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사이테크+] "유전자가위로 벼 유전자 조작해 질소 비료 사용량 줄인다" 2022-08-07 09:00:06
화학 물질을 생산할 수 있다면, 식물이 이런 화학물질을 더 많이 생산하도록 개조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이런 화학물질은 토양 박테리아의 질소 고정을 유도하고 식물은 박테리아가 만든 암모늄을 이용할 수 있어 비료 사용을 줄일 수 있다"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먼저 화학적 스크리닝과 유전체학을 이용해 벼에서 토양...
단국대, 레고켐바이오와 차세대 항암제 연구 2022-07-24 16:27:34
암연구소 등에서 16년 이상 종양유전체학 및 대단위 기능유전체 기반 연구를 수행했다. 김 총장은 “독자적 기술과 신약개발 플랫폼을 보유한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항암제 개발의 의미 있는 성과를 이루겠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신약 연구개발 전문성과 역량을 극대화해 산학 협력 시너지를 창출하는 혁신 사례가 될...
세균 유전체의 '자폭 스위치'로 슈퍼버그 잡을 수 있을까 2022-07-22 18:10:34
작업엔 유전체학, 단백질체학, 생물정보학 등의 첨단 기술이 총동원됐다. 이런 과정을 거쳐 바이러스 단백질이 어떻게 이 메커니즘의 스위치를 조작하는지 드러났다. 알고 보니 레트론은 세균 콜로니에 침입한 바이러스의 확산을 저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바이러스에 처음 감염된 세균의 레트론 스위치가 켜져 성장이...
6월 24일 ETF 시황...ARKK·OGIG 강세 2022-06-24 08:15:46
먼트의 핀테크 펀드, 유전체학 펀드 모두 상승했지만 오늘은 아크인베스트먼트의 가장 대표적인 ARKK 펀드를 살펴보겠습니다. 여전테 테슬라가 10% 대로 포함 되어 있습니다. 테슬라는 이날 약보합에 마감했지만 그 외에 상위 보유 종목에 있는 코인 베이스느 13%, 텔라닥 헬스가 8% 로 크게 상승했으며 로쿠와 줌비디오도...
연세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개소 2022-06-16 15:04:53
학·연·병 융합 디지털 헬스 관련 공동연구와 기업연구에 대한 개방형 실증, 연구개발과 관련된 각종 행정 연계를 지원한다. 디지털헬스케어혁신연구소는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자산 결집, 국가과제 주도그룹 형성,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연구개발 등을 담당한다. 모든 공간은 빅데이터 플랫폼을 활용한 개방형 공간으로...
"성염색체 이상 남성, 당뇨병 등 일반 질병 위험↑" 2022-06-13 08:58:04
속도가 빠르며 지능지수(IQ)가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의학 유전·유전체학 학회(ACMG: American College of Medical Genetics and Genomics) 학술지 '의학 유전학'(Genetics in Medicine) 최신호에 발표됐다. skh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거저리 애벌레 '슈퍼웜' 스티로폼 쓰레기 재활용 효자되나(종합) 2022-06-10 22:00:10
이 대학 화학·분자생물과학과 크리스 린케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딱정벌레목 거저리과의 한 종으로 흔하게 볼 수 있는 '아메리카왕거저리'(Zophobas morio)의 애벌레인 '슈퍼웜'이 장내 박테리아 효소 덕분에 폴리스타이렌을 먹어 치울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생물학회'가 발행하는 저널...
플라스틱 먹어 치우는 애벌레 '슈퍼웜' 확인…재활용 길 열리나 2022-06-10 20:17:17
호주 퀸즐랜드대학 화학·분자생물과학과 크리스 린케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이 '아메리카왕저거리(Zophobas morio)'의 애벌레인 '슈퍼웜'이 폴리스타이렌을 먹어 치울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생물학회'가 발행하는 저널 '미생물 유전체학'(Microbial Genomics)에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플라스틱 먹어치우는 애벌레 `슈퍼웜` 등장 2022-06-10 15:20:29
이 대학 화학·분자생물과학과 크리스 린케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딱정벌레목 거저리과의 한 종으로 흔하게 볼 수 있는 `아메리카왕거저리`(Zophobas morio)의 애벌레인 `슈퍼웜`이 장내 박테리아 효소 덕분에 폴리스타이렌을 먹어 치울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생물학회`가 발행하는 저널 `미생물 유전체학`(Microbial...
거저리 애벌레 '슈퍼웜' 플라스틱 쓰레기 재활용 효자 되나 2022-06-10 14:59:51
이 대학 화학·분자생물과학과 크리스 린케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딱정벌레목 거저리과의 한 종으로 흔하게 볼 수 있는 '아메리카왕거저리'(Zophobas morio)의 애벌레인 '슈퍼웜'이 장내 박테리아 효소 덕분에 폴리스타이렌을 먹어 치울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생물학회'가 발행하는 저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