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원예작물 바이러스 진단 키트 2만점 전국 보급 2019-03-19 11:00:03
보급한다고 19일 밝혔다. 바이러스 진단 키트는 식물체에서 딴 잎을 으깬 뒤 즙액을 떨어뜨리면 현장에서 2분 이내에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알게 해주는 휴대용 진단 도구다. 수박, 오이, 멜론, 고추, 토마토 등 채소작물 10종에 활용할 수 있다. 농진청은 원예작물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바이러스를 대상으로 매년 1종...
국내산 약용 소재 표준 데이터 '천연물 지도' 만든다 2019-02-26 09:07:49
대상으로 지역과 시기, 식물체 부위와 토양 특성별로 유용물질인 지표 성분의 함량을 분석한 전국 천연물 분포도를 말한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는 자생 산림 약용자원을 비롯한 국내산 약용 소재의 우수성을 확인하고, 고기능성 약용 소재 자원을 발굴하기 위해 2017년부터 주요 약용자원을 대상으로 천연물...
경기농기원, 연중 피는 꽃기린 신품종 '레드팡' 개발 2019-02-25 09:47:23
선명해 관상 가치가 높다. 가짓수가 많고 식물체가 작은 콤팩트한 수형으로, 실내 공간의 활용도가 높아 적색 품종을 대체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췄다고 도 농업기술원은 평가했다. 신품종은 종자업 등 일부 자격을 갖춘 단체나 농업인에게 분양되며, 소비자는 대량 생산 단계를 거쳐 가정에서 만날 수 있다. 도 농업기술...
'LMO 연구시설 폐기물, 생물학적 활성 제거' 등 의무화 2019-02-11 06:00:22
이용 연구시설도 '식물체, 종자, 미생물 등 생물체가 포함된 폐수를 생물학적 활성을 제거해 처리'하도록 하는 규정이 신설됐다. 또 '주삿바늘 등 날카로운 도구에 대한 관리방안 마련' 규정이 신설되고, 동물 이용 연구시설의 경우 1·2등급 시설 모두 '동물 탈출방지 설비 설치'가 필수가 되는...
제주농기원, 무·당근 피해 주는 토양선충 방제기술 개발키로 2019-02-03 07:12:01
침을 식물체 뿌리에 찔러 물집, 혹 등을 형성해 양분 흡수를 저해하고 지상부를 시들게 하거나 상품 품질을 크게 떨어뜨리고 수량을 감소시킨다. 토양선충 방제 방법은 토지를 논 상태와 밭 상태로 바꿔가며 작물을 재배하는 객전윤환, 다른 성질의 흙을 넣어 토지 생산성을 개선하는 객토, 태양열 소독, 약제 방제, 저항성...
품질 좋은 사과, 꽃눈분화율 맞춘 가지치기에 달렸다 2019-01-18 14:13:01
밝혔다. 꽃눈분화는 식물체가 자라는 데 필요한 영양, 기간, 기온, 일조 시간 조건이 갖춰져 꽃눈을 형성하는 것이다. 꽃눈분화율이 높아 꽃눈이 많게 되면 그만큼 선택의 폭이 넓어져 가지치기를 통한 고품질 사과 생산을 기대할 수 있다. 도농업기술원 사과이용연구소는 안정적인 과원관리와 생산력 확보를 위해 지난해...
[사이테크 플러스] 유전자 조작으로 식물 광합성 효율 향상…생산량 40% ↑ 2019-01-04 04:00:00
산소와 반응하면 쓸모없는 부산물이 생성되며 식물체는 광호흡을 통해 이 부산물을 다시 유용한 분자로 바꾼다. 하지만 광호흡 과정에는 많은 에너지가 소모돼 광합성 효율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일부 작물에서는 생산량이 20~50%나 감소한다. 연구팀은 유전자 조작이 쉽고 연구에 적합한 담배를 모델 작물로 사용, 원...
국립종자원, 종자검사 방법 40여년 만에 전면 개정 2018-12-18 11:00:20
2차 검사는 식물체별로 일일이 정밀검사를 하도록 돼 있어 과도한 부분이 있다"며 "이에 1차 검사 합격 시 최종 합격하도록 하고, 합격 판정이 불명확한 때에만 2차 검사를 하도록 규정을 현실화했다"고 설명했다. 국립종자원은 이 밖에도 종자 생산 관리에 드론을 시범적으로 활용하는 규정도 마련했다. 전면 개정된...
충북농기원, 대추나무 조직배양 기술 특허출원 2018-12-11 13:19:16
마디 줄기를 잘라 배양, 어린 식물체로 자랄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법이다. 지금까지는 뿌리에서 나오는 가지를 이용한 포기나누기, 접붙이기 등의 방식이 활용됐다. 그러나 접목 과정에서 대추나무 빗자루병이 생기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농업기술원 관계자는 "우량 묘목이 농가에 보급될 수 있도록 조직배양 기술을...
울릉도 흙 속에서 말라리아 치료 물질 발굴했다(종합) 2018-12-06 09:09:43
발굴했다고 6일 밝혔다. 방선균은 토양·식물체·동물체·하천·해수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하는 세균이다. 외생포자를 만드는 점에서 곰팡이(진균)와 비슷하나, 원핵세포를 가지는 특징을 보인다. 다양한 구조의 저분자 화합물을 생산하는 방선균은 수십년간 신약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생물자원으로 활용됐다. 2015년 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