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사설] 기술 충격에서 안보 쇼크로 치닫는 '딥시크 리스크' 2025-02-06 17:41:03
넘어갈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딥시크 개인정보 이용 약관상 수집된 데이터는 중국 서버에 저장되고, 중국 현지 법률에 따라 처리될 수 있다. 중국 국가정보법 7조에 따르면 중국의 모든 개인과 조직은 국가의 정보 활동에 협력할 의무가 있다. 딥시크 사용자 정보가 중국공산당(中共)에 그대로 넘어갈 수 있다는 얘기다....
딥시크 전방위 차단…"보안 해결해야 승자" 2025-02-06 17:29:51
갑자기 불거진 것은 잘 알려지지 않았던 정보 수집 행태가 드러났기 때문입니다. 사용자의 기기 정보뿐만 아니라 키보드 입력 패턴이나 리듬까지 수집해 중국 서버에 저장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결국 기술력을 내세워 벌였던 AI 전쟁의 승부처가 보안 경쟁으로 넘어갈 것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김두현 / 건국대...
환경·복지·노동·여가·경찰도 딥시크 차단…"정보유출 예방"(종합2보) 2025-02-06 17:13:13
막지 않았다. 환경부 관계자는 "딥시크는 개인정보 수집 체계가 아직 명확히 알려지지 않아 정보당국도 사용에 신중하라고 당부했다"면서 "딥시크 측이 공개한 자료를 봐도 정보 수집 체계가 챗GPT 등과 다른 것으로 파악돼 정보 유출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접속을 차단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챗GPT는 정보당국에...
중국, 딥시크 논란에 "위법한 데이터수집 요구 안해" 2025-02-06 16:58:27
중국은 정부 차원에서 기업에 '위법한 데이터 수집'을 요구한 바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6일 정례 브리핑에서 각국의 딥시크 제한 움직임에 관한 연합뉴스 질의에 "우리는 관련 상황에 주목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궈 대변인은 "중국 정부는 데이터 프라이버시와 안전을 고도로 중시...
각국 '딥시크 차단'에도…中 "위법한 데이터수집 요구한적 없어" 2025-02-06 16:39:57
"위법한 데이터수집 요구한적 없어" 외교부 "안보개념 일반화·경제문제 정치화 반대…中기업 권익 수호할 것" (베이징=연합뉴스) 정성조 특파원 = 한국·호주·일본·이탈리아 등 각국 정부와 기업들이 보안 우려 속에 중국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DeepSeek) 사용을 잇따라 금지·제한하는 가운데, 중국은 정부...
'딥시크 금지령' 정부부처 전방위 확산…금융권·기업도 합류(종합2보) 2025-02-06 15:56:56
생성형 AI보다 정보 수집 범위가 넓고 보안은 취약한 것으로 판단해 접속을 차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날 개인정보 및 민감정보의 수집·처리 관련 약관 사항 등이 명확히 확인될 때까지 딥시크 접속을 일시 차단하기로 했다. 나머지 정부부처들도 접속 차단 여부를 검토 중으로, 조만간 차단 행렬에...
증권가도 보안 우려로 '딥시크' 줄줄이 차단…거래소·금투협 동참(종합) 2025-02-06 15:22:04
정보 수집에 따른 보안 우려가 제기된 데 따른 것으로, 필요할 경우 추가 조치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거래소는 전했다. 거래소는 미국 오픈AI의 챗GPT와 구글 제미나이 등 서비스 이용은 막지 않고 있다. 금융투자협회는 이날부터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미래에셋증권[006800]은 처음부터 딥시크 접속을 허용하지 않기로...
"中에 개인정보 샐라"…금융권, '딥시크 차단' 전방위 확산 2025-02-06 14:16:24
내부 공지했다. 딥시크가 이용자 정보를 과도하게 수집한다는 우려가 나오면서다. 뿐만 아니라 금융위는 예금보험공사·한국자산관리공사·주택금융공사 등 산하 기관에도 딥시크의 보안상 우려 등이 담긴 공문을 발송했다. 한국거래소도 지난달 말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는 등의 내부 보안 조치를 실시했다. 국내 증권사...
증권가·거래소도 보안 우려로 '딥시크' 줄줄이 차단 2025-02-06 14:14:32
등 내부 보안 조치를 실시했다. 이는 딥시크 접속 시 정보 수집에 따른 보안 우려가 제기된 데 따른 것으로, 필요할 경우 추가 조치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거래소는 전했다. 거래소는 미국 오픈AI의 챗GPT와 구글 제미나이 등 서비스 이용은 막지 않고 있다. 미래에셋증권[006800]은 처음부터 딥시크 접속을 허용하지 않기...
정부에 금융기관까지…'딥시크 차단' 확산 2025-02-06 14:05:51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4일 중앙부처와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에 딥시크와 챗GPT 등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해 달라고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다. 공문에는 생성형 AI에 개인정보 입력을 자제하고, 생성형 AI가 내놓은 결과물을 무조건 신뢰하지 않아야 한다는 취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