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이견 못 좁힌 공정경제3법 마지막 토론회…정기국회서 통과될 듯(종합) 2020-11-03 18:40:07
제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세진 동국대 경제학 교수도 "정부가 그간 지주회사를 독려하다가 입장을 바꾸는 것은 정책 불안정성을 키우고 지주회사에 대해 역차별 소지가 있다"며 "규제를 확대해 기업이 부담해야 하는 비용을 늘리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달리 김남근 민변 부회장은 "원래 우리나라 기업집단들이 ...
[뉴스의 맥] "현대화폐이론은 경제이론이 아닌 정치사상이다" 2020-10-27 18:01:21
경제학자 아바 러너(기능적 재정론) 이래 거시경제학의 고전적 방법론이다(역설적으로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을 처음으로 구분한 사람이 러너다). 그러나 MMT는 경제이론보다 정치사상에 가깝다. 서양철학은 인식론, 존재론, 가치론이 삼위일체를 이룬다. MMT는 인식론(화폐는 징세수단)과 존재론(중앙은행 독립성은 허구),...
박웅용 서울대 교수 "美 양적완화, 신흥국 실물경제 영향 크지 않아" 2020-10-11 17:15:09
역할을 이해하게 됐다. 데이터를 활용한 실증연구도 하면서 연구가 질적으로 한 단계 성숙해졌다. 미국 프린스턴대 박사 과정 때는 통화·재정 정책 수립과 파급경로를 연구 주제로 삼았다. 두 정책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내용의 논문을 여러 편 작성했다. 장기적으로 국가부채 등 재정건전성을 관리하지 않고 재정정책을 ...
조세연 "논란 보고서가 지역화폐에 부정적이었다고 생각 안해" 2020-10-07 18:22:59
"실증분석에 따르면 중요한 업종에는 매출 증대 효과가 있었지만, 여타 업종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며 "제도적 보완을 통해 다양한 소상공인 업종에 혜택이 고루 갈 수 있게 제도를 개편해야 한다는 게 시사점"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사중손실(경쟁시장에서 가격이나 세금 개입에 따라 어느...
"지역화폐 비판 국책연구원 문책하라"…도 넘은 이재명 2020-09-16 08:42:57
지역화폐가 2016~2018년 고용에 미친 효과를 실증 분석했다. 결론은 ‘긍정적인 효과가 없다’였다. 2018년까지 지역화폐를 도입한 53개 지자체로 분석 대상을 확대해도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이한상 고려대 경영대 교수는 SNS에 "사실 최저임금, 지역화폐, 기본대출 모두 굳이 국책연구기관 보고서로 나오지 않아도 경제학...
[취재수첩] 중개사 시험선 임대료 규제 부작용 크다더니 2020-08-03 17:54:46
경제학자의 87%가 동의했다는 설문 결과도 있다. 15년간 노벨 경제학상 심사위원장을 지냈던 아사르 린드벡 스웨덴 스톡홀름대 교수는 “임대료 규제는 전쟁을 빼면 도시를 파괴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까지 했다. 경제학자들이 한목소리를 내는 것은 이미 수십 차례의 실증분석과 사례로 증명됐기 때문이다. 미국...
정부, 주관 시험엔 '임대료 규제하면 부작용 생긴다'고 해놓고... 2020-08-03 14:38:24
주택의 수량과 품질을 저하를 가져온다"고 동의한 경제학자는 93%에 달했습니다. 2001년 한국 경제학자들을 대상으로 한 동일한 조사에서도 동의율이 87%로 매우 높았습니다. 지금도 분위기는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스웨덴 경제학 석학 아사르 린드벡의 "임대료 규제는 전쟁 다음으로 도시를 파괴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
"집주인에 소득증명서 내고 면접…100대 1 경쟁률 뚫어야 입주" 2020-08-02 12:35:54
올랐다. 경제학자들은 임대차 3법이 본격 시행되면서 한국에서도 이와 비슷한 일이 곧 벌어질 것이라는 우려를 쏟아내고 있다. 임대료 규제, 학계 꼽는 ‘대표 악법’ 지난달 31일 전월세 인상률을 규제하고 계약갱신청구권제를 도입하는 내용의 ‘주택 임대차보호법 개정안’이 본격 시행된 가운데, 비슷한 제도를 도입한...
[책마을] 실증 없이 함부로 단언하는 '나쁜 경제학' 걸러라 2020-05-14 18:19:05
허황된 언어만 구사한다면 ‘나쁜 경제학’이다. 반대로 현장을 제대로 파악하고 실증(實證)하는 게 ‘좋은 경제학’이다. 저자들은 개발도상국 빈민가 곳곳을 누비며 빈곤 퇴치를 위한 연구를 지속해 오면서 기존 이론과 고정관념이 맞지 않는 순간을 마주하고 ‘좋은 경제학’이 무엇인지 고민하게 됐다고 소개한다. 이...
[다시 읽는 명저] "총수요관리정책은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만 유발한다"…케인스의 '보이는 손' 한계 지적하고 정부 개입 최소화 강조 2020-05-11 09:01:16
등의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노벨경제학상을 받았다. 케인지언으로 유명한 로런스 서머스 하버드대 총장은 “케인스가 20세기 전반의 가장 영향력 있는 경제학자라면 20세기 후반의 가장 영향력 있는 경제학자는 프리드먼”이라고 했다. “재정정책은 인플레이션만 유발” 그는 이 책에서 “자본주의 시장의 불안정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