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오너家, 상속세 마련 허덕이다가…경영권 분쟁·헐값 매각 속출 2024-01-19 18:31:10
경영에도 부정적 영향징벌적 상속세는 기업 경영에도 여러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2차전지 소재기업 재원산업의 창업주인 심장섭 회장은 지난해 4000억원 규모 프리IPO(상장 전 투자 유치)를 추진하던 중 갑자기 세상을 떠났다. 그러나 유족은 투자 유치 작업을 포기했다. 높은 기업 가치를 인정받을수록 더...
[사설] '카드 돌려막기' 사상 최대…총선 정쟁에 뒷전 밀려난 서민 고통 2023-12-25 17:20:32
넘어설 전망이다. 재산보다 빚이 많아 상속 포기 신청을 하는 사례가 2만2127건(3분기 말)으로 역시 최고 기록(2022년 2만5679건) 경신이 유력하다. 3개 이상 금융회사에서 돈을 끌어다 쓴 ‘다중채무자’ 규모와 비중도 각각 450만 명, 22.6%로 사상 최대다. 다수 서민 삶의 터전인 중소기업도 악전고투 중이다. 11월 말...
[칼럼] 가업승계를 위한 주가 관리와 상속재원 마련이 중요한 이유 2023-12-22 17:04:39
있으면서도 세금 부담으로 인해 가업승계 포기를 선택하는 기업이 많은 것이다. 작년 7월 발표된 세제개편안에는 기업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고, 세제 지원을 강화한다는 내용의 법안을 다수 포함하고 있다. 가업상속공제는 10년 이상 가업을 영위한 기업인이 사망 후 자녀 등에게 재산을 물려주는 경우, 세금을 공제하는...
내연녀와 재혼해 미국 시민권 딴 父, 한국 사는 딸 상속은 [더 머니이스트-김상훈의 상속비밀노트] 2023-12-22 07:33:14
살면서 미국 시민권을 취득하고 한국국적은 포기했습니다. A씨는 미국에서도 큰 돈을 벌어서 뉴욕에 상가 건물을 소유하기까지 했습니다. A씨는 2020년 2월께 사망했습니다. A씨는 한국과 미국 양쪽에 상가 건물을 상속재산으로 남겼습니다. 사망하기 1년 전에 자신이 소유한 모든 재산을 재혼한 아내인 X씨에게 준다는...
"바람나 집 나간 父, 어머니 사망하자 보험금 달라네요" 2023-12-20 00:28:38
했다. 이어 최 변호사는 "소송까지 원하지 않는다면 상속재산 분할협의서를 쓰며, 유류분(상속인을 위해 재산의 일정 몫을 남겨 둔 것·배우자와 직계비속인 딸은 상속액의 2분의 1이 유류분)을 포기하는 취지의 내용을 포함하는 것으로 협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장지민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상속소송 배경 밝힌 LG家 세모녀…"구 회장이 상속합의 어겼다" 2023-12-19 01:52:17
회장은 편지에서 "한국 상속법 체제에서 어른들이 각자 자신의 권리를 주장했다면 LG 경영권이 4대까지 승계되지 않았을 것"이라며 어머니에게 상속권 주장을 포기할 것을 종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세 모녀는 지난 3월 구 회장을 상대로 상속 재산을 다시 분할해달라는 소송을 제기했다. 소송을 낸 김 여사는 지난...
부동산 시장 침체기, 자산가들은 어떻게 대처할까? [한경부동산밸류업센터] 2023-12-09 07:40:01
인해 상속받아 지금껏 거주하고 있던 그녀에게 고민거리가 하나 있다. 2030세대가 즐겨 찾을 만큼 상권이 뛰어난 관계로 해당 단독주택을 허물고 카페용 꼬마빌딩을 신축하고 싶은데, 근래 들어 건축공사비가 천정부지로 올랐기 때문이다. 여기에 고금리 여파로 대출을 많이 받기도 부담스러워 이제는 건물신축을 포기해야...
[칼럼] 보상금 지급 규정이 명확해야 하는 직무발명보상제도 2023-12-05 09:27:55
후 출원하지 않거나 출원을 포기 또는 취하하는 경우에도 발명자인 종업원 등은 정당한 보상을 받을 권리가 있다. 하지만 보상의 종류, 보상액의 결정 기준이나 산정 방법 등 구체적인 내용은 종업원과 사용자 등의 계약이나 근무 규정상 사전예약 승계 규정, 직무발명 보상 규정 등을 통해 결정해야 한다. 직무발명 보상...
[칼럼] 가업승계에서 사후관리를 빼놓을 수 없는 이유 2023-11-30 12:25:21
L사의 김 회장은 상속세 부담으로 인해 경영권 상속을 포기하고 지분 전량을 매각하여 해외에서 새로운 사업을 시작했다. K사는 창업주의 갑작스러운 별세로 상속세를 납부하지 못하게 되자 회사를 매각하게 됐다. J사도 마찬가지로 가업승계를 사전에 준비하지 못한 탓에경영권을 사모펀드에 매각했다. 이처럼 많은...
당정 머뭇거리는 사이…'상속세 완화' 외친 민주당 2023-11-27 18:42:31
말했다. 세계 최고 수준의 부담을 지우는 상속·증여세 체계 개편 필요성이 큰데도 ‘부자 감세’ ‘부의 대물림’ 틀에 가로막혀 제대로 된 논의조차 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한국의 상속·증여세 최고 세율은 50%로 주요국 가운데 최고 수준이다. 최대주주 할증(20%)이 적용되면 세율이 60%까지 치솟는다. 이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