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첨단 웹 망원경 성능 입증한 '첫빛' 이미지 무엇이 다른가 2022-07-13 12:01:05
중적외선장비(MIRI)는 젊은 별과 주변의 행성형성 원반이 핑크와 적색으로 밝게 빛나는 장면과 원시별 제트 현상을 포착했다. ◇ 별의 죽음 보여준 남쪽고리성운 지구에서 약 2천500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남쪽고리 성운(Southern Ring Nebula)은 항성 진화 마지막 단계에서 죽어가는 별이 뿜어내는 가스와 먼지가 만들어낸...
LG의 AI 기술력, 글로벌 학회서도 입증 2022-06-19 12:50:18
녹색 플라스틱 원반을 던지고 있다’는 문장을 자동 완성하는 식이다. 반대로 문장을 그림으로 바꾸는 기능도 갖추고 있다. LG전자 등 LG 주요 계열사 다섯 곳도 이 학술대회에서 AI 우수 인재 확보 활동에 나서기로 했다. 각 계열사 채용 담당자가 LG 통합 부스에서 각사의 최신 AI 기술 시연과 채용 상담을 한다. 배경훈...
LG, 최고 권위 AI학회서 '초거대AI' 기술력 선봬…7편 논문 발표 2022-06-19 10:00:02
플라스틱 원반을 던지고 있다'는 문장이 자동 완성되고, '흐르는 강물과 일몰 풍경'이라는 텍스트를 보여주면 관련 이미지가 화면에 등장하는 식이다. 올해 초 뉴욕 패션 위크에서 AI 아티스트 '틸다'가 박윤희 디자이너와 협업해 200벌이 넘는 의상들을 선보인 것도 엑사원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기린 긴 목은 치열한 짝짓기 싸움용 무기의 진화 결과 2022-06-03 11:11:03
큰뿔야생양 크기로, 두개골 위로 원반형 뿔인 골축(骨軸)을 갖추고 있다. 속명 디스코케릭스는 원반형 뿔을 의미하는데, 이런 뿔은 수컷들이 짝짓기 경쟁을 하며 싸울 때 무기로 사용하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종명 셰즈는 시비와 선악을 판단하여 안다는 상상 속의 동물인 해태의 중국 명칭에서 따왔다. 연구팀은...
[커버스토리] "반도체를 확보하라", 세계는 반도체 전쟁 중…한국·대만 파운드리 격돌, 미·중은 투자 경쟁 2022-05-16 10:00:48
연구위원반도체와 관련한 글을 읽을 때 만나는 용어는 대략 정해져 있어요. ▶웨이퍼(wafer)는 반도체의 재료가 되는 얇고 둥근 판을 말합니다. 특수 재질의 덩어리를 매우 얇게(100만 분의 1m) 자른 뒤 여러 공정을 거친 겁니다. ▶팹(fab)은 반도체 웨이퍼를 생산하는 시설을 말합니다. ▶팹리스(fabless)는 생산시설...
남극·그린란드·하와이…전세계 망원경 8대로 찾은 우리 은하 블랙홀 2022-05-13 10:26:48
빛이 원반 모양으로 밝게 빛난다. 이 원반의 모양이 블랙홀의 중력에 의해 왜곡되는 모습 등을 분석해 블랙홀을 확인한다. EHT 연구진은 12일 밤 10시(한국시간) 진행된 국제 온라인 발표를 통해 “관측 영상에는 블랙홀 주위에 빛나는 가스와 밝은 고리 형태의 구조, 그리고 중심부의 어두운 지역이 명백하게 나타난다”며...
"거의 안먹는 얌전한 거인"…우리은하 중심 블랙홀 궁수자리A* 2022-05-13 00:40:22
원반도 5∼30광년으로 작은 편인데, 블랙홀이 물질을 빨아들일 때 희미한 X선을 발산한다. 하지만 궁수자리A*는 대부분 활동을 하지 않고 아주 드물게 주변의 가스와 먼지를 빨아들인다. 천문학자들은 궁수자리A*를 직접 관측할 수 없어 약 180억㎞ 밖에서 시속 1천140만㎞로 궁수자리A*를 도는 항성 S2를 관측해 왔다....
마트·주유소 지붕도 에어택시 착륙장 된다…각양각색 버티포트 구상 [선한결의 IT포커스] 2022-05-12 06:11:02
열었는데요. 약 1580㎡(480여평) 규모로 원반 모양(방사형)으로 조성됐습니다. 첫 에어원 규모는 일단 볼로포트 에상 규모보다 세 배 이상 큽니다. 에어원은 승객용 UAM 이착륙장을 비롯해 물류용 드론 이착륙장, 승객 라운지, 카페, 소매점, 물류 허브, 전기 항공기 격납고, 보안심사대, 지휘통제실 등을 들였다는...
초기 우주 초대질량블랙홀 '잃어버린 고리' 찾았다 2022-04-15 17:01:14
모두 보였다. 또 초대질량블랙홀 강착 원반에서 나오는 것과 같은 퀘이사의 전형적인 빛은 관측되지 않아 아직 초대질량 단계에는 들어서지 못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됐다. 연구팀은 이를 블랙홀이 급속히 팽창하며 은하의 에너지를 누르고 퀘이사가 돼가는 과정을 시작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GNz7q이...
태양계 '거인' 목성 9배 달하는 초대형 가스행성 '탄생' 관측 2022-04-05 11:52:31
수 있다는 '원반 불안정'(disc instability) 가설이 제기되고 논쟁거리가 돼왔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고더드 우주비행센터 등에 따르면 이런 가설에 힘을 실어주는 목성급 행성 형성 이미지가 포착돼 과학 저널 '네이처 천문학'(Nature Astronomy)를 통해 발표됐다. 지구에서 약 531광년 떨어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