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계란서 나온 '피프로닐', 쥐 실험서 파킨슨병 유발 가능성" 2017-08-17 07:48:59
세포가 손상되면 파킨슨병이 발생한다. 연구팀은 쥐의 흑질에 피프로닐을 주사하고 신경세포 손상 여부를 관찰했다. 이 결과 피프로닐은 신경교섬유질산성단백질(GFAP)의 발현량을 증가시키고 염증반응을 유발함으로써 도파민 신경세포를 손상했다는 게 연구팀의 분석이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살충제가 파킨슨병 연구에...
[천자 칼럼] 아인슈타인의 뇌 2017-08-01 17:50:44
매리언 다이아몬드가 아인슈타인의 뇌에 신경교세포(뇌 세포를 보호하고 영양분을 공급하는 세포)가 일반인보다 많다는 사실을 최초로 발견한 것이다. 이 일로 다이아몬드와 하비는 유명해졌다.1999년에는 샌드라 위틀슨 교수가 새 논문을 발표했다. 뇌의 앞부분(전두엽)과 윗부분(두정엽)을 아래쪽과 나누면서 뻗어나가는...
일 국립암센터, 피 한 방울로 13가지 암 검사법 개발 2017-07-24 10:57:24
활발히 이뤄지고 있지만, 이번 연구만큼 많은 환자를 분석한 사례는 없는 만큼 매우 유용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새 검사법으로 진단할 수 있는 암은 위암, 유방암, 대장암, 난소암, 식도암, 전립선암, 췌장암, 방광암, 간암, 골연부종양, 담도암, 신경교종, 폐암 등이다. lhy5018@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매케인 의원 진단 종양은 가장 흔한 치명적 뇌종양 2017-07-20 16:23:23
존재하고 있는 신경세포에서 발생하는 신경교종의 일종이다. 신경교종은 핵의 비정형성, 유사분열성 등 기준에 따라 다시 4등급으로 분류되며 교모세포종은 이 가운데 가장 악성인 4등급에 해당하는 것이다. 악성 교모세포종은 전체 뇌종양의 12~15%를 차지하고, 뇌교종의 50~60%를 차지하는 뇌에 발생하는 단일 종양 중...
강박성 신경증 치료 신기원 열리나…뇌 염증과 관련 확인 2017-06-25 08:30:02
부위 5곳의 신경교세포 염증 수치가 OCD 환자의 경우 정상인보다 32%나 높았다 신경교세포는 혈관과 신경세포 사이에 위치하여 신경세포의 지지, 영양 공급, 노폐물 제거, 식세포 작용 등을 담당하는데 염증이 있으면 활발해진다. 염증은 인체가 바이러스 등 외부 침입자에 감염되거나 부상했을 때 나타나는 신체 반응인데...
녹십자셀, 교모세포종 3상결과 생존기간 1.5배 연장 2017-03-31 10:24:38
] 녹십자셀은 악성 신경교종(교모세포종) 3상 임상시험 결과에 대한 논문이 면역치료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학술지 '이뮤노테라피(immunotherapy)'에 게재됐다고 31일 밝혔다.이번 논문은 한양대 구리병원 신경외과의 김충현 교수팀이 '악성 신경교종을 제거하기 위한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를 이용한 입양...
[바이오·제약] 뉴라클사이언스, 신경질환 혁신신약 개발에 도전…"2019년 임상 시작" 2016-09-28 16:20:24
신경교흉터는 뇌조직의 신경세포가 망가지거나 손상됐을 때 나머지 신경 조직을 보호하기 위해 상처 부위를 감싸는 흉터다. 하지만 흉터가 방어막 역할을 하면서 신경이 상처 부위를 지나가지 못해 신경 재생이 불가능해진다. 아무리 신경이 살아나도록 조치를 취해도 결국 신경세포는 퇴화되고 죽는다. 신경계 질환인...
바람만 스쳐도 '욱신'…만성 통증 원인 찾았다 2016-04-14 18:09:36
대뇌 피질 1㎜ 깊이에 있는 신경세포와 신경세포가 신호를 주고받는 부위인 시냅스를 관찰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시냅스의 회로 변화를 살펴봤다.분석 결과 대뇌 피질의 시냅스 회로 변화가 만성적인 신경병증성 통증을 가져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말초신경이 손상되면 대뇌 피질의 신경교세포 중 하나인 별세포 기능이...
뇌 신경교종 원인물질 처리과정 규명…치료제 개발 기대 2016-03-16 12:00:27
과다하게 축적되면 다양한 신경퇴행성 질환과신경교종을 유발한다. 이 때문에 퀴놀린산 전이반응을 통해 퀴놀린산을 다른 물질로바꾸는 QPRT의 기능을 연구해 퀴놀린산의 신경계 내 축적을 막고 이를 이용해 신약을 개발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신경교종은 신경교세포가 변이된 종양으로 중추신경계 종양의 30%,...
중앙대 강효정 교수, 다운증후군의 뇌인지 기능저하 메커니즘 세계 최초로 규명 2016-03-14 16:53:29
발달과정에서 신경교세포의 일종인 희소돌기아교세포의 분화가 정상인에 비해 지연되고 뇌신경세포들 간 정보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미엘린(myelin) 형성이 감소한 것을 확인했다.강교수는 "그동안 뇌 발달 질환에서 뇌백질 기능이 연관돼 있다는 것은 알려졌지만 구체적인 메커니즘은 규명되지 않았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