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일본·요르단·인도…백악관 정상외교 속도 2025-02-05 17:53:50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를 시작으로 정상외교에 시동을 걸었다. 7일엔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11일 압둘라 2세 요르단 국왕, 13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잇달아 만난다. 이시바 총리는 이번 정상회담에서 일본 기업의 대미 투자 실적을 강조하고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구입 확대를 제시할 것으로...
[윤성민 칼럼] 트럼프 노벨평화상 추천 "이재명 대표, 농담이죠?" 2025-02-05 17:27:40
적대시 외교정책을 윤석열 대통령 탄핵 사유로, 대북 확성기 가동·대북 전단 살포를 외환죄 사유로 든 이후 미국 정가에 만연한 민주당과 이 대표에 대한 정체성 의심을 어떻게든 ‘분칠’해 보려는 것이다. 요즘 한국을 찾는 미국 외교·안보 싱크탱크 관계자들의 질문은 오로지 민주당의 대미·대중·대북관에 관한...
트럼프 친이스라엘 노골화…미국 '정직한 중재자' 입지 중상입나 2025-02-05 13:51:51
등 주변 5개국은 지난 1일 외교장관 공동성명을 내고 트럼프 대통령의 가자 주민 이주 구상에 반대 의사를 밝혔다. 이러한 반응에는 트럼프 행정부가 통치하는 미국에 대한 신뢰 약화가 강하게 반영돼있다. 과거 미국 행정부는 역사적인 오슬로 협정을 통해 '두 국가 해법'(two-state solution)을 이스라엘과...
[인&아웃] 트럼프의 '거절할 수 없는 제안' 2025-02-05 13:27:24
끝 전술)을 구사하는데 능수능란하다. 그는 외교 협상 과정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해 초강수를 띄워 상대국에 충격을 안겨주고 협상을 막다른 상황까지 몰고 간다. 집권 2기가 시작되자마자 동맹인 캐나다와 멕시코, EU(유럽연합)를 상대로 고율 관세카드를 앞세워 압박한 것이 대표적 사례다. 그린란드와 파나마운하...
가자 '강제이주+소유권' 주장 트럼프…새로운 중동 판도라상자 되나 2025-02-05 11:23:01
이날 기자회견에서 "중동의 다른 나라 정상들과 대화했고 그들도 이 구상을 매우 좋아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는 사실과 다르다. 당장 이슬람권을 주도하는 사우디아라비아는 외교부 성명을 통해 가자지구 주민의 강제이주를 반대한다고 밝혔다. 그간 사우디아라비아는 팔레스타인의 독립국 수립을 전제로 하지 않는 어...
트럼프 "미국이 가자지구 소유해 '중동의 리비에라'로 만들겠다"(종합2보) 2025-02-05 10:59:46
이스라엘과 외교관계를 수립하지 않을 것이며 팔레스타인 주민 이주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미국 내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서방 강대국들이 지역 주민들의 자치권을 고려하지 않고 자기들끼리 지도를 다시 그리고 주민들을 이주시킨 시대를 연상시킨다면서 "지정학적 판도라의...
[단독] 우원식 국회의장, 시진핑 만난다 …"정상급 외교 나서" 2025-02-05 09:27:40
및 우리 기업의 중국 진출 확대 등 국익외교를 강화하고, 계엄 정국으로 불안정해진 우리나라의 대외신인도를 회복하는데 힘을 쏟을 계획이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로 국정 공백인 상황에서 국가 의전서열 2위인 국회의장이 정상급 외교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우 의장은 2025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개막 행사에도...
[일지] 미중 1차 무역전쟁부터 트럼프 2기 '맞불 관세' 재개까지 2025-02-04 17:35:52
= 미·중 정상, G20 정상회의에서 90일간 추가 관세부과 유예 및 무역협상 재개 합의 ▲ 2019.2.24 = 미국, 2천억 달러 규모 중국산 수입품 관세 인상 보류 ▲ 2019.5.5 = 트럼프 대통령, 2천억 달러 규모 중국산 수입품 관세 인상·3천250억 달러 규모 수입품에 25% 관세부과 계획 발표 ▲ 2019.5.10 = 미국, 2천억 달러...
트럼프 복귀 보름만에 미중 무역전쟁 포문…충돌 속 협상 여지도 2025-02-04 16:50:09
미치는 데다 트럼프 대통령의 불확실성이나 양국 정상 간 통화 가능성 등 극적인 협상 타결 여지는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 中, 보복 대응책 줄줄이 내놔…"中 상당히 양보 안하면 美 관세 유지될 것"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전 세계를 향한 무역전쟁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10% 추가 관세를 강행하는 것으로 첫 포성을...
"반도체법 이달 처리"…주52시간제 '탄력 있게' 2025-02-04 15:06:11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정상외교는 올스탑이죠. 각국 수장들과의 핫라인 협상을 선호하는 트럼프 스타일에 비춰보면 약발이 먹힐지 의문입니다. 그럼에도 한동안 국내 정치 공백이 불가피한 만큼, 우리보다 앞서 관세 부과 타겟이 된 국가들과의 협상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는 조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