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러, 유럽 입국금지 명단 확대 '맞불'…미 제재에도 반발(종합) 2024-02-24 03:30:18
지원을 제공하는 민간인과 러시아 관리를 박해하고 러시아 국가 자산 몰수를 옹호하는 사람들도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입국 금지 명단에 오른 개인의 이름이나 수는 공개하지 않았다. 이날 EU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에 연루된 개인 총 106명, 법인 및 기관 88곳 등 총 194건을 대상으로...
러, 유럽 단체·개인 입국금지 명단 확대…EU에 맞제재 2024-02-24 00:37:04
군사 지원을 제공하는 민간인과 러시아 관리를 박해하고 러시아 국가 자산 몰수를 옹호하는 사람들도 '블랙리스트'에 올랐다고 밝혔다. 외무부는 입국 금지 명단에 오른 개인의 이름이나 수를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유럽의 법 집행기관, 상업 단체 구성원 등이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이날 EU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위키리크스' 어산지, 英법원서 '美송환 최종 결정' 재판 개시 2024-02-21 01:01:11
공익 사항"이라고 주장했다. 또 어산지가 국가의 범죄를 폭로한 정치적 행동으로 박해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변호인단은 그가 정치적 이유로 미국에선 공정한 재판이 보장되지 않는 데다 미국 법원에서 간첩 혐의가 유죄로 인정되면 최고 175년 징역형을 받을 수 있다며 미국으로 송환되지 않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어산지...
中왕이 "위구르 집단학살은 터무니없는 거짓말…직접 가서 보라" 2024-02-19 11:45:59
강제 실종, 감시, 문화·종교적 박해, 가족 강제 분리, 강제 노동, 성폭력 등 조직적 학대를 해왔다는 발표도 했다. 이런 지적 속에 서방 국가들은 중국의 소수민족 종교·인권 탄압을 문제 삼아왔고, 미국은 재작년 6월 '위구르족 강제 노동 금지법'으로 신장산 제품 수입을 제한하고 있다. xing@yna.co.kr (끝)...
'징역 피해 망명' 파나마 전 대통령, 임시체류지 변기까지 교체 2024-02-10 05:33:03
파나마 대통령은 2009∼2014년 정부를 이끌며 불법으로 빼돌린 국가 예산으로 자국 미디어 대기업 '에데사'(EDESA) 등의 지분을 구입하는 데 관여한 죄로 중형을 받았다. 그는 이번 판결로 오는 5월 5일로 예정된 차기 대선에 출마하지 못하게 됐다. 그러나 마르티넬리 전 대통령은 전날 CNN 방송 인터뷰에서 "명백...
"중국 공안, 종교집회 급습해 기독교인 200명 체포" 2024-02-06 10:45:42
인권단체들은 2013년 시진핑 주석이 중국 국가주석이 된 이후 종교 단체, 특히 당국에 등록되지 않은 종교 단체는 더 높은 수준의 박해를 받아왔다고 우려하고 있다. 특히 2018년 중국 공산당이 모든 종교 단체와 그 구성원을 정부에 등록하고 사전 허가 없이는 모든 활동을 금지하는 새로운 종교 업무 규정을 채택하면서...
말레이 경찰, '이민국 수용소 탈출' 로힝야족 난민 검거 2024-02-04 15:18:19
방글라데시로 피신했다. 로힝야족은 미얀마 당국의 박해와 방글라데시 난민촌의 열악한 환경에서 벗어나기 위해 인도네시아나 말레이시아 등으로도 밀입국을 시도하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이슬람 국가이지만 최근 수년간 로힝야족 난민 입국을 거부해왔다. bumso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中, '종교의 중국화' 규정 개정…신장위구르족 종교 통제 강화" 2024-02-01 10:48:27
구금, 고문, 강제 실종, 대규모 감시, 문화 및 종교적 박해, 가족 간의 강제분리, 강제노동, 성폭력 등이 포함됐다는 것이 이 단체의 판단이다. HRW는 2021년 이같은 행위가 "인류에 반하는 범죄"에 해당한다고 결론 내렸고 2022년 유엔 보고서에서도 이런 학대가 "인류에 대한 범죄에 해당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을...
'하마스 연루설' UNRWA, 특정 난민만 지원하는 유일 유엔기구 2024-01-30 18:05:55
난민협약은 실제로 "무력충돌과 박해를 피해 달아난" 사람을 난민으로 규정한다. 하지만 UNRWA는 '1946년 6월 1일∼1948년 5월 15일 팔레스타인을 주거지로 삼다가 1948년 전쟁으로 집과 생계 수단을 모두 잃은 사람'과 그의 후손들을 모두 난민으로 인정한다. 이에 따라 UNRWA는 특정 지역의 특정 그룹 난민만을...
[특파원시선] 대선 앞두고 국경 걸어 잠그는 '이민자의 나라' 2024-01-28 07:00:01
체포된 이주민 다수는 정치·종교적 박해 등을 이유로 망명을 신청하며, 망명 심사를 하는 동안에는 미국에서 합법적으로 체류할 수 있다. 미국 정부는 수용시설이 부족해 일단 이주민들을 풀어주는데 이민법원도 포화 상태라 망명 심사에만 수년이 걸린다고 한다. 이런 상황은 그동안 주로 텍사스주와 애리조나주 등 국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