기처럼 계절이 바뀌는 시기에는 면역력이 약해지기 쉬워 더욱 조심해 건강 관리에 힘써야 한다. 환절기 건강을 위해 집에서도...
폭염에 시원한 청량음료 '벌컥벌컥'… 당뇨병·신장병 환자에겐 毒 2018-08-03 17:49:57
이지현 기자의 생생헬스 폭염 속 만성질환자 건강 관리법충분한 수분섭취 중요 당분 있는 음료 마시면 혈당 ↑ 소변 늘어 탈수증세 더 심해져땀 많이 흘리면 혈압 뚝 체내 염분 빠져나가 어지럼증 유발 평소 짜게 먹는 고혈압 환자 위험신장병 환자, 과일 골라 먹어야 칼륨 많은 참외·바나나 등 금물 갈증 날 땐 레몬...
[최악폭염] 겨울에 강조되던 '체온 유지', 폭염에도 필수 2018-08-02 09:20:11
않다. 특히 소아나 노인은 탈수에 취약하고, 만성질환자들도 급격히 컨디션이 나빠질 수 있어 수분 섭취에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 술이나 카페인 음료 섭취는 체온 상승이나 이뇨 작용을 유발하므로 피해야 한다. 물이나 이온음료가 좋다. 덥다고 차가운 음식을 너무 많이 먹으면 장염에 걸려, 되려 탈수 증세가 나타날 수...
더운 여름 '피도 끈적해진다'…심혈관질환 주의보 2018-07-24 06:07:01
위험이 있다. 특히 노인은 일반 성인보다 만성질환을 앓는 경우가 많고, 체내 수분도 적은 편이어서 더욱 위험하다. 더위를 피하고 꾸준히 수분 섭취를 해주는 게 중요하다. 김용환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탈수가 오래가면 부정맥 등이 유발돼 혈전이 혈관 일부를 막을 위험이 커진다"며 "협심증을 앓았거나 ...
올해만 폭염으로 9명 사망…충분한 수분 섭취 필수 2018-07-21 22:06:21
등 만성질환자의 증상을 악화시키거나 합병증을 유발할 위험성이 크다. 만성질환자는 탈수에도 취약해 갈증이 나지 않더라도 수분을 꾸준히 섭취해야 한다. 노년층의 경우 노화로 갈증을 느끼기가 어려울 수 있는 만큼 주기적으로 물을 마셔야 한다.커피와 탄산음료는 피하는 게 좋다. 이들 음료는 몸속 수분을 빼앗기...
알바생 52%, ‘냉난방기 온도조절 권한 없어’···덥고 추워도 참아야 2018-07-20 13:23:00
‘만성피로와 의욕부진’(26.3%)이 가장 많았다. 이어 ‘두통, 어지러움 등 냉방병 증세’(25.5%), ‘과도한 갈증, 탈수 등 수분부족’(20.6%), ‘잦은 온도 변경으로 인한 감기’(15.6%), ‘수면 장애 및 스트레스’(12.1%) 등이 있었다. kelly7795@naver.com < 저작권자(c) 캠퍼스 잡앤조이, 당사의 허락 없이 본 글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