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美, 홍콩 해외 정치범 현상수배 등에 "초국가적 억압" 규탄 2024-12-27 14:46:10
홍콩 경찰은 지난 24일 6명의 민주 진영 인사에 대해 홍콩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1인당 100만홍콩달러(약 1억8천만원)의 현상금을 내걸었다. 또한 영국과 호주에 체류 중인 민주 활동가들에 대해서는 여권 취소와 경제 제재 조치를 가했다. 홍콩 국가보안법은 국가 분열, 국가 정권 전복, 테러 활동, 외국 세력과의 결탁...
한덕수 "여야 합의안 제출 때까지 헌법재판관 임명 보류" [전문] 2024-12-26 13:56:16
곁에는 진영의 유불리를 넘어 나라 전체를 생각하는 정치인들이 계셨습니다. 정치로 풀어야 할 일을 정치로 풀어주시는 큰 어른들이 계셨기에 우리가 이만큼 왔다고 생각합니다. 오늘 우리가 많은 갈등을 겪고 있지만 우원식 국회의장님,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지명자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님을 포함한...
홍콩, 해외체류 민주화 인사들에 또 현상금…여권 무효 조치도(종합) 2024-12-24 16:52:20
무효 조치도(종합) 민주 활동가 "국제사회, 中에 책임 물어달라"…中 "범죄 행위 필연적으로 처벌" (서울·베이징=연합뉴스) 권숙희 기자 정성조 특파원 = 홍콩 경찰이 6명의 민주 진영 인사에 대해 홍콩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1인당 100만홍콩달러(약 1억8천만원)의 현상금을 내걸었다. 영국과 호주에 체류 중인 민주...
홍콩, 해외체류 민주화 인사들에 또 현상금…여권 무효 조치도 2024-12-24 16:17:35
현상금…여권 무효 조치도 민주 활동가 "국제사회는 中공산당에 책임 물어달라" 촉구 (서울=연합뉴스) 권숙희 기자 = 홍콩 경찰이 6명의 민주 진영 인사에 대해 홍콩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1인당 100만홍콩달러(약 1억8천만원)의 현상금을 내걸었다. 영국과 호주에 체류 중인 민주 활동가들에 대해서는 여권 취소와 경제...
황교안 "선관위, 이재명 유죄판결 예상은 아예 안 하나" 2024-12-23 10:18:28
진영의 대표적인 부정 선거론자인 황교안 전 국무총리는 국민의힘 의원을 '내란 공범'이라고 표현한 현수막은 허용하고, '이재명은 안 된다'는 현수막은 불허한 중앙선거관리위원회를 향해 "해체가 답"이라고 23일 비난했다. 황 전 총리는 이날 페이스북에 "선관위는 그동안 선거 관리와 관련해 편파적인...
미얀마 반군, 군정 서부사령부 점령…라카인주 장악 '눈앞' 2024-12-21 12:26:11
미얀마 민주 진영과 인권단체 등은 군부에 유화적인 접근 방식을 비판했다. 미얀마 민주 진영 임시정부인 국민통합정부(NUG)는 "미얀마 국민을 대표하는 NUG를 포함한 혁명 세력이 아니라 매일 국민을 죽이는 테러리스트 군부와 상대해서는 해법을 찾을 수 없다"고 비난했다. 국제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HRW)는 "방콕...
미얀마 군정, 선거 계획 설명…주변국 "모든 당사자 참여해야"(종합) 2024-12-20 20:51:00
민주주의민족동맹(NLD)이 압승을 거두자 이듬해 2월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고 반대 세력을 유혈 진압했다. 지난해 10월 말 시작된 소수민족 무장단체 총공세로 위기에 몰린 미얀마 군정은 내년에 총선을 치르겠다며 이를 위해 인구조사 중이다. 군정은 지난해 군부에 유리하도록 선거법을 개정하면서 모든 정당에...
'모래시계 검사'의 네 번째 도전…홍준표 이번엔 다를까 [정치 인사이드] 2024-12-20 17:06:12
홍 시장은 야권의 유력 주자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상대하기에 앞서 당내 경선부터 통과해야 한다. 홍 시장과 함께 거론되는 국민의힘 차기 주자들은 한동훈 전 대표, 오세훈 서울시장,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유승민 전 의원, 안철수 의원 등이다. 홍 시장은 이들과의 차별화 지점으로 '탄핵 대선'을...
위기 몰린 미얀마 군정, 주변국에 총선계획 설명하며 지지 요청 2024-12-20 11:11:42
11월 총선에서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이 이끈 민주주의민족동맹(NLD)이 압승을 거두자 이듬해 2월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고 반대 세력을 유혈 진압했다. 아세안은 같은 해 4월 군정 수장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이 참석한 특별정상회의에서 폭력 즉각 중단 등 5개 항에 합의했으나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다. 지...
'일국양제 모범생' 마카오, 中 반환 25주년 맞아 더 도약할까 2024-12-19 06:00:03
폭동이 일어났고, 이를 계기로 마카오 정치에서 친중파 진영 입김이 거세졌다. 포르투갈은 1979년 중국과 국교를 수립한 뒤 1986년부터 마카오의 장래에 관한 협상을 시작했고, 이듬해 마카오 반환에 합의했다. 12년이 지난 1999년 12월 20일 마카오 주권은 중국으로 반환된다. 영국으로부터의 홍콩 반환(1997년) 두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