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정조가 '규장전운' 편찬 명한 배경은 사도세자 죽음" 2018-08-05 07:30:00
정 교수는 설명했다. 하지만 승정원일기를 보면 정조는 삼운성휘가 있음에도 즉위 직후 서명응에게 운서를 발간하라고 재촉했다. 정 교수는 "서명응은 1779년 규장운서(奎章韻書)를 제작해 바친 것으로 보이지만, 이 책은 무슨 이유에서인지 간행되지 못했다"며 "이후 정조는 운서를 이야기할 때 삼운성휘를 전혀 언급하지...
조선시대 신문 역할 '조보' 경북 유형문화재 된다 2018-07-24 13:59:09
지정 예고했다. 일반적으로 조선시대 조보는 승정원(왕 비서기관)에서 처리한 사항을 매일 아침 반포하는 문서로 관보 역할을 했다. 영천역사문화박물관이 보유한 조보는 1577년(선조 10) 11월 6일에서 24일 사이에 승정원에서 처리한 사항을 민간에서 상업목적으로 인쇄해 유포한 것이다. 목활자에 금속활자를 일부 사용해...
김별아 "문학 몰락한 시대…추리 기법 도전했죠" 2018-06-26 16:41:52
이 내용을 토대로 승정원일기를 뒤져 40여개 기사를 찾았다고 한다. "승정원일기는 지금 속도로 번역하면 완역하는 데 82년이 걸린대요. 그래서 한문학을 하는 분 도움을 받아 구월 사건 관련 부분을 번역해 봤는데, 이 사건이 설왕설래가 많더라고요. 특히 관심을 가진 부분이 양란 이후 근대의 문턱에서 사회가 오히려...
조선후기 보병이 입은 면갑옷 100년만에 돌아왔다(종합) 2018-05-30 13:40:25
과장은 "승정원일기에 면피갑은 철갑과 달리 화살을 맞으면 관통되기는 하지만, 깊이 박히지는 않았다고 기록됐다"며 "2020년까지 보존처리와 재질 분석 작업을 진행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면피갑을 기증한 상트오틸리엔수도원 선교박물관에는 한국 유물 1천700여 점이 있다. 수도원은 2005년 경북 칠곡 왜관수도원에...
[문학이야기(17)] 《한림별곡》 2018-05-28 09:01:38
성종이 술과 앵무잔을 승정원과 홍문관에 하사하며 한림별곡에 앵무잔이니 호박배니 하는 말이 있으니 한림들이 술잔을 돌려서 술을 많이 마시고 헤어지라고 전교했다는 내용이 있다.조선의 문신 이행의 『용재집』에는 이행이 1520년 증고사 자격으로 호남 지역을 갔을 때 전주부윤이 마련해 준 술자리에서 흥이 최고조에...
'미세먼지 해독 효과 얼마나…' 청양 맥문동 성분 연구 착수 2018-04-24 14:44:59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한방에서 중요 약재로 쓰이는 맥문동은 동의보감, 신농본초경 등에 폐 기능 증진에 좋은 것으로 소개됐다. 조선 시대 영조, 정조 등 왕들이 즐겨 먹고, 왕의 명령과 상소문 등을 그대로 담아낸 승정원일기에도 400여 차례 기록된 것으로 알려졌다. kjunho@yna.co.kr (끝) <저작권자(c)...
"조선 후기 소고기는 귀하지 않았다…하루 1천여 마리 도축" 2018-04-09 08:00:01
날로 뛰어오르고 만들어내는 것은 날로 줄어든다." 승정원일기에 기록된 조선 숙종 2년(1676) 1월 14일 생활상을 보면 당시 국가에서 도축하는 소는 하루에 1천 마리를 넘었다. 그런데 이날이 특별한 날은 아니었다. 조선은 병자호란을 치른 뒤 17세기 후반부터 19세기까지 매일 1천여 마리의 소를 먹어 치웠다. 그렇다면...
"우주관측자료 모두 공개… '시민과학 프로젝트' 추진하겠다" 2018-04-04 17:37:14
4일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 등에 기록된 조선시대의 천문현상을 모두 데이터베이스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또 “외계행성탐색시스템(kmtnet)’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이 수집한 관측 자료와 분석 소프트웨어를 공개해 국민과 함께 연구하는 시민과학 프로젝트를...
[신간] 조선시대 지주제 연구·동의수세보원 2018-01-23 10:24:43
승정원일기', '일성록', '비변사등록' 등 연대기와 각종 판례,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등에 있는 고문헌을 모아 농업사를 연구했다. 그는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중반 사이에 이미 사적 토지소유권과 지주제가 확립됐다고 강조한다. 이어 19세기에는 지주전호제(地主田戶制·토지를 소유한 지주와...
"박회수 초상은 1833년 작품…조선인 그려진 최고 유화" 2017-12-31 14:24:39
채 정면을 응시하고 있다. 신 연구원은 논문에서 승정원일기에 나오는 헌종 12년(1846) 9월 22일 기록을 제시했다. 당시 헌종과 대신들은 어진(御眞·임금의 초상화)을 놓고 담화를 나눴는데, 이 자리에서 박회수는 "신이 몇 해 전의 연행(燕行·사신이 베이징에 가는 일) 때 양인으로 하여금 (초상) 그리게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