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우버, 헤지펀드의 지분매입 소식에 주가 급등…장중 8%대↑ 2025-02-08 04:56:11
캐피털 매니지먼트(이하 퍼싱스퀘어)가 차량공유 서비스 업체 우버의 지분을 상당량 확보했다고 애크먼 회장이 7일(현지시간) 밝혔다. 애크먼 회장은 이날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 글에서 "1월부터 우버 지분을 매입하기 시작해 오늘 기준으로 3천30만 주를 확보했다"라고 전했다. 이는 지분율 약 1%를 웃돌며 지분...
피크, 1억달러 규모 캠페인 '겟 리얼' 출범…"디핀 생태계 성장 촉진" 2025-02-07 17:24:58
Dorlochter) 피크 공동창립자는 "디핀 서비스의 경쟁력은 인프라 구축에 참여하는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향상된다"라며 "서비스 경쟁력이 높아질수록 채택이 확대되고 공급자가 유입되는 선순환이 형성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겟 리얼 캠페인 참가자는 피크 생태계에 온보딩된 15개의 디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미션...
트럼프, 비판적 언론 '손보기' 들어가나…구독 계약 취소 착수 2025-02-07 15:25:49
계정에 "NYT는 정부가 지원하는 미디어"라고 비판했다. 머스크는 "국민의 혈세 낭비를 끝낼 것"이라면서 국무부와 정치 전문 인터넷 매체 폴리티코 등의 구독 계약 사례를 소개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 국무부와 미 항공우주국(NASA)은 이날 폴리티코와의 구독 계약을 종료했다. 또한 백악관은 연방 정부의 부동산 관리와...
서울 시내 4050세대가 가장 선호하는 SNS는 '인스타그램' 2025-02-07 14:21:10
분석'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는 한국미디어패널조사 데이터에 기반해 2019년과 2023년의 서울시 중장년층(40~69세)의 스마트 기기 보유 현황, 미디어 소비 방식, 정보 탐색 경로 등을 연령대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가 담겼다. 중장년층의 스마트 기기 보유율은 크게 늘었다. 기기 보유율을 보면 태블릿PC가 약...
각국서 딥시크 금지?…"앱은 제한되더라도 오픈소스는 그대로" 2025-02-07 12:09:48
아마존웹서비스(AWS) 등 세계 5대 클라우드 기업이 앞다퉈 딥시크 오픈소스를 채택했다. 중국 내에서는 화웨이와 텐센트, 바이두, 알리바바 등도 딥시크 오픈소스를 지원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중국 IT 1인 미디어 카오즈(caoz)는 "어떤 정부도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배포를 제한할 만큼 어리석지 않을 것"이라면서 "게다가...
딥시크 "허위정보·위조계정 주의"…각국 차단 확산 속 첫 입장(종합) 2025-02-07 10:42:28
오도·혼란 초래" 서비스 공지 외 입장 표명은 '딥시크 돌풍' 이후 처음 (서울=연합뉴스) 권수현 기자 =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 深度求索)가 자사와 관련된 허위 정보와 위조 계정이 오해와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7일 중국 매체 제일재경과 펑파이 등에 따르면 딥시크는...
국내외 방송가도 딥시크 경계령…AI 보안 강화 움직임 2025-02-07 09:04:09
확산했다. 7일 미디어 연구소 K엔터테크허브에 따르면 특히 2014년 북한 소행으로 추정되는 해킹 때문에 미공개 영화, 배우와 직원들의 개인 정보, 내부 전자우편 등이 유출돼 막대한 피해를 봤던 할리우드는 중국계 AI 기술에 대한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 할리우드 스튜디오들은 딥시크뿐만 아니라 클링·잉·하이퍼 2.5...
[송형석 칼럼] '은둔 경영'으론 빅테크 대항 못한다 2025-02-06 17:43:16
CEO들은 딴판이다. 미디어 노출을 오히려 즐긴다.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엔비디아의 젠슨 황, 오픈AI의 샘 올트먼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들은 주주총회나 신제품 발표회 외에도 수시로 자리를 만들어 투자자나 대중과 소통한다. 사진을 같이 찍고 사인도 해준다. 팬 서비스 수준이 연예인과 정치인 저리 가라다. 그것도...
김동연 경기도지사, 주한캐나다 대사 만나 '트럼프 행정부 관세 대응방안' 논의 2025-02-06 17:14:46
지사는 지난 3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우려했던 관세전쟁이 시작됐다”면서 ‘트럼프 2기 비상 대응 체제’ 즉시 가동과 함께 △여·야·정 합의로 ‘경제전권대사’ 조속히 임명 △수출방파제 구축 △신속한 ‘추경 편성’ 등 3가지를 정부와 정치권에 촉구한 바 있다. ‘경제전권대사’는 조기 대선 후...
휴먼컨설팅그룹, 대기업 e-HR 솔루션 구축 계약 150건 돌파 2025-02-06 16:46:26
섬유·석유화학·금융·미디어·레저사업으로 유명한 T사 등 대규모 그룹사의 수주에 이어 에스엘의 e-HR 프로젝트까지 차지하며 현재 국내에서 독보적인 HR 전문기업임을 증명했다. HCG가 국내 유수의 대기업 그룹사 프로젝트를 잇따라 수주하는 데에는 대표 솔루션인 휴넬(hunel)의 역할이 컸다. 휴넬은 1,000명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