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제주항공 '엔진' 수거…조류충돌·기체결함 여부 조사 2025-01-03 17:45:34
혐의를 적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저비용항공사(LCC)를 둘러싼 불안감이 확산하고 있다. 이날 오전 6시20분께 김해국제공항에서 홍콩발 에어부산 BX392 항공기가 착륙을 시도하다가 복행(고 어라운드)하는 일이 발생했다. 무사 착륙하긴 했지만 랜딩기어 관련 계기 오류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인혁 기자...
"승무원 눈이 그렁그렁했다"…비행기서 어린이와 주고받은 편지 '화제' 2025-01-03 07:47:22
저비용항공사(LCC) 로고가 찍힌 메모지에 "어린이 손님 선물 고마워요. 예쁜 마음에 이모, 삼촌들이 정말 감동받았어요. 가족들과 행복한 여행 되고 내년에도 즐거운 날들만 가득하길 바라요"라고 적었다. 사연을 접한 누리꾼들은 "승무원들도 트라우마가 장난 아닐 텐데 잘 이겨냈으면", "내가 다 울컥한다" 등의 반응을...
하루 7만건 취소…2,600억원 환불 위기 2025-01-02 17:47:21
판매하고 받은 선수금은 약 2,606억원. 국내 저비용항공사(LCC) 가운데 가장 큰 규모입니다. 2위인 티웨이항공(1,843억원)보다 700억원 이상 많습니다. 항공사 대부분은 이 선수금을 유동성 자산으로 활용합니다. 선수금은 통상 부채로 인식되지만, 탑승객이 항공권을 사용하는 시점에 매출로 전환되기 때문입니다....
제주항공, '유동성 위기설' 일축…"대규모 투자 진행" 2025-01-02 16:53:58
설명이다. 제주항공의 선수금은 2,600억원 수준으로, 국내 저비용항공사(LCC) 중 최대 규모다. 통상 항공사의 선수금은 고객이 예매한 티켓값을 의미한다. 하지만 참사 직후인 지난달 29일부터 30일 오후 1시까지 약 6만8천건의 항공권이 취소된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항공은 '조건 없는 환불'을 약속한 상태다....
'전조증상' 항공안전장애, 2019년 이래 최다…국토부 지적 증가 2025-01-02 16:46:39
국적항공사에 안전 관련 개선을 요구한 건수도 늘어났다. 국토부는 2023년 국적항공사를 대상으로 상시 안전감독을 총 2천918회 실시해 총 250건의 개선조치를 내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2022년(215건)보다 16.3% 증가한 수준이다. 시정 지시 17건, 개선 권고 174건, 현장 시정 59건으로 나뉘었다. 개선지시 비율에선...
LCC 기체 정비, 70% 넘게 '해외 외주'..."역량 키워야" 2025-01-02 08:01:54
저비용항공사(LCC)의 정비 부실 문제가 지적을 받는 가운데 LCC들이 엔진 수리 등 중정비를 해외에 맡기는 비율이 70%를 넘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국내 항공사들이 정비사 수를 늘리고 중대한 기체 결함을 보수할 수 있는 중정비 역량을 키워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번 참사로 인해 제주항공의 무리한 운항과...
LCC, 엔진고장 등 중정비 해외 외주비중 71%…"국내 MRO역량 키워야" 2025-01-02 06:00:05
= 제주항공 참사를 계기로 국내 저비용항공사(LCC)의 정비 부실 문제가 계속해서 거론되는 가운데 LCC들이 엔진 수리와 같은 중정비를 해외에 맡기는 비율이 70%를 넘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국내 항공사들의 정비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정비사 수 증대 등에 더해 중대한 기체 결함을 보수할 수 있는 중정비 역량을...
"조금만 건드려도 울 것 같지만"…이 악문 제주항공 직원들 [김익환의 컴퍼니워치] 2025-01-01 19:52:53
2005년 출범한 때부터 위기를 겪었다. 애경그룹은 항공사를 시작한 뒤부터 5년 동안 적자를 이어갔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에 밀려 자리를 잡지 못할 것이라는 비관적 견해도 상당했다. 하지만 2011년 사상 처음 흑자행진을 이어가면서 국내 저비용항공사(LCC) 1위이자 항공업계 빅3로 입지를 굳혔다는 평가도 받았다. ...
국토부 권고 '항공기 1대당 정비사 12명' 충족한 LCC 8년간 2곳뿐 2025-01-01 17:46:56
국내 저비용항공사(LCC)의 정비 부실 여부가 도마 위에 오르는 가운데 지난 8년간 국토교통부가 권고한 최소 정비사 수 요건을 충족시킨 LCC는 2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항공사도 이 조건을 매년 충족한 것이 아니어서 LCC 운항 안정성 강화를 위해 주무 부처인 국토교통부의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주항공, 환불 행렬 우려…선수금 2606억원 유출 '비상' 2025-01-01 17:10:49
항공권의 선수금은 2606억원가량이다. 이는 국내 저비용항공사(LCC) 중 가장 큰 규모다. 2위인 티웨이항공의 1843억원보다 약 41% 많은 금액이다. 선수금이란 기업이 제품·서비스 지급을 약속하고 고객에게 미리 받은 돈을 의미한다. 항공사의 선수금 대부분은 고객이 장차 탑승할 목적으로 예매한 항공 티켓값에 해당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