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독도경비대 70년 괴롭힌 '깔따구'…알고보니 신종 모기 2023-09-17 16:19:06
이번에 확인된 독도점등에모기는 국립생물자원관과 배연재 고려대학교 교수 연구진이 2022년 자생생물 조사·발굴 사업을 통해 밝혀냈다. 독도점등에모기는 자발적으로 결성됐던 독도의용수비대원이 1953년 당시 고통을 증언할 정도로 오랜 기간 독도경비대원을 괴롭혀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서민환 국립생물자원관장은...
멸종 위기종이 횟집에 버젓이…정부, 1년간 조사 안했다 2023-09-17 10:08:35
시행과 관련돼 주고받은 공문조차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멸종위기종 보호?관리 주체인 지방환경청의 활동도 거의 없었다는 게 이 의원실의 설명이다. 특히 울릉도를 관할하는 대구지방환경청은 1년이 넘도록 아무런 홍보·계도 활동을 펼치지 않다가, 최근(9월 13일)에서야 처음으로 국립생물자원관, 경북도, 울릉군과...
유성생식기술로 인공 증식한 밤수지맨드라미 300개체 제주 방류 2023-09-13 11:00:12
기술은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우석대학교 등이 협력해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산호의 난자와 정자를 실험실에서 인공적으로 수정해 증식시키는 방식이다. 무성생식 기술에 비해 환경 변화 적응력이 높고 유전적 다양성을 훼손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해수부는 2002년부터 문섬 주변 해역을 해양보호구역으로,...
[시사이슈 찬반토론] 가지 싹둑싹둑 '닭발 가로수' 용인할 일인가 2023-09-11 10:00:03
및 관리에 관한 법률(도시숲법)’에 따라 관할 지자체가 맡고 있다. 환경부와 국립생물자원관은 2023년 3월 나뭇잎이 달린 가지가 25% 이상 잘려나가지 않도록 지자체에 권고한 바도 있다. 산림청은 가지치기 작업 시 절차를 지키며 신중하게 하라는 내용의 ‘도시 숲·생활 숲·가로수 조성관리 기준’을 고시하기도 했다....
환경부·노동부 산하 기관들, 비위 징계받은 직원에 성과급 2023-09-03 07:00:09
수자원공사는 2021년 화장실에 카메라를 설치해 동료를 불법촬영한 혐의로 파면된 직원에게 성과급 791만원을 주기도 했다. 이 직원은 퇴직하면서 7천만원 상당 퇴직금을 받아 간 것으로도 알려졌다. 건설근로자공제회에서는 지난해 회식 자리에서 동료를 성희롱해 강등된 직원이 올해 1천654만원의 성과급을 받는 일이...
아열대 물고기인데…국내 바다 서식 첫 확인 2023-09-01 11:45:14
것으로 확인됐다.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양쥐돔과 어류인 '노랑무늬양쥐돔'(가칭)이 거문도 해역에서 서식하고 있는 것을 최초로 확인하고 연구 논문을 한국어류학회지에 발표했다고 1일 밝혔다. 자원관은 2021년 10월 26일 거문도 해역에서 현지 어민이 조업 중에 발견한 어류(노랑무늬양쥐돔)를 인수해 해당...
두나무, 기후변화 생물지표 NFT 4100개 배포 2023-08-24 15:10:14
생물자원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국립생태원 등 환경부 산하 4개 기관과 '자원순환 기후행동 실천 캠페인'의 일환으로 1년간 15종의 '기후변화 생물지표'를 총 4차례에 걸쳐 NFT로 발행·배포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기후변화 생물지표는 기후변화로 계절 활동, 분포역, 개체군...
멸종위기 매부리바다거북, 국내 최대규모 인공증식 성공 2023-08-24 11:00:23
지난 2014년부터 해양환경공단,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아쿠아플라넷 등과 공동으로 '바다거북 인공증식 연구'를 해왔다. 2018년에 국내 최초로 매부리바다거북의 인공증식에 성공했으며, 이번 인공증식은 역대 4번째다. 그간 매부리바다거북 인공증식은 한 번에 2∼24마리씩 소규모로 이루어졌다. 이번에는 산란된...
지진 전조? …심해어 산갈치 군산 앞바다 첫 발견 2023-08-23 11:50:39
특별하다"고 말했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2015년 개관 이후 지금까지 심해자원 514점을 기증을 통해 표본으로 확보했다. 이 중 해양생물자원관 전문가와 미국 스미스소니언, 해양대기청(NOAA) 등의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심해 산호 신종 2종을 보고하기도 했다. 자원관은 이를 포함, 지금까지 해양생물자원 56만여점을...
지진 징조?…2m '전설의 산갈치' 이례적으로 발견된 곳이 2023-08-23 11:39:45
부른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지금까지 해양생물자원 56만여점을 확보해 해양생물종다양성 연구에 활용 중이다. 이번에 처음으로 확보한 산갈치도 면밀한 형태 및 유전자 분석을 통해 후속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안용락 해양생물다양성본부장은 "일반적으로 수심이 깊은 곳에서 서식하는 산갈치가 우리나라 동해와 남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