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2016 미국경제학회] "금융이 살면 경제가 회복된다고?…미국, 대공황의 교훈 잊고 있다" 2016-01-04 18:13:18
케인스학파의 대표주자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통화정책 위주의 경기회복 노력이 사실상 실패로 끝났다고 비판했다.그는 ‘1930년대 뉴딜정책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라는 제목의 연설에서 “미국 정부가 대공황의 교훈을 완전히 잊고 있다”고 비판의 포문을 열었다.미국 중앙은행(fed)이...
[천자칼럼] 필립스 곡선 2015-10-27 18:04:27
특히 케인스학파의 재량적인 재정 및 통화정책에 당위성을 제공했다. 정부 개입을 통해 후생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의 조합이 가능하다는 기대가 커졌다.하지만 1970년대 들어 스태그플레이션이 등장하면서 필립스 곡선의 유용성에 비판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밀턴 프리드먼, 에드먼드 펠프스와 같은...
[한경포럼] Fed는 기회 놓쳤다 2015-10-06 18:31:04
신케인스학파도 동의하는 사실이다. 실증적으로도 그렇다. fed의 제로금리 정책은 2008년 12월에 시작해 올해로 7년째다. 제로금리가 경기를 살린다면 미국 경제는 진작에 살아났지 않았겠나.핑계 찾기 악순환fed의 금리동결로 나아진 게 없다. 금리를 정상화할 기회만 날렸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실 fed가 지난번 금리를...
[취업에 강한 신문 한경 JOB] 국민은행 입사 논술문제 "금융산업 대응책 논하라" 2015-10-05 19:01:56
학파, 케인스 학파, 정보재, 보비의 외부효과, 네트워크 효과, 펭귄효과, 마이크로크레딧 등과 관련해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keb하나은행 공채 1기 입사 시험은 하루 앞선 3일 서울, 부산, 대구, 대전 등에서 치러졌다. 1교시 적성검사(90분·오전 10시~11시30분), 2교시 인성검사(40분·11시50분~12시40분),...
[Cover Story] 무엇이 나라를 부강하게 만드나? 2015-10-02 20:07:18
국부론, 데이비드 리카도의 비교우위론, 케인스의 수정자본주의, 하이에크의 자유주의 등은 따지고 보면 모두 국부의 원천을 설명하려는 노력이었다.학자와 학파에 따라 주장이 조금씩 다르지만 오늘날 학자들이 공감하는 결론은 나라가 부강하려면 경제가 발전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경제적 자유’가 매우...
[오스트리아 학파에 길을 묻다] 미제스·하이에크가 준 '영원한 교훈'…"시장의 자생적 질서가 번영 이끌어" 2015-09-20 19:12:11
불신했다. 그의 생각은 20세기 전반을 휩쓸었던 케인스주의에 밀려 있다가 1970년대 마거릿 대처 영국 총리의 경제정책으로 부활했다.한국하이에크소사이어티 회장인 황수연 경성대 교수는 “기업가 정신 이론을 개척한 이스라엘 커즈너, 무정부적 자유시장론을 주창한 머리 로스바드 등이 그 계보를 이어왔다”...
[오스트리아 학파에 길을 묻다] 오스트리아·시카고 학파 서울서 '맞짱토론' 2015-09-20 19:10:23
했다. 정부의 시장 간섭을 지지하는 케인스학파의 대척점에 있다.한국경제신문은 몽펠르랭소사이어티 총회에 매년 대표단을 파견했다. 지난해엔 2017년 몽펠르랭소사이어티 서울 총회를 유치하기도 했다. 포퓰리즘 문제와 제도 개선 등 국내 현실에 대한 냉철한 진단을 기대하는 목소리도 높다.김인철 성균관대 명예교수는...
"금융완화로는 저성장 탈피 못한다" 2015-09-20 18:47:05
학파에서 저성장의 해법을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정부의 인위적인 부양책 대신 기업의 혁신활동을 중시해야 한다는 제언이다. 자유경제원이 지난 18일 서울 마포동 자유경제원 리버티홀에서 연 ‘주류 경제학의 한계:오스트리안 경제학의 함의’ 워크숍에서 경제학자들은 “2008년 글로벌...
정보·영향력 앞세워 사적 이익추구…국부 파괴하는 '정치적 사업가' 2015-09-04 19:55:45
존 메이너드 케인스의 ‘야성적 충동(animal spirits)’ 개념에 바탕을 두고 있다. 기업가 정신을 창조적 파괴를 통한 자본주의 경제발전의 추동력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업가 정신은 시장이나 혁신 기업인에게서만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공공선택학의 분석 무대인 ‘정치시장’에는...
국내 물가상승률 0%대…디플레 국면이라고? 인플레 환경 속 민간 현금보유 늘어난 결과일 뿐 2015-09-04 18:37:12
통화 공급량이 증가하는 것을 인플레이션이라고 한다. 오늘날 케인스 추종자를 포함해 대부분의 일반인은 ‘전반적인 물가 하락’을 디플레이션으로 정의하지만 그것은 틀린 것이다. 인플레이션을 ‘물가 상승’이라고 생각하는 것도 틀리기는 마찬가지다.물가 하락(상승)은 통화 공급량 감소(증대) 때...