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태양 수백만배 초대형 블랙홀 두 개 가진 '괴물' 은하 드러나나 2020-06-22 11:10:58
천체물리학 저널'(The Astrophysical Journal) 최신호에 발표했다. 대부분의 은하는 태양 수백만개의 질량을 가진 SMBH를 갖고 있으며 이 중 1%는 빛에 가까운 속도로 주변에서 빨아들인 물질을 분출하는 이른바 '제트'(jet) 현상을 보이는 AGN이다. 이런 제트 현상으로 방출되는 빛은 전자기파 스펙트럼 모든...
외계 기술문명 탐사 시동…태양광 패널·대기오염 흔적 찾는다 2020-06-20 10:44:36
것부터 시작된다. 미국 로체스터대학교와 하버드-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학센터(CfA) 등에 따르면 이 대학의 애덤 프랭크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교부금을 받아 외계 기술문명을 찾는 연구를 시작하면서 외계 문명을 찾아내는 '기술 흔적'(technosignatures)의 첫 목표로 태양광 패널과...
"지구 같은 행성 우리 은하에만 최대 60억개 달할 수도" 2020-06-18 14:31:31
대학 물리천문학과 제이미 매튜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태양과 같은 G형 주계열성이 5개당 한 개꼴로 지구 같은 행성을 갖고 있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천문학회(AAS) 학술지인 '천문학 저널'(The Astronomical Journal) 최근호에 발표했다. 매튜 교수는 "우리 은하에 최대 4천억개에 달하는 별이 있고 이...
"'피터팬 원반'은 다른 별과 떨어진 외로운 환경서 형성돼" 2020-06-11 15:47:23
탐정'(Disk Detective)의 도움을 받아 모두 7개가 확인됐다. 콜먼 박사는 "시민과학자 참여 프로젝트의 발견으로 이 독특한 원반에 대한 과학적 연구가 힘을 받고, 천체물리학의 핵심 분야 중 하나인 행성 형성에 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은 대단한 일"이라고 했다. eomns@yna.co.kr (끝)...
용암인 줄 알았던 화성 지형은 진흙이 분출돼 만든 것 2020-05-19 00:01:00
물리연구소 페트르 브로즈 박사가 이끄는 유럽 연구팀은 화성과 표면 온도와 기압 등을 같게 만든 '화성방'(Mars Chamber)에서 진흙 분출 실험을 통해 화성 표면의 용암류(流) 흔적과 같은 형태를 얻어냈다고 과학저널 '네이처 지구과학'(Nature Geoscience) 최신호에 발표했다. 이 연구에 참여한 프랑스...
지구서 약 34광년 떨어진 갈색왜성 풍속 측정 2020-04-10 03:01:00
측정하는 데도 이용될 수 있다고 했다. 논문 공동저자인 하버스-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학센터(CfA)의 피터 윌리엄스 박사는 "대형 외계행성은 갈색왜성보다는 자기장이 약하다는 점에서 2MASS J10475385+2124234에 이용된 것보다 낮은 주파수로 전파측정을 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eomns@yna.co.kr (끝) <저작권자(...
블랙홀 주변 빛 부메랑처럼 굴절 40여년 만에 확인 2020-04-09 10:23:03
물리·수학·천문학부 라일리 코너스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블랙홀 주변 원반에서 빠져나오던 빛이 원반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관측한 연구 결과를 정식 출간 전 논문을 수록하는 온라인 저널인 '아카이브(arXiv)'에 발표했다. 이 논문은 국제 학술지 '천체물리학 저널'(The Astrophysical Journal)의...
[PRNewswire] 프랑스 및 유럽 연구 위한 프랑스 슈퍼컴퓨터 Joliot-Curie의 시작 2020-04-07 15:05:43
충족시키기 위한 Joliot-Curie 슈퍼컴퓨터를 운영하게 되었습니다. Joliot-Curie는 현재 기상, 천체물리학, 지구물리학, 생물학, 분자역학, 물질 속성 등 여러 분야에 사용되고 있으며, 향후 유전자 및 신경학 분야에도 사용될 예정입니다. [1] Total Group사 슈퍼컴퓨터[https://atos.net/en/2019/press-release_2019_06_0...
블랙홀의 '잃어버린 고리' 중간질량 블랙홀 존재 확인 2020-04-01 11:20:33
추정돼 왔지만 좀처럼 모습을 드러내지 않아왔다. 미국 뉴햄프셔대학교 물리·천문학과 연구 조교수 린다청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X선 망원경과 허블망원경으로 중간질량 블랙홀을 확인한 결과를 학술지 '천체물리학 저널 회보'(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최신호에 발표했다. 별을 집어삼키는 현장이...
천문硏, 우주 관측 전파망원경 핵심 부품 이탈리아에 37억 수출 2020-03-26 17:43:38
초소형 광대역 3채널 수신기 ‘CTR’을 이탈리아 국립천체물리연구소에 37억원을 받고 납품하기로 했다고 26일 발표했다. 가로 60㎝, 세로 98㎝ 크기의 이 수신기는 천문연이 보유한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의 4채널 영역(22·43·86·129 ㎓) 수신 시스템을 다른 전파망원경에 쉽게 넣을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