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2019 낙동강 물 문제](상) '깡통법률' 개정해야…시민들 2019-01-02 07:07:01
증설로 낙동강 화학적 오염도를 나타내는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은 매년 악화하고 있다. 2002년 5.8ppm, 2003년 5.1ppm 수준이던 COD는 2016년 6.3ppm, 2017년 6.2ppm으로 증가했다. 박종열 부산시 수자원관리과 팀장은 "산업단지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은 10만 종류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는데 관리가 되고 확인...
낙동강 하류 4개보 개방 후 녹조 줄고 멸종위기종 발견 2018-12-19 12:00:05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총인(T-P) 등은 전반적으로 개선됐다. 조류(녹조·클로로필-a)의 경우 올해 1∼9월에는 가뭄과 불볕더위 등으로 예년 대비 20% 이상 증가(달성보 제외)했지만, 10월 확대 개방 이후에는 예년 대비 15∼46% 감소(창녕함안보 제외)했다. 창녕함안보 조류 농도는 올해...
덕유산·지리산·내장산·변산반도 국립공원 수질 모두 '양호' 2018-12-12 10:17:26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했다. 계곡·하천수는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BOD)과 부유 물질량(SS), 총대장균군 등 6개 항목을, 해수는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 등 3개 항목을 각각 조사했다. 새만금환경청 관계자는 "국립공원의 수질 관리가 현재까지는 잘 이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매년 국립공원을 찾는 탐방객이 늘고 있어...
환경청, 음식물 폐기물 무단 살포·환경오염 업체 적발 2018-12-03 14:44:05
나대지에 무단 생산한 퇴비를 뿌렸다. 이 과정에서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 법정 허용기준(50ppm)의 250배를 초과하는 고농도(1만260ppm) 침출수가 함평군 월야면 농수로와 농업용 저수지로 흘러 들어갔다. 저수지 물고기 수십 마리가 죽는 등 환경오염 피해가 발생했다. A업체가 분뇨 수집과 톱밥 구매에 돈을 아껴서 얻...
부산 물이용부담금 6천900억원 냈지만 취수원 수질 개선 안 돼 2018-11-28 16:23:21
측의 분석이다. 수계별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농도를 보면 낙동강 물금 지역은 2006년 2.7ppm이었지만 2015년에도 2.2ppm으로 비슷한 수질을 유지했다. 서울 시민의 상수원수인 한강 팔당댐의 지난 10년 평균 BOD는 1.2, 금강 대청댐의 BOD는 평균 1에 불과했다. 생명마당 측은 낙동강 상수원이 개선되지 않는 이유 중...
금강 보 완전 개방 후 물흐름 대폭 개선…자연성 일부 회복 2018-11-15 06:00:09
지표인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총인(T-P) 모두 예년보다 큰 폭으로 낮아졌다. 생태계에서는 물흐름이 빠른 곳에서 서식하는 피라미, 돌마자 등 유수성 어종이 증가하고 물흐름이 느린 곳에서 사는 몰개, 붕어 등 정수성 어종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백로, 왜가리 등 물새도 많이 관찰됐다. 경관의 변화도 생겼다....
오염 심한 용인기흥저수지 수질개선사업 착수 2018-11-08 15:50:09
기흥저수지의 생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이 농업용수 기준(8㎎/ℓ)보다 나쁜 13.28㎎/ℓ일 정도로 수질이 나쁘다는 점이다. 50여년 넘게 실질적인 준설을 하지 않아 퇴적된 오염물이 수질을 악화시키며 매년 여름철마다 악취와 녹조 발생의 주요인이 되어왔다. 기흥저수지의 오염된 물은 오산천, 진위천, 안성천, 평택호까지...
'수문 개방 20일' 이포보 가보니…민관합동 첫 모니터링 2018-10-24 17:09:38
지표인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은 개방 이후 1.0∼1.6 수준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연평균은 1.3이었다. 환경부 관계자는 "현재는 예년 평균과 별로 차이가 나지 않는 수준"이라며 "아직 보 개방과 수질을 연관 짓기는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 일대에서 4대째 살고 있다는 손기용 한강지키기운동본부 수석대표는...
[국감현장] '4대강 지천' 영주댐 집중포화…"해체·타용도 검토해야" 2018-10-22 17:56:20
않았다"며 "화학적산소요구량(COD) 역시 목표치(2mg/ℓ)보다 2배나 높게 나왔다"고 지적했다. 녹조 유발물질인 총인량과 총 질소량도 모두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했다. 수공은 이런 목표달성 실패로 영주댐 상류에 사육 중인 가축이 증가했다고 설명했지만 이마저도 통계와 다르게 나왔다. 이정미 의원은 "수공은 영주댐...
양양지역 하천 수중생태계 양호…꺽지·버들치 청정 어류 서식 2018-10-15 13:54:12
발견됐다.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의 경우 남대천 0.4ppm, 후천과 물치천이 0.8ppm으로 나타나 수질 또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1ppm 이하면 하천의 수질을 1급수로 평가한다. 박경열 환경관리과장은 "지역의 젖줄인 남대천의 경우 생태하천 육성을 위해 250억원이 투입되는 지방하천정비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