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지놈앤컴퍼니 “담도암 임상 조기 종료는 전략적 선택…신규 타깃 신약 개발 집중” 2025-03-12 18:11:28
후보물질 개발에선 연이은 기술이전 성과도 냈다. 회사는 지난달 영국 항암 전문 신약 개발사 엘립시스 파마에 신규 타깃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GENA-104’를 기술이전했다. 지난해 신규 타깃 ADC용 항체인 ‘GENA-111’을 스위스 디바이오팜에 기술이전한 지 8개월 만이다. 엘립시스 파마는 오는 5월 한국에서 임상 1상을...
R&D 투자할수록 '상폐 위기'…"비용 줄이려 신약 임상시험 중단" 2025-03-12 18:04:18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신약개발기업 A사는 최근 신약후보물질 임상시험을 중단했다. 지난해에는 수십 명의 연구직원을 내보냈다. 지속적인 연구개발(R&D)비 지출로 상장 유지 조건 중 법인세차감전계속사업손실(법차손) 기준을 맞추지 못해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위기에 놓였기 때문이다. 역시 법차손 규정에 걸린 바이오기업...
크레이그 고든 "韓바이오, 적자 안내려 기술매각…성장 기회 잃어" 2025-03-12 17:41:04
2018년에야 세계 최초의 리보핵산(RNA) 신약 온파트로를 내놓으며 유전자치료제 명가로 자리매김했다. 이 약의 지난해 매출은 4300억원으로 추산된다. 고든 대표는 한국 바이오기업이 신약 개발 초기 단계에 기술을 이전하는 것도 규제의 악영향 때문으로 풀이했다. 눈에 보이는 성과를 빠르게 내야 하기 때문에 ‘될성부른...
AI로 R&D 패러다임 바꾼다…8대 유망기술 특화 AI 모델 개발 2025-03-12 10:30:14
AI 역설계로 새로운 물질 구조나 특성을 발견하거나 시뮬레이션 속도를 높이는 접근법 등을 과학기술 전반에 적용하겠다는 것이다. 우선 정부는 혁신신약과 차세대 신소재 등 AI가 활용되는 기존 분야에 더해 반도체, 이차전지, 우주, 친환경 기술, 미래 에너지, 양자컴퓨팅 등 총 8개 분야에 특화된 AI 모델을 개발하기로...
[기고] 글로벌 빅파마와 경쟁할 수 있는 바이오산업의 '삼성전자'를 꿈꾸며 2025-03-11 16:17:43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업의 자체적인 혁신 노력뿐만 아니라 M&A 활성화, 장기적 투자 환경 조성, 정부의 정책적 지원 등이 유기적으로 맞물려야 한다. 자체 R&D 투자와 더불어 외부에서 신약 후보물질과 플랫폼을 적극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M&A 조세 지원 등의 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 R&D 중심의 바이오텍을 넘어...
안트로젠 희귀질환치료제, 내달 日 허가신청 9부능선 넘는다 2025-03-11 13:51:03
개발한 수포성 표피박리증 치료제 후보물질(ALLO-ASC-EB)이 일본 허가심사를 앞두고 최종 단계에 돌입했다. 안트로젠은 ALLO-ASC-EB을 기술도입한 일본 이신제약이 일본 후생노동성 산하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PMDA)와 신약허가신청전 미팅(pre-NDA)에 나선다고 11일 밝혔다. 신약허가신청전 미팅은 신약허가신청 접수 전...
안트로젠, 日서 제조 인증 획득…국내 바이오기업으로는 최초 2025-03-10 17:30:02
물질(ALLO-ASC-EB) 시판 허가를 앞두고 이뤄졌다. DEB는 피부층을 구성하는 진피와 내피 사이 접착제 역할을 하는 ‘콜라겐7’을 합성하지 못해 생기는 선천성 유전질환이다. 안트로젠은 2015년 일본 이신제약에 이 물질의 기술을 수출했다. 이후 일본 임상 3상 시험은 이신제약이 맡아서 하고 있다. 이신제약 측은 최근 이...
월 2900만원에 쓰는 '연구 AI' 나온다 2025-03-10 16:17:58
위한 실험에서 새로운 신약 후보물질을 도출하기도 했다. 연구자들이 후속 실험을 한 결과 AI가 추천한 약물이 실제로 암세포 생존율을 낮춘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오픈AI의 딥리서치는 박사급 연구원이 몇 주 동안 쓴 논문용 리서치를 8분 만에 마쳤다. 연구 AI가 제시한 가설이 참신성과 실용성 평가에서 기존 연구보다...
안트로젠, 일본 후생성으로부터 세포치료제 해외 제조업체 인정 받아 2025-03-10 14:20:28
후보물질을 기술도입(LI)한 일본 이신제약이 맡아 진행하고 있다. 유효성 평가를 최근 마치고 상반기 중 후생성에 신약허가(NDA)를 신청한다는 계획이다. 이영양성 수포성표피박리증은 희귀질환으로 일본 내 환자는 500~700명 정도로 추산된다. 피부층을 구성하는 진피와 내피 사이에 접착제 역할을 하는 ‘콜라겐7’을...
ADC 석학 한자리에…에이비엘바이오, 심포지엄 개최 2025-03-10 10:24:06
신약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는 ADC 개발 역량을 높이고 국내·외 ADC 개발 전문가들의 교류를 위해 마련됐다. 글로벌 제약·바이오기업에서 ADC를 개발한 경험이 있는 전문가들이 프로그램 연자로 심포지엄에 참석한다. 첫번째 세션 주제는 ‘ADC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다. 스위스 제약사 로슈그룹 산하 바이오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