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트럼프 취임] 산업장관 민관합동 회의…미 각료급 소통채널 가동 방침(종합) 2025-01-21 15:42:24
미와 소통…무역적자 조사·전기차 우대조치 철폐 등 내용 파악 산업장관 "1차관 국내 대책·통상본부장 대미 협의 분담" (서울=연합뉴스) 이슬기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 공식 출범을 맞아 안덕근 장관 주재로 민관합동 대책 회의를 열고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사 및 행정명령 등을 통해 발표된 정책이...
[트럼프 취임] 산업장관 민관합동 회의…"대표단 급파해 미와 소통" 2025-01-21 14:30:00
조사·기존 무역협정 검토·전기차 우대조치 철폐 등 세부내용 파악 산업장관 "우려·기회 요인 공존…민관 협력해 총력 대응" (서울=연합뉴스) 이슬기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 공식 출범을 맞아 안덕근 장관 주재로 민관합동 대책 회의를 열고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사 및 행정명령 등을 통해 발표된 ...
[트럼프 당선] "무역적자·기존 협정 재검토" 지시…한미FTA 불똥 튈까 2025-01-21 13:46:46
응하지 않았다. 하지만 결국 특정 농업 분야의 장벽 철폐, 소형 트럭 관세 철폐 연기, 특정 통관 절차 및 의약품 환급 절차 변경 동의 등 미국 측 요구를 들어줘야 했다. 이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 측에 수입산 철강과 알루미늄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며 으름장을 놓아 협상의 지렛대로 쓰기도 했다. 한미FTA 개...
트럼프, WHO·기후협정 재탈퇴…무더기 행정명령으로 국정대전환 2025-01-21 13:46:30
알래스카주 국립야생보호구역(ANWR) 관련 규제 철폐 ▲ 미국 연안에서의 신규 원유·가스 개발 금지 취소 등의 내용이 담긴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 밖에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명령을 통해 북미 지역 최고봉인 데날리의 이름을 '매킨리산'으로 복원하고 멕시코만의 이름을 미국만으로 변경하도록 했다. 또 바이든...
공정위 "수제맥주 규제 완화로 1캔당 최대 825원 인하 효과" 2025-01-21 12:00:10
제한하는 각종 규제를 철폐해서 수제맥주 1캔당 가격이 최대 825원이 인하되는 효과가 나타났다고 공정거래위원회가 분석했다. 아울러 공항 출국 면세점 주류 판매사업의 독점사업권 폐지에 따라 가격인상이 억제되고, 각종 할인 행사도 늘어나는 등 소비자 후생이 개선됐다고 평가했다. 공정위는 21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트럼프 취임] 호주, 오커스 유지에 촉각…對중국 관계개선 흐름과 '충돌' 우려 2025-01-21 11:35:18
정상회의를 갖고 해빙기를 맞고 있으며 각종 무역 장벽도 철폐된 상태다. 호주 라트로브 대학의 데니스 올트먼 교수는 호주 AAP와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호주와 중국의 관계 개선을 막기 위해 "오커스 협정을 이용할 수 있다"며 "우리를 매우 불편한 입장으로 몰아넣을 수 있다"고 말했다. laecorp@yna.co.kr (끝)...
[트럼프 취임] '1차 타깃' 피한 한국…정부 "미에 필요한 산업파트너 어필" 2025-01-21 10:50:26
생산 보조금과 반도체과학법 투자 보조금 철폐·축소를 언급하지 않은 점도 일단은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분위기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 공화당 내부에서 공감대가 큰 IRA 전기차 소비 보조금 철폐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는 상황이다. 한국 기업들로서는 IRA의 전기차 소비 보조금보다는 장기 투자에 영향을 끼치는...
통상 전문가 "트럼프 첫 타깃 한국 아니지만 차분히 대비해야" 2025-01-21 08:55:24
개선을 위해 인프라 투자를 늘리겠다는 공약이나 정보기술(IT) 기업에 대한 규제를 철폐하겠다는 것도 인공지능(AI) 투자 증가로 전력 생산과 관련한 소형모듈원전(SMR), 변압기, 전선 등 기자재 수출에 유리한 측면이 있다. wise@yna.co.kr cha@yna.co.kr dk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백악관 복귀한 트럼프...시장을 움직일 세 가지 정책은? 2025-01-21 07:33:59
첫 번째 정책은 친기업 정책으로, 규제 철폐와 석유 시추 확대, 전기 및 휘발유 가격 인하, AI와 자율주행 차량 규제 완화, 우주 산업 투자 지원 등 - 두 번째 정책은 관세 정책으로, 모든 수입품에 최대 20%, 중국산에는 60% 관세 부과 선언, 캐나다와 멕시코에는 25%, 중국에는 10% 추가 관세 부과 언급 - 세 번째 정책은...
나이지리아 유조차 폭발 사망자 86명으로 늘어 2025-01-20 17:40:57
나이지리아는 아프리카 최대 산유국이자 세계 8위 원유 수출국이면서도 정유시설이 부족해 석유제품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2023년 상반기 수십 년간 지속한 연료 보조금을 철폐한 이후 휘발유 가격이 급등하면서 연료난이 이어지고 있다. 작년 10월에도 북부 지가와 주에서 전복된 유조차가 폭발해 147명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