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트럼프發 관세폭탄...수출株 ‘차별화 전략’은 2025-02-28 16:17:58
- 이번 관세 조치가 현실화될 경우, 국내 주요 수출품인 철강, 자동차, 반도체 등이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됨. - 미국 정책의 수혜주로 언급되었던 조선, 원전 전력 관련 종목들도 최근 주가 흐름이 꺾이는 모습을 보임. - 한미 간 협상의 윤곽이 나타날 때까지 3월은 보수적으로 지켜봐야 할 것으로 전망됨.● 트럼프發...
앞 당겨진 '트럼프 관세 시계'…韓 수출 감소 등 우려 2025-02-28 10:42:20
수출품이 관세 직접 사정권에 들면서 수출 감소 등 피해가 우려된다. 현재 한국은 대미 철강 수출에서 '263만t 무관세' 쿼터(할당량)를 적용받고 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의 예외를 모두 없애는 방식으로 모든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관세 25%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이어서 당장 국내 철강 업계에 타격이...
한미 산업장관 첫 회동…"관세·조선 실무채널 구축 합의" 2025-02-28 09:17:07
또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의 양대 수출품인 자동차와 반도체에도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상태다. 앞서 안 장관은 지난 26일(현지시간) 워싱턴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에 도착해 "우리나라는 원론적으로 한미 FTA도 있고, FTA 재협상 과정에서 비관세 장벽이 대부분 정리된 상황"이라며 "미국과 구체적 협의를...
EU, 트럼프 관세 위협에 '외교전·맞대응' 투트랙 전략 2025-02-26 20:59:37
경우 즉각 대응에 나선다는 입장이다. 미국의 핵심 수출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높다. EU는 트럼프 집권 1기 때인 2018년에도 미국이 수입산 철강에 대해 25%, 알루미늄에 대해 10%의 관세를 부과하자 강력 반발하며 위스키·청바지·오토바이 등 60억 달러(약 9조원) 규모에 해당하는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구리도 관세 때리나…트럼프 "국가안보 영향 조사하라" 2025-02-26 18:05:03
알루미늄(10억600만달러)보다 지난해 대미 수출 규모가 작다. 이날 행정명령에서 언급한 구리 제품은 주로 구리 원석, 정제 구리, 구리 합금, 구리 스크랩 등이다. ‘파생상품’이 언급되긴 했지만 동관이나 구리선 동박 등 국내 구리 수출품은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워싱턴=이상은 특파원/하지은 기자...
멕시코대통령 "美와 관세협상 주중 타결 희망…비상계획도 유효" 2025-02-26 01:33:30
대통령은 멕시코의 대미 수출품에 대한 전면 관세가 현실화할 경우에 대비해 세워둔 비상 계획에 대해 "여전히 유효"하다며, 보복 관세 부과를 포함한 맞대응 가능성도 계속 열어놨다. 멕시코 정부는 미국 정부에서 골칫거리로 여기는 마약 펜타닐 밀매 단속을 위해 미국 접경 지역에 병력을 대거 배치해 놓은 상태다. 미...
아시아나 화물사업 에어인천에 이관…대한항공과 기업결합 수순 2025-02-25 16:51:14
등 주요 수출품을 실어 날랐고, 외규장각 도서 반환과 남방큰돌고래 제주 앞바다 방류 등의 프로젝트도 맡았다. 지난해 화물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7% 증가한 1조7천195억원을 기록했고, 연간 화물 수송 실적은 83만1천278t이다. viv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커버스토리] 이젠 조선까지…진격의 K방산 2025-02-24 10:01:01
있습니다.NIE 포인트1. 우리나라 수출품의 산업별 비중이 어떤지 구체적으로 확인해보자. 2. 국방과학연구소(ADD)가 K-방산 발전의 원동력이 됐다고 한다. 그 과정을 알아보자. 3. 향후 세계 방산 시장 규모에 관한 전망 자료를 찾아보자.첨단 방산 기술, 전·후방 산업에 큰 영향 성능 탁월, 가격은 절반…세계가 놀랐죠...
정부, 中 후판에 38% 잠정관세…철강주 일제 급등 2025-02-21 09:31:37
덤핑으로 상품을 수출했을 경우, 해당 수출품에 추가 관세 격인 반덤핑 관세를 부과해 국내 산업을 보호하는 조치다. 국내 후판 생산 기업은 포스코·현대제철·동국제강 등 3곳이다. 철강 업계는 중국 업체들의 저가 수출 공세 탓에 정상적으로 사업을 펴기 어렵다고 호소해 왔다. 이번 정부의 조치로 후판 매출 비중이...
일본 기업 86% "트럼프 정책은 기업에 부정적" 2025-02-21 00:16:30
및 기타 수출품의 주요 시장으로 중국 시장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일본 기업의 86%는 트럼프의 정책이 자사 사업 환경에 부정적 또는 다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했다. 긍정적 또는 다소 긍정적인 영향을 예상한 비율은 합쳐서 14%에 불과했다. 지난해 12월의 같은 조사에서 트럼프 2기 정책이 기업 환경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