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청호나이스, `이과수 정수기 타이디` 출시 2019-09-26 10:24:21
22cm의 슬림한 사이즈에 청호나이스 역삼투압 정수 기술력을 그대로 담아낸 신제품 `이과수 정수기 타이디`를 출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 제품은 0.0001마이크로미터 기공 사이즈의 초정밀 분리막이 적용된 4단계 역삼투압 정수 시스템을 갖춰 중금속, 박테리아, 바이러스, 유기화학물질 등 유해 이온성 물질까지 제거할...
충남 예산군, 우라늄 초과 검출 수도 1곳에 정수장비 설치 2019-07-23 15:57:23
4천만원을 들여 우라늄을 제거할 수 있는 역삼투압 방식의 정수 장비를 설치할 계획이다. 또 분기별 수질 검사를 하고 수질 부적합 시 광역 상수도 보급 지역의 경우 수도시설을 폐쇄 조치하고 소규모 시설은 정수 장비를 설치하는 등 대처할 방침이다. 이어 추가경정 예산에 1억5천만원을 편성, 정수 장비가 설치되지...
얼음접시 분리·오래된 물 자동배수…웅진코웨이 '아이스 정수기' 2019-07-16 17:03:34
제거하는 얇고 조밀한 인텐시브 멤브레인(역삼투압) 소재를 기존 필터보다 최대 24% 더 촘촘하게 감은 필터다. 고성능의 정수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풍부하게 물을 추출할 수 있다. c9 카본블록 필터는 웅진코웨이 자체 기술로 제작한 3단계 다층 구조를 적용해 정수 성능을 강화했다.○자동 배수 시스템 탑재고온다습한...
제빙 노즐서 저수조까지 샅샅이 살균…커피 나오는 정수기, 한여름 더위 '싹' 2019-07-16 16:59:26
청호나이스에서 선보이는 역삼투압 정수 방식의 제품 필터는 다우케미컬 등의 원자재 및 청호나이스의 자회사인 필터 전문업체 마이크로필터 등에서 생산한 필터를 사용한다. 세니타는 기존 자사 필터 대비 정수량을 40% 증대한 at필터를 적용했다. at-프리카본필터, at-ro 멤브레인필터, at-포스트카본필터 등 3개 필터의...
정수기·공기청정기 등 40개국 수출…생활가전 '대표 주자' 2019-07-16 16:57:29
청호나이스는역삼투압 방식 국내 첫 소개 26년간 '혁신제품 제조기' 명성 [ 김정은 기자 ] 1993년 설립된 청호나이스는 정수기, 공기청정기, 비데, 연수기 등의 생활가전 제품을 생산·판매한다. 창업자인 정휘동 회장은 한국인 최초로 미국 수질관리사 자격(cws-v)을 땄고 국내에 역삼투압 정수 방식을 최초로...
울산 석유화학단지 폐수 재처리해 공업용수로 활용 2019-06-13 07:34:58
막 여과(UF)와 역삼투압(RO) 장치를 거쳐 불순물을 제거하고, 전기탈이온(EDI) 공정을 거쳐 이온성 물질을 제거한 후 전기전도도 1㎲/㎝ 이하를 제조해 수요처에 제품생산, 보일러 수 용도 등으로 제공한다. 하루 2천400㎥ 규모 시설용량이며 1단계 수요처는 시 자원회수시설 하루 600㎥, 롯데비피화학 1천800㎥ 등이다. 시...
섣부른 부산시 '바다수돗물 공급계획'에 원전·산단 '절레절레' 2019-02-20 05:55:55
등 모두 1천954억원을 들여 2014년 완공됐다. 역삼투압 방식 담수화 시설로 세계 최대 규모로, 하루 수돗물 4만5천t을 생산해 5만 가구에 공급할 계획이었다. 고리원전과 11㎞ 떨어진 곳에 있는 기장 해수 담수화 시설은 방사능 오염 논쟁, 시설 소유권 해석, 운영비 갈등 등이 겹치면서 지난해 1월 1일부터 가동이 전면...
2천억짜리 애물단지 바다수돗물, 공업용 공급안도 첩첩산중(종합) 2019-02-18 13:44:12
시 상수도본부 관계자는 "울산지역 공단에서 사용하는 공업용수가 하루 10만t 정도로 추산하고 있는데 조만간 수요를 파악할 예정"이라며 "전기료 감면 문제도 산업통상자원부와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장 해수 담수화 시설은 2009년부터 국비 823억원, 시비 425억원, 민자 706억원 등 모두 1천954억원을 들여 2014년...
2천억짜리 애물단지 바다 수돗물, 결국 먹는 물 공급 포기 2019-02-18 09:31:21
하루 수돗물 4만5천t을 생산, 5만 가구에 공급할 수 있고 역삼투압 방식 담수화 시설로는 세계 최대 규모다. 고리원전과 11㎞ 떨어진 곳에 있는 기장 해수 담수화 시설은 방사능 오염 논쟁, 시설 소유권 해석, 운영비 갈등 등이 겹치면서 지난해 1월 1일부터 가동이 전면 중단됐다. ccho@yna.co.kr (끝) <저작권자(c)...
'한파가 빚은 예술품'…평창 광천선굴 역고드름 화제 2019-01-21 13:54:42
예술품'…평창 광천선굴 역고드름 화제 (평창=연합뉴스) 김영인 기자 = 최근 강추위가 이어지며 강원 평창군 대화면 광천선굴 입구에 거꾸로 자라는 고드름 수백개가 형성돼 화제다. 거꾸로 자라는 고드름은 동굴 천장에서 떨어지는 미세한 물방울이 추위에 얼며 형성되는 것으로 석순과 비슷한 모습이다. 고드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