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닭에서도 DDT 검출, 음식 통해 섭취하면 ‘암’ 유발 2017-08-24 10:10:46
이는 곤충의 신경세포에 작용하여 나트륨이 세포막을 이동하는 것을 막아 버림으로써 살충효과가 나타난다. DDT가 강력한 살충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1939년 스위스의 과학자 뮐러에 의해 밝혀졌고 뮐러는 이 공적으로 1948년에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다. 제2차 세계대전 때문에 일본에서 수출하던 천연재료 공급이...
치매·파킨슨병 초기 신경병리 기전 규명…치료제 개발 기대 2017-07-17 10:53:03
골지체가 퇴행성 뇌질환에 미치는 초기 신경병리 기전을 규명했다. 세계적으로 퇴행성 뇌질환을 이해하고 치료하기 위해 많은 연구를 진행하지만, 치료제 개발은 미흡하다. 퇴행성 뇌질환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는 이미 뇌신경세포 손상이 진행한 경우가 많아 시중 치료제로는 효과적 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워 초기 진행 과정...
"조현병 실험약, 치매 쥐 기억력 회복시켜" 2017-07-07 10:54:32
신경세포 표면에 있는 프리온 단백질과 결합해 신경세포 내부에 파괴명령을 전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트리트매터 박사는 앞서 이 파괴명령이 전달되는 관문(gateway)이 세포막에 있는 mGluR5 단백질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 후 이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약물들이 개발됐지만 대부분 뇌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임산부, 천연 원료 종합비타민영양제ㆍ오메가3 올바른 섭취방법은? 2016-12-08 13:54:06
신경전달역할을 하는 뇌 세포막의 중요한 구성 성분으로 아기의 두뇌 발달에 도움을 준다. 오메가3는 주로 생선에 들어 있기 때문에 비위가 약한 임산부가 매일 꾸준히 챙겨 먹기 어렵다. 따라서 임산부는 임신 초기 영양제를 선택할 때 오메가3를 챙기는 것이 좋다. 임산부에게는 알맞은 오메가3는 미세조류에서 추출한...
노벨 생리의학상, 日 오스미 요시노리 교수 수상..일본인 2년연속 2016-10-04 08:59:54
1960년대 세포가 세포막으로 내부 기관을 감싸 파괴하고 이를 소화작용하는 기관인 리소좀으로 이동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했지만, 이 현상의 의미에 대해 밝혀진 바가 없었다. 오스미 교수는 1980년대 현미경 관찰로 세포 내에서 오토파지 현상을 발견했으며 이후 연구를 통해 오토파지가 발생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바닷속 미생물 빛으로 에너지 얻는 원리' 최초로 밝혀 2016-09-05 12:00:15
로돕신은 생명체가 빛을 느끼는 데 필요한 단백질로 세포막에 존재한다. 미생물은 이 광(光)센서 단백질 로돕신을 통해 생명 유지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다. 빛을 쪼이면 이온을 한쪽 방향으로 이동시켜 활성화를 조절하는 기능(이온 펌프기능)을 해서 광유전학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수소 로돕신이...
폭염 속 콜레라까지 `질병경보`, 손목에 차고 목에 걸어 막는다 2016-08-25 16:14:13
이산화염소는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해 세균의 세포막(단백질)에 침투, 산화되면서 세균을 불활성화시킨다. 탁월한 살균 효과로 2001년 미국 탄저균 테러공격 때 건물의 살균에도 쓰였으며, 식빵을 이용한 곰팡이 방지 실험에서도 확실한 효과를 보였다. 또한 물 및 식품의 살균처리에도 쓰이고 있다. 또 살균 효과 뿐 아...
"빛이 세포 이동 스위치 역할…암 전이 막는다" 2016-06-05 19:48:58
뇌 신경세포가 발달하는 원인을 알아낼 수 있다”고 말했다.◆빛으로 세포 이동, 기억력 향상연구진은 세포에서 성장과 이동에 관여하는 성장인자수용체가 빛을 받으면 흥분하도록 유전자를 조작했다. 이 수용체가 있는 세포 앞부분에 빛을 쏘이면 세포 내에 신호전달이 이뤄지면서 세포막이 앞으로 이동한다. 신호를...
해외 여행시 주의 할 감염병 `소두증` 원인은? 2016-04-29 17:16:27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된 신경 줄기세포는 3일 만에 모양이 변하고 더는 자라지 못하는 등 이상 현상을 보이다 6일 후에는 신경 줄기세포의 세포막과 미토콘드리아 등에서 지카바이러스 입자가 많이 발견됐다. 이후 핵이 터져나가는 등 세포가 죽는 모습이 관찰됐다. 신경 줄기세포로 뇌 유사조직을 만들어 감염시켰을 때도...
지카 바이러스, 소두증 유발 첫 증명 "뇌 신경줄기세포 죽인다" 2016-04-12 01:14:06
뒤에는 신경 줄기세포의 세포막과 미토콘드리아 등에서 지카 바이러스 입자가 많이 발견됐고 이후 신경 줄기세포의 핵이 터져나가는 등 세포가 죽는 모습이 관찰됐다. 특히 신경 줄기세포로 뇌 유사조직을 만들어 여기에 지카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결과에서도 세포가 죽어 뇌 유사조직의 크기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