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기업 손잡은 전문대, K바이오 인재 산실로 2022-04-10 16:44:35
부천의 유한대는 바이오헬스 부문 신산업 분야 특화 선도전문대학 지원 사업에 선정된 뒤 유한생명바이오과를 신설했다. 이 대학은 유한양행 창업자인 고(故) 유일한 박사가 설립했다. 지난해에는 유한양행 유한화학 등과 협력해 공동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단백질의약품 생산 관련 실습 기자재를 기증받았다. 이를 통해...
“동아쏘시오홀딩스, 자회사 기업가치 상승으로 주가↑” 2022-03-28 08:51:01
전문 기업으로 8000L의 바이오의약품 배양기(바이오리액터)를 보유하고 있다.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임상 시료 매출, 외부 CDMO 매출로 공장 가동률이 상승하며 지난해에 영업적자폭을 크게 줄였다. 하 연구원은 “올해 추가로 바이오리액터를 1000L 증설할 계획으로, 2022년 500억원에 가까운...
삼성바이오, 뉴욕서 바이오 네트워킹 총력…"파트너십 논의" 2022-03-27 12:00:08
삼성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바이오산업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네트워킹을 강화하는 것이 수주 확대를 위한 중요한 활동으로 부상하고 있다"며 참가 배경을 밝혔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행사 첫날 회원사 포럼의 발표자로 초대돼 주요 기업을 대상으로 사업 전략과 경쟁력을 발표하는 시간을...
“마이크로디지탈, 바이오의약품 시설 확대로 성장 기대” 2022-02-24 08:12:49
24일 마이크로디지탈에 대해 국내 바이오의약품 생산시설 확대에 따른 구조적 성장을 기대했다.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는 제시하지 않았다. 마이크로디지탈은 ‘바이오 리액터’ ‘일회용 배양백’ ‘일회용 백’ 세 가지 분야에서 국산화에 성공한 유일한 국내 기업이란 설명이다. 일회용 배양백 분야에선 주요 특허를 미국...
김경남 마이크로디지탈 대표 "일회용 세포배양시스템 생산 5배 확대" 2022-02-20 18:04:33
재질의 바이오 리액터 시스템보다 안전한 데다 휴지 기간도 없기 때문이다. 금속 세포배양기는 세포 배양이 끝난 뒤 남은 단백질, 지질 등을 세척해야 하는데, 여러 번 헹궈도 잔존물과 바이러스가 남을 수 있다. 초기 비용이 저렴한 것도 일회용 세포배양 시스템의 장점이다. 바이오 리액터 대비 초기 공장 설비 비용을...
지아이셀, NK세포치료제 200L 대량배양 확인 2022-02-16 11:00:04
계획이다. 지아이셀 공정개발팀장인 고동우 이사는 “수많은 바이오리액터 공정 테스트 결과, 마침내 고활성의 NK 세포를 200L로 대량생산하는데 성공했다”며 “향후 추가 공정개발을 통해 공정의 완건성(Robustness)을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아이셀이 생산한 NK세포치료제는 NK세포의 활성 마커인 CD16, NKp46을...
中 우시바이오, 美 수출규제에 주가 폭락… 삼바 반사수혜 기대 2022-02-08 15:57:14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목록에 중국 장쑤성 우시 및 상하이에 있는 두 곳의 자회사가 등재됐는데 모두 생산시설이 완공돼 추가 설비를 구입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두 곳은 주로 세포 배양기(바이오리액터)와 필터 등을 미국 법인으로부터 수입해왔다. 이 같은 소식은 국내 CDMO 기업에는 호재로 작용하는...
메디포스트, 주사형 무릎 골관절염 치료제 국내 2상 시작 2021-12-22 09:38:57
확인했다. SMUP-IA-01의 주성분은 ‘스멉셀(SMUP Cell)’이다. 스멉셀은 메디포스트의 줄기세포 플랫폼 기술로 생산된 고효능의 동종 제대혈 유래 중간엽줄기세포다. 메디포스트 관계자는 “SMUP-IA-01은 바이오리액터를 통해 대량 생산을 할 수 있어 생산 시간 및 원가 절감이 가능하다”며 “냉동제형으로 보관 및...
러시아 코로나 백신 '코비박' 국내서 생산 2021-11-28 16:48:08
바이오텍은 현장실사 후 코비박 생산을 위해 1000L 규모 바이오리액터 2기를 추가 증설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협약이 마무리되면 다음달 말부터 코비박 국내 생산이 시작된다. 생산량은 공개되지 않았다. 의학대학과 약학대학 등 연구 시설 및 인력을 갖춘 아주대가 산학협력을 통해 지원할 계획이다. 국내에서 생산하는...
정부, '소부장 GVC 특별위원회' 신설…공급망 위기대응 강화(종합) 2021-11-17 18:00:00
개발 지원 이날 회의에서는 시스템반도체·미래차·바이오 등 빅3 산업과 나노 분야 첨단 장비의 공급망 강화 계획을 담은 '신산업 제조장비 개발 로드맵'도 의결됐다. 로드맵에 따라 정부는 내년부터 2030년까지 총 31개의 핵심장비를 개발하고, 개발한 장비의 조속한 상용화를 위해 R&D부터 실증까지 전(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