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印총리, 뉴욕서 젤렌스키와 세번째 회동…"조속 분쟁해결 지지" 2024-09-25 14:27:11
자신이 추구하는 '평화공식' 이행과 두 번째 평화회의 준비와 관련해 의견을 주로 나눴다고 덧붙였다. 10개 조항으로 된 평화공식에는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완전 철수 요구 등의 내용이 담겨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평화공식에 대한 국제적 지지를 얻기 위해 지난 6월 스위스에서 처음 연 우크라이나 평화회의에...
세계 지도자 뉴욕 유엔본부 집결…한국 수석대표엔 조태열 2024-09-23 10:41:16
지난해 8월 캠프데이비드 정상회의 합의사항 이행 현황을 점검하고, 북한 문제와 지역 및 국제 현안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조 장관은 주요 20개국(G20) 외교장관회의와 한국·멕시코·인도네시아·튀르키예·호주 협의체인 믹타(MIKTA) 외교장관회의에도 참석할 예정이다. 또 북한 인권에 대한 국제사회...
쿼드 정상 "한반도 완전한 비핵화 공약 재확인" 2024-09-22 18:07:49
쿼드(미국·일본·호주·인도의 안보협의체) 4개국 정상이 21일(현지시간) 북한의 핵무기 개발과 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하고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의지를 재확인했다. 2004년 장관급 안보협의체로 출범한 쿼드는 2021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취임한 뒤 정상급 회의체로 격상됐다.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의...
통상본부장, 아세안 경제장관회의 참석…정상회의 의제 논의 2024-09-22 11:00:01
▲ 한·아세안 자유무역협정(FTA) 이행 및 업그레이드 ▲ 한·아세안 스타트업 파트너십 연장 ▲ 전기 안전 인프라 구축 지원 ▲ 표준 협력 고도화 등 협력 사업에 대한 점검이 이뤄졌다. 정 본부장은 이 자리에서 한·아세안 대화 관계 수립 35주년을 맞아 경제·통상 분야 연구 기관 간 정례 협의체인 '한·아세안...
쿼드 "北관련 핵·미사일 기술이전 막아야"…북러 군사협력 견제(종합) 2024-09-22 09:46:06
= 쿼드(Quad·미국·일본·호주·인도의 안보 협의체) 4개국 정상은 21일(현지시간) 북한의 핵무기 추구와 잇단 탄도미사일 발사 도발을 "규탄"하고 "완전한 한반도 비핵화" 공약을 재확인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을 비롯해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등 쿼드...
한·체코, '원전 전주기 협력' 체계 강화한다 2024-09-20 19:54:55
설계, 시운전, 핵연료, 방폐물 등 다양한 분야의 협력 양해각서를 맺었다. 산업부는 "양국 정상 간 교류 계기로 신규 원전 건설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원전 전 주기 협력 체계가 구축됐다"며 "국장급 협의체를 조기에 가동해 관련 후속 조치를 철저히 이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cha@yna.co.kr (끝) <저작권자(c)...
[사설] 경증 환자는 동네 병원으로…추석 '응급실 대란' 피했다 2024-09-18 17:43:48
대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의사들의 불신을 걷어내려면 개혁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2028년까지 필수·지방의료에 건강보험과 정부 재정 20조원을 투입하겠다고 한 약속도 차질 없이 이행해야 한다. 의사들도 ‘증원 백지화’만 외쳐선 안 된다. 전공의 이탈 공백을 메우고 있는 의료진의 피로가 극에 달하고 있다. 파국을...
日, 北 우라늄 농축시설 공개에 "北 핵·탄도미사일 폐기해야" 2024-09-13 12:34:38
협의체) 정상회의와 유엔 총회에 참석한다. 기시다 총리는 이달 27일 선출되는 새 자민당 총재가 내달 초순 총리로 취임하면 물러나게 된다. 교도통신은 "총리 재임 중 마지막 외국 방문이 될 것으로 보인다"며 "각국 정상과 개별 회담도 할 것"이라고 전했다. (취재보조: 김지수 통신원) [https://youtu.be/1D-Og373e8Y]...
대통령실 "2025 의대증원 유예, 현실적으로 불가능" 2024-09-09 15:59:57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의료계 참여 없이 여야정 협의체를 우선 가동할 수 있는지 묻는 질문에 "대통령실은 의료계를 설득해 여야의정 협의체를 구성하는 게 필요하다는 입장"이라고 답했다. 이어 "의료계가 대화 테이블에 나올 수 있도록 최대한 설득할 필요가 있다"며 "구체적인 건...
2026년 의대정원 협의?...의사단체 "내년부터 재검토해야" 2024-09-07 19:20:52
협의체는 무의미하다"며 의료 공백 해결을 위한 정부의 태도 변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의사회는 "최근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에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대통령이 의료공백 사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다수의 국민이 답했다"면서 "정부와 정치권이 2025학년도 의대 정원 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