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티빙과 웨이브가 합병한다면…"넷플릭스 사용 시간 88% 수준" [Geeks' Briefing] 2023-09-13 16:06:28
기초 이론을 16주간 배우게 된다. 올해 2학기부터 향후 5년간 서비스가 제공될 예정이다. 학생들이 챗 GPT 기반의 'AI 튜터' 'AI 코드체크' 기능을 통해 과제 수행 중 오류를 스스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이 과목의 특징이다. 중기부, 청년 스타트업 해외 진출 지원 중소벤처기업부가 '청년창업사관학교...
"인도, 과학기술협력 최적 파트너…장기적 신뢰 쌓아야" 2023-09-08 14:07:56
센터는 지난 10년간 단독 또는 협동 연구를 통해 물리, 화학, 재료, 컴퓨터공학 분야에서 SCI(과학기술인용색인)급 논문만 80편을 발표할 정도로 성과를 냈다. 소재물성 예측 플랫폼 개발과 이를 이용한 이론 및 소스 코드 개발도 활발하다. 이 센터장은 인도와 과학기술 연구 협력에 있어 '윈-윈 전략'을 세우는...
"H.O.T 강타 포스터 걸어놓고 공부"…첫 흑인 입자물리학 교수 탄생 2023-08-31 08:09:05
물리학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미국 과학계에 만연한 인종차별·성차별을 조명했다. 이와 함께 한국과의 깜짝 인연을 소개했다. 찬다 교수는 고교 시절 단짝이자 한국계 미국인이었던 정지윤 씨의 소개로 K팝을 처음 접하게 됐고, 침실 문에 H.O.T 멤버 강타의 포스터를 걸어둘 정도로 열렬한 팬이었다고 전했다. K팝...
천안 한기대 '다담 학습관' 개관…최첨단 공학실습·미래인재 육성 2023-08-30 19:03:58
교과과정 운영이 가능한 미래 자동차 이론 강의 및 실습장이 들어섰다. 가상공장 시뮬레이션 실습, 가상 물리시스템(CPS)을 이용한 공정 최적화, 공정자동화와 스마트팩토리 교육이 가능하다. 디지털 트윈 기반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관제시스템도 갖췄다. 2층은 로봇 시스템 통합, 로봇 시뮬레이터 개발, 협동...
한국, 국제천문·천체물리올림피아드서 금1·은1·동3…종합10위 2023-08-21 11:40:12
기록했다. 대회는 이론 50%, 망원경 관측 10%, 천체투영관 관측 15%, 자료 분석 25%씩 나눠 진행됐다. 올해 이론 분야는 소행성 궤도를 바꿔 지구를 방어하는 '소행성 방향 전환 실험'과 중력파 검출용 '레이저 간섭계 우주 안테나' 등 13문제가 출제됐다. 이외에도 망원경 관측에선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
"보름 만에 270억 뭉칫돈"…서학개미도 초전도체 테마주에 '올인' 2023-08-17 08:43:46
현재진행형이다.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16일(현지시간) "많은 이들이 LK-99가 상온 초전도체가 아니라고 확신하고 있지만 이 물질의 실제 특성은 무엇인지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남아있다"고 했다. 앞서 미국 메릴랜드대 응집물질이론센터(CMTC), 중국과학원 물리연구소 등은 LK-99를 상온 초전도체로 보기 어렵다는 입장을...
[특징주] 초전도체주, 진위 공방·관련성 부인에도 줄상한가(종합) 2023-08-16 15:52:14
메릴랜드대 응집물질이론센터(CMTC), 중국과학원 물리연구소 등은 LK-99를 상온 초전도체로 보기 어렵다는 입장을 낸 바 있으며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상온 초전도체 주장의 짧고 화려한 삶'이라는 논평을 통해 회의론이 커지고 있다고 논평했다. ydho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특징주] 초전도체주, 'LK-99' 진위 공방에도 급등세 지속 2023-08-16 09:27:59
메릴랜드대 응집물질이론센터(CMTC), 중국과학원 물리연구소 등은 LK-99를 상온 초전도체로 보기 어렵다는 입장을 낸 바 있으며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상온 초전도체 주장의 짧고 화려한 삶'이라는 논평을 통해 회의론이 커지고 있다고 논평했다. ydho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LK-99 저자들간 내분…고려대 연구진실성위 예비조사 여부 곧 결정 2023-08-10 11:37:27
저자로 이뤄진 논문을 19일 국제학술지 '미국물리학회(APL) 머티리얼스'와 아카이브에 제출하자고 요청했다. 김 교수는 권 교수의 기여도가 제한적이라 생각했으나, 이 대표는 권 교수를 저자 목록에 포함하고 싶어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권 교수가 시간을 달라고 요청했고, 다른 저자들이 제출에 동의하면...
"기후변화 등 사회적 난제 푸는 데 수학자들이 앞장서야" 2023-08-09 17:50:24
양자장론과 응집물리 분야에서 많이 쓰인다. 작년 한국계 과학자 중 처음으로 필즈상을 받은 허준이 프린스턴대 교수가 대수기하학 문제를 조합론으로 푸는 데 주력한다면 김 교수는 정수론으로 푸는 데 집중하고 있다. 위상수학 방법론을 쓰는 건 동일하다. 김 교수는 “일과의 많은 부분을 이론물리학자들과 토론하는 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