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뉴욕유가] OPEC+ 증산 연기에 되레 수요 우려…WTI, 0.35%↓ 2024-12-06 05:52:15
협의체인 'OPEC+'가 증산을 미루기로 했음에도 하락했다. 대체로 예상됐던 일이었던데다 이번 결정으로 글로벌 원유 수요가 약하다는 점이 오히려 확인됐다는 해석이 나왔다. 5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장 대비 0.24달러(0.35%) 낮아진 배럴당 68.30달러에...
'취임 5개월 지지율 급락' 英총리 "경제성장·생활 개선" 2024-12-06 02:57:26
개선" '구체적 수치·이민 목표 無' 지적…스타머 "포퓰리즘 답 아냐" (런던=연합뉴스) 김지연 특파원 = 취임 5개월을 앞두고 지지율 하락을 겪고 있는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가 5일(현지시간) 경제 성장과 삶의 질 개선을 거듭 약속했다. 로이터·AP 통신과 BBC 방송에 따르면 스타머 총리는 이날 버킹엄셔에서 한...
가나 7일 대선…전 대통령, 현 부통령 대결 2024-12-05 19:00:14
4번째 도전인 이번 대선에서는 치솟는 물가와 통화 가치 하락으로 심화한 경제 위기에 실망한 유권자의 표심을 노리고 있다. 그의 상대인 바우미아 부통령은 아쿠포아도 대통령 시절(2016∼2024년) 8년간 부통령을 지냈다. 가나 중앙은행 부총재와 국제통화기금(IMF) 근무 경력으로 지난해 30억 달러(약 4조원) 규모의 IMF...
연말특수 물건너가나…관광·유통업계 '덜덜' 2024-12-05 11:24:49
가치 하락)이 더 오르면 상품 매입 부담이 커지고 면세품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어서다. 한국면세점협회에 따르면 지난 10월 면세점 이용객 수는 257만명, 매출은 1조1천112억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이용객은 작년 같은 달보다 19% 늘었으나 매출은 16.4% 감소한 상태다. 외국인들의 필수 방문 코스로 꼽히는...
외국인 관광객 빠질라…불황 속 연말특수 위축될까 전전긍긍 2024-12-05 10:50:52
원/달러 환율(원화 가치 하락)이 더 오르면 상품 매입 부담이 커지고 면세품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 신세계면세점 관계자는 "어느 정도 고환율 흐름이 이어져 온 만큼, 매출에 당장 큰 변동은 없다"며 "상황을 지켜보는 단계"라고 말했다. 롯데면세점 관계자는 "외국인이 계엄을 바라보는 시선이 내국인과는 또...
파월 금리인하 신중론에…아시아 통화 상승 2024-12-05 09:21:57
하락한 수치다. 2년물 미 국채금리는 5.4bp 내린 4.126%, 10년물은 4.5bp 내린 4.180%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TD증권 채권 투자전략 책임자 게너디 골드버그는 "파월 의장의 발언은 시장에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며 "연준이 이달 모든 옵션을 테이블 위에 올려놓을 것 같지만 여전히 금리인하를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날...
외신 "충격"…한국의 한밤 계엄령 선포·국회 해제결의 긴급타전(종합2보) 2024-12-04 02:45:55
소식이 검색어 1위에 올라 중국인들의 높은 관심을 반영했다. 검색어 2위는 한국 국회 출입문 통제, 4위는 야당·경찰 국회 출입구 대치였다. 웨이보(중국판 엑스)에서도 비상계엄이 1위였고 한국 원화 환율 급등(가치 하락) 등도 10위권에 들었다. soleco@yna.co.kr [https://youtu.be/MfRYyy4E1_s] (끝) <저작권자(c)...
물가 석달째 1%대...정부 "특별한 충격 없으면 2% 이내 흐름" 2024-12-03 11:38:08
전체 물가 둔화세의 가장 큰 요인은 석유류 가격 하락이다. 지난달 석유류 물가는 국제유가 안정에 힘입어 지난해 같은 달보다 5.3% 하락하면서 전체 물가를 0.22%포인트 끌어내렸다. 다만 하락폭은 유류세 인하조치 조정 영향으로 10월(-10.9%)에 비해 줄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농·축·수산물 물가는 1.0% 올라...
11월 물가 1.5%↑, 유가 하락에 석달째 1%대…"체감물가는 높아"(종합2보) 2024-12-03 10:43:22
둔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품목별로는 무(62.5%), 호박(42.9%), 오이(27.6%) 등의 가격 상승이 두드러졌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여름철 고온 현상에 따른 작황 부진으로 채소 가격이 올랐던 영향이 여전히 남은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올해 상반기까지 '고공행진' 하던 과실류 가격은 8.6%...
물가 상승률 3개월 연속 1%대인데…체감 안되는 이유 [딥코노미] 2024-12-03 09:54:38
연속 10%대 상승이다. 무(62.5%), 호박(42.9%), 오이(27.6%) 등의 가격 상승이 두드러졌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여름철 고온 현상에 따른 작황 부진으로 채소 가격이 올랐던 영향이 여전히 남은 것으로 보인다”며 “가을 기상 여건이 양호해짐에 따라 상승률은 점차 축소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